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 완간의 의의 및 후속 작업을 위한 제언 = Meaning of Publishing a Complete Series of Annotated Translation of <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 and Proposals for Follow-up Work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이 마침내 완간되었다. 고소설과 관련한 K-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는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매우 고무적인 성과이다. 101편의 필사본 작품이 역주본으로 완성되어 일반 독자와 문화 종사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역주본은 단일 기관의 역주 결과물로 가장 방대한 분량이며, 유일본, 희귀본, 최초 역주본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그 가치와 의의가 더욱 크다. 다만, 100선 선정 기준이나 해당 역주본의 가치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부분, 제목·해제·현대어역·원문에서 간혹 드러나는 오류 등은 향후 수정·보완이 되었으면 한다. 역주본의 편집과 구성은 연구자용과 일반 독자용의 분책이 최근의 흐름이기는 하나, 이는 간행 취지와 제반 여건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완간 이후 후속 작업으로 역주본 활용을 위한 추가 집필, 학제적 연구 및 문화 생산자와의 협업, 택민국학연구원 홈페이지 활성화, 고소설 문학관 건립 및 프로그램 개발, 정책적 지원 확대 촉구를 제안하였다.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해설의 예시로 1차년도 역주본 중 하나인 <송부인전>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송부인전>은 익숙한 여성 수난담 정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다소 도식적이고 통속적인 전개 속에 진지한 주제 의식을 담아내고 있어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흥미롭게 읽힐 수 있는 작품이다. 어리고 나약하던 여성의 성장 서사이면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을 통해 비혈연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희망의 서사이다. 원형 스토리의 재현 또는 가공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들을 빚어낸다면 새로운 K-콘텐츠로 재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이 마침내 완간되었다. 고소설과 관련한 K-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는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매우 고무적인 성과이다. 101편의 필사본 작품이 역주...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이 마침내 완간되었다. 고소설과 관련한 K-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는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매우 고무적인 성과이다. 101편의 필사본 작품이 역주본으로 완성되어 일반 독자와 문화 종사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역주본은 단일 기관의 역주 결과물로 가장 방대한 분량이며, 유일본, 희귀본, 최초 역주본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그 가치와 의의가 더욱 크다. 다만, 100선 선정 기준이나 해당 역주본의 가치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부분, 제목·해제·현대어역·원문에서 간혹 드러나는 오류 등은 향후 수정·보완이 되었으면 한다. 역주본의 편집과 구성은 연구자용과 일반 독자용의 분책이 최근의 흐름이기는 하나, 이는 간행 취지와 제반 여건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완간 이후 후속 작업으로 역주본 활용을 위한 추가 집필, 학제적 연구 및 문화 생산자와의 협업, 택민국학연구원 홈페이지 활성화, 고소설 문학관 건립 및 프로그램 개발, 정책적 지원 확대 촉구를 제안하였다.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해설의 예시로 1차년도 역주본 중 하나인 <송부인전>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송부인전>은 익숙한 여성 수난담 정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다소 도식적이고 통속적인 전개 속에 진지한 주제 의식을 담아내고 있어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흥미롭게 읽힐 수 있는 작품이다. 어리고 나약하던 여성의 성장 서사이면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을 통해 비혈연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희망의 서사이다. 원형 스토리의 재현 또는 가공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들을 빚어낸다면 새로운 K-콘텐츠로 재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 was finally completed and published. It is a very encouraging achievement in the current cultural atmosphere of the Korean inspired entertainment movement known as K-Content, that the Korean classic novel is drawing attention. A total of 101 hand-transcribed novels were completely translated and annotated, giving ordinary readers, as well as culture-related researchers, the ability to make good use of the novels included in this translated and annotated collection. This translation and annotation collection is the largest body of work conducted by a single institution, and it has great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many of the novels in the collection are either the only existing versions, rare versions, or the first annotated translations.
      However, the publication has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it does not have enough explanations on the selection standards for the 100 works, nor does it explain the values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Also, it has a few errors regarding titles, explanatory notes, translation in modern languages, and original texts. The collection should be supplemented and corrected in near future. Though recent trends show that books for ordinary readers and those for researchers are separated in the editing and structuring of the published translated and annotated version. The decision of whether, and how, to separate must consider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and overall conditions.
      As for follow-up work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several suggestions are presented. They include additional writing to utilize the translated works, collaboration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culture service and goods producers, active use of the Taekmin Academy of Korean Studies’ website, establishment of a literary house for classic novel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urging for more policy supports.
      As an example of explan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 Songbuinjeon, which is one of the first-year annotated translations, is briefly introduced. It is easy to think that Songbuinjeon is a familiar story of a woman’s suffering, but it contains a serious theme in more or less schematic and popular development, and thus it can be read with interest by today’s readers. It is a description of a young and weak woman’s growth, and at the same time a description of hope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non-blood community through affectionate gazes towar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can be reproduced as an example of good cultural content, if one can create new stories through reappearance or adaption of the original story.
      번역하기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 was finally completed and published. It is a very encouraging achievement in the current cultural atmosphere of the Korean inspired e...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 was finally completed and published. It is a very encouraging achievement in the current cultural atmosphere of the Korean inspired entertainment movement known as K-Content, that the Korean classic novel is drawing attention. A total of 101 hand-transcribed novels were completely translated and annotated, giving ordinary readers, as well as culture-related researchers, the ability to make good use of the novels included in this translated and annotated collection. This translation and annotation collection is the largest body of work conducted by a single institution, and it has great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many of the novels in the collection are either the only existing versions, rare versions, or the first annotated translations.
      However, the publication has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it does not have enough explanations on the selection standards for the 100 works, nor does it explain the values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Also, it has a few errors regarding titles, explanatory notes, translation in modern languages, and original texts. The collection should be supplemented and corrected in near future. Though recent trends show that books for ordinary readers and those for researchers are separated in the editing and structuring of the published translated and annotated version. The decision of whether, and how, to separate must consider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and overall conditions.
      As for follow-up work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several suggestions are presented. They include additional writing to utilize the translated works, collaboration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culture service and goods producers, active use of the Taekmin Academy of Korean Studies’ website, establishment of a literary house for classic novel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urging for more policy supports.
      As an example of explan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 Songbuinjeon, which is one of the first-year annotated translations, is briefly introduced. It is easy to think that Songbuinjeon is a familiar story of a woman’s suffering, but it contains a serious theme in more or less schematic and popular development, and thus it can be read with interest by today’s readers. It is a description of a young and weak woman’s growth, and at the same time a description of hope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non-blood community through affectionate gazes towar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can be reproduced as an example of good cultural content, if one can create new stories through reappearance or adaption of the original 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석, "현씨양웅쌍린기" 경인문화사 2006

