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광순 소장 필사본 <미인도>를 통해 본 신작 고소설의 가치와 활용 = The Value and Utilization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Portrait of a Beauty in Kim Kwang Soon’s Col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4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김광순 소장 필사본 <미인도>를 대상으로 이른바 신작 고소설의 가치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작 고소설은 그동안 애매한 영역에 머물러 있었고 그 가치에 대해서도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기에 새로운 시각에서 다루어볼 필요가 있었다.
      <미인도>는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에 수록되어 있는 474편 중 하나로 최근 완간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에 활자화된 원문과 현대어역이 실려 있다.
      기존 연구는 <미인도>의 문헌적 양상과 형성 과정 그리고 변모 양상을 두루 다루었다. 하지만 <미인도> 필사본의 기능이나 가치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고 작품의 내용도 세밀한 부분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점도 없지 않아 보였다. 그리고 최근 현대어 역주본 출간 관련하여 활용에 대한 검토가 없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인도>의 줄거리를 간략히 소개하고, <미인도>를 포함한 신작 고소설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째, 신작 고소설의 대중성 내지는 통속성의 문제이다. 기존의 대중소설 논의와 최근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흥미와 재미를 추구하는 고소설의 가치를 재고해야 하며 <미인도>가 전형적인 대중소설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미인도>에서 여성 인물이 부각되고 여성들의 연대가 주제적으로 연결되고 있는데 이는 여성 독자층과 관련된다고 보았다.
      셋째, <미인도>는 서술자의 개입이 특징인데 이것이 ‘신식’의 구사와 관련되며 신작 고소설의 작의와도 연결된다고 보았다.
      넷째, <미인도>라는 제목 명명 또한 신작 고소설의 작의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고 보았다.
      <미인도>의 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소설의 향유를 재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를 위해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공유, 시스템, 필사본의 특징을 살리는 활용도 아울러 언급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김광순 소장 필사본 <미인도>를 대상으로 이른바 신작 고소설의 가치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작 고소설은 그동안 애매한 영역에 머물러 있었고 그 가치에 대해서도 크게 ...

      이 글은 김광순 소장 필사본 <미인도>를 대상으로 이른바 신작 고소설의 가치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작 고소설은 그동안 애매한 영역에 머물러 있었고 그 가치에 대해서도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기에 새로운 시각에서 다루어볼 필요가 있었다.
      <미인도>는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에 수록되어 있는 474편 중 하나로 최근 완간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에 활자화된 원문과 현대어역이 실려 있다.
      기존 연구는 <미인도>의 문헌적 양상과 형성 과정 그리고 변모 양상을 두루 다루었다. 하지만 <미인도> 필사본의 기능이나 가치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고 작품의 내용도 세밀한 부분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점도 없지 않아 보였다. 그리고 최근 현대어 역주본 출간 관련하여 활용에 대한 검토가 없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인도>의 줄거리를 간략히 소개하고, <미인도>를 포함한 신작 고소설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째, 신작 고소설의 대중성 내지는 통속성의 문제이다. 기존의 대중소설 논의와 최근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흥미와 재미를 추구하는 고소설의 가치를 재고해야 하며 <미인도>가 전형적인 대중소설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미인도>에서 여성 인물이 부각되고 여성들의 연대가 주제적으로 연결되고 있는데 이는 여성 독자층과 관련된다고 보았다.
      셋째, <미인도>는 서술자의 개입이 특징인데 이것이 ‘신식’의 구사와 관련되며 신작 고소설의 작의와도 연결된다고 보았다.
      넷째, <미인도>라는 제목 명명 또한 신작 고소설의 작의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고 보았다.
      <미인도>의 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소설의 향유를 재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를 위해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공유, 시스템, 필사본의 특징을 살리는 활용도 아울러 언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newly created old novel, Portrait of a Beauty looking at the discussion to date, and discuss new 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Previous research has covered the literatur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Portrait of a Beauty. However, there was no mention of the function or value of the existing Portrait of a Beauty manuscript, with the details of the work seemingly to have not been covered. Additionally, there has been no review in the use of the modern translation in relation to recent publication. I looked at a few things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briefly introduce the plot of Portrait of a Beauty and examine the value of the new story.
      First, is a matter of popularity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Based on existing popular novel discussions and recent discussions, we should reconsider the value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as one seeking interest and fun, and we looked at Portrait of a Beauty as a typical popular novel character.
      Second, in Portrait of a Beauty female figures are highlighted and female solidarity is connected thematically, which is related to the modern female readership.
      Third, Portrait of a Beauty is characterized by the narrator's intervention, which is related to the use of "new style" and is also linked to the work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Fourth, the title of Portrait of a Beauty was also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newly created old novel.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newly created old novel, Portrait of a Beauty looking at the discussion to date, and discuss new 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Previous research has covered the literatur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Portrait ...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newly created old novel, Portrait of a Beauty looking at the discussion to date, and discuss new 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Previous research has covered the literatur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Portrait of a Beauty. However, there was no mention of the function or value of the existing Portrait of a Beauty manuscript, with the details of the work seemingly to have not been covered. Additionally, there has been no review in the use of the modern translation in relation to recent publication. I looked at a few things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briefly introduce the plot of Portrait of a Beauty and examine the value of the new story.
      First, is a matter of popularity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Based on existing popular novel discussions and recent discussions, we should reconsider the value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as one seeking interest and fun, and we looked at Portrait of a Beauty as a typical popular novel character.
      Second, in Portrait of a Beauty female figures are highlighted and female solidarity is connected thematically, which is related to the modern female readership.
      Third, Portrait of a Beauty is characterized by the narrator's intervention, which is related to the use of "new style" and is also linked to the work of the newly created old novel.
      Fourth, the title of Portrait of a Beauty was also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newly created old no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보영, "활자본 고전소설 <미인도>의 성립과 변모 양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6) : 115-144, 2013

