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Probl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41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가 구성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

      이 연구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가 구성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Y 지역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으로 남학생 2명과 여학생 4명의 총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는 120분씩 주 1회로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청소년에게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orea Youth Self Report: K-YSR)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28.0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분석인 Wilcoxon singed rank 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분석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회기 과정에 대한 청소년의 변화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해 본 결과, 불안/우울과 위축/우울, 그리고 신체화 증상에서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감소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질적 분석한 결과, 집단원 안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대상 청소년들이 자기 알아차림을 통한 자기 문제를 재인식하게 되었고, 보편성을 통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게 되었으며, 미술치료로 인한 자기정화와 통찰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집단원 내에서 치료적 요인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In this study, a researcher-organized Gestal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In this study, a researcher-organized Gestal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the Y area of Gyeonggi-do, 2 boys and 4 girls. Gestalt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tudy subjects were given Pre- and Post-Test compares and analyzies on the Korea Youth Self Report (K-YSR). For data analysis, the Wilcoxon Singed Rank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28.0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 and post-tests in the group.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of change in adolescents in the program session proc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there was a change in anxiety/depression, withdrawal/depression, and somatization symptoms in which the post-score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score. Secon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showed changes within the group members. The adolescents studied were recognizing their problems through self-awareness, engaging in positive interactions through universality, and leading to self-purification and insight through art therap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Gestalt group art therapy has a therapeutic effect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that therapeutic factors within the group are effective in reducing internalization problems in adolesc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