      2 서정화, "한문고전의 번역 방식에 대한 일고-공동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학회 6 : 237-266, 2015

      3 이강옥, "초등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의의와 방향" 한국어문학회 (88) : 129-161, 2005

      4 김문희, "장편가문소설의 현대역의 문제와 고전(古典)의 재구성" 우리말글학회 57 : 161-190, 2013

      5 소재영, "임진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6 한길연, "유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7 이상구, "원본 숙향전·숙영낭자전" 문학동네 2010

      8 이상구, "숙향전·숙영낭자전" 문학동네 2010

      9 박진아, "송부인전·금방울전" 박이정 2014

      10 김현룡, "서평: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한국고소설학회 (39) : 343-345, 2015

      1 이윤석, "현씨양웅쌍린기" 경인문화사 2006

      2 서정화, "한문고전의 번역 방식에 대한 일고-공동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학회 6 : 237-266, 2015

      3 이강옥, "초등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의의와 방향" 한국어문학회 (88) : 129-161, 2005

      4 김문희, "장편가문소설의 현대역의 문제와 고전(古典)의 재구성" 우리말글학회 57 : 161-190, 2013

      5 소재영, "임진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6 한길연, "유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7 이상구, "원본 숙향전·숙영낭자전" 문학동네 2010

      8 이상구, "숙향전·숙영낭자전" 문학동네 2010

      9 박진아, "송부인전·금방울전" 박이정 2014

      10 김현룡, "서평: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한국고소설학회 (39) : 343-345, 2015

      11 서인석, "명주옥연기합록" 영남대학교출판부 2018

      12 "대구에 고소설 박물관 세우는 것이 꿈"

      13 임치균, "낙셩비룡·문장풍뉴삼대록·징셰비태록"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14 임치균, "낙성비룡·문장풍류삼대록·징세비태록"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15 "김광순 택민국학연구원장 “고소설 문학관 대구에 설립해야”"

      16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3차 역주본 8권 출간. 문화상품토대 마련의 길잡이"

      17 임치균, "고전소설의 대중화 문제"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209-227, 2002

      18 이상택, "고전소설의 기초 연구" 태학사 2001

      19 정창권, "고전 스토리텔러의 세계와 미래" 국어문학회 58 (58): 191-213, 2015

      20 김탁환, "고소설과 이야기 문학의 미래" 한국고소설학회 (17) : 5-28, 2004

      21 조희웅, "고소설 역주의 역사적 실상과 의의" 택민국학연구원 (22) : 9-32, 2018

      22 김진경, "〈숑부인젼〉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고소설 현대어 번역 新문화상품”...고소설 역주사업 3차 11편 출간"

      24 "“古小說, 일반인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고소설 40편, 우리말로 번역…역주본 출간하는 김광순 교수"

      25 신해진,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작업의 의의 및 그 후속의 역주와 DB 구축을 위한 제언" 택민국학연구원 (22) : 33-68, 2018

      26 권영호,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의 인문학적 활용과 문화콘텐츠화 방향" 택민국학연구원 (22) : 69-103, 2018

      27 신태수,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의 의의와 활용방법" 택민국학연구원 (22) : 105-135, 2018

      28 김소라, "<숑부인젼>에 나타난 여성의 현실과 꿈" 한국어문연구학회 14 : 93-108, 2003

      29 김소라, "<숑부인젼> 연구: 여성의 시련과 자매애" 문학과 언어학회 29 : 87-108, 2007

      30 김광순, "<숑부인젼> 구조의 분석적 고찰"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0 : 167-186, 1981

      31 김용기, "<송부인전>의 창작관습과 서사 전략 - 기획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52) : 89-120, 2016

      32 박진아, "<송부인전>에서 모함 모티프가 나타나는 양상과 그 의의" 택민국학연구원 (14) : 191-236, 2014

      33 박은정, "<송부인전>에 나타난 가부장의 위상과 가족의 재구성" 민족문화연구소 (58) : 231-262, 2014

      34 조희웅,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제1차 번역본8권에 대하여" 한국고전문학회 (47) : 451-456, 2015

      35 신태수,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 제1차 8권 완역, 그 경과와 전망-필사본 고소설 유일본과 희귀본 작품을 대상으로-" 동아인문학회 31 : 563-565, 2015

      36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 7차본"

      37 설중환,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2차본 발간에 즈음하여" 한국고소설학회 (41) : 407-410, 2016

      38 송성욱,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 —현대역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3) : 399-427, 2011

      39 구본기,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방안> 사례발표-조선시대 대하소설을 통한 시나리오 창작소재 및 시각자료 개발-" 한국고전문학회 (25) : 71-5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