      2 권순긍, "활자본 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보고사 2000

      3 권순긍, "헌집줄게, 새집다오-고전소설의 근대적 변개와 콘텐츠" 소명출판 2019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2005

      5 임성래,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태학사 1995

      6 박영민, "조선시대의 미인도와 여성초상화 독해를 위한 제언" 근역한문학회 42 : 41-75, 2015

      7 조성면, "장르문학, 또 하나의 우리 근대문학" 국립중앙도서관 10 : 10-19, 2020

      8 안영훈, "야담 활용 연구 현황과 교육 사례" 택민국학연구원 (24) : 297-313, 2019

      9 이은숙, "신작 구소설의 성격을 통해 본 연구 전망" 국어문학회 34 : 349-373, 1999

      10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서울대학교출판부 1973

      1 서보영, "활자본 고전소설 <미인도>의 성립과 변모 양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6) : 115-144, 2013

      2 권순긍, "활자본 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보고사 2000

      3 권순긍, "헌집줄게, 새집다오-고전소설의 근대적 변개와 콘텐츠" 소명출판 2019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2005

      5 임성래,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태학사 1995

      6 박영민, "조선시대의 미인도와 여성초상화 독해를 위한 제언" 근역한문학회 42 : 41-75, 2015

      7 조성면, "장르문학, 또 하나의 우리 근대문학" 국립중앙도서관 10 : 10-19, 2020

      8 안영훈, "야담 활용 연구 현황과 교육 사례" 택민국학연구원 (24) : 297-313, 2019

      9 이은숙, "신작 구소설의 성격을 통해 본 연구 전망" 국어문학회 34 : 349-373, 1999

      10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서울대학교출판부 1973

      11 경일남, "미인도의 인물대립양상과 의미" 어문연구학회 30 : 35-49, 1998

      12 김귀석, "미인도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48 : 1-16, 2002

      13 김광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숙영낭자전·홍백화전" 박이정 2015

      14 박진아,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미인도·길동" 박이정 2017

      15 이주영,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월인 2001

      16 조현우, "고소설 연구의 ‘현재’로 보는 ‘미래’-실용적 인문학으로서의 고소설 연구를 위하여-" 한국고전문학회 27-40, 2020

      17 김종철, "『미인도』 연구" 아주대 인문과학연구소 2 : 33-46, 1991

      18 권순긍, "‘근대주의’에서 ‘이야기책’의 본질로-고소설 연구의 반성과 전망" 한국고소설학회 115 : 4-17, 2021

      19 경일남, "<미인도>의 서지적 실태와 문학적 실상" 어문연구학회 25 : 107-124, 1994

      20 김현우, "<미인도>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한국어문연구학회 15 : 113-136, 2004

      21 경일남, "<미인도>에 투영된 조선 후기의 사회상" 어문연구학회 36 : 167-186,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