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중국과의 관계에서 지어졌던 事大文書, ‘表箋’을 한 시대의 ‘문장’으로 접근하여 문장으로서의 기능을 살피고 수사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2302
-
2011년
Korean
표전 ; Gwan-gak Literature ; Ming Dynasty ; Sinocentrism ; Cing Dynasty ; Pyojeon ; Diplomatic document ; Choseon Dynasty ; rule of Pyojeon ; rhetorical device ; 文章華國 ; 조선시대 ; 외교 ; 명나라 ; 청나라 ; 사대문서 ; 수사적 전략 ; 관각문학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중국과의 관계에서 지어졌던 事大文書, ‘表箋’을 한 시대의 ‘문장’으로 접근하여 문장으로서의 기능을 살피고 수사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중국과의 관계에서 지어졌던 事大文書, ‘表箋’을 한 시대의 ‘문장’으로 접근하여 문장으로서의 기능을 살피고 수사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표전을 시대별, 유형별로 수집, 정리하였고 표전의 문구와 양식을 둘러싸고 벌어진 외교 갈등의 면면과 조정의 대응, 제술 과정, 문인들의 인식 등을 통해 표전의 제술 관행과 文章華國의 기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국익과 직결되는 문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장 교육의 강화, 제술 과정의 세분화, 검토 과정의 다각화 등 문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표현 방식과 수사적 전략 면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던 조선 조정의 움직임을 주시하였다.
이러한 국가 차원의 노력들은 실제 표전 작품 속에서 中華主義的 세계 질서와 명문·의리·예와 같은 전통적 개념을 수용하면서 국익과 실리를 확보하기 위해 어휘 선정에서부터 구절의 배치, 윤문에 이르기까지 문장의 구성과 표현을 특별히 고려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고,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최대한 논리적이면서 설득력 있게 표현하기 위해 수사적 장치가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사대문서’,‘비창의적인 글’로 간주하며 놓쳐버렸던 여러 가지 유의미한 요소들을 포착, 표전이 비중 있는 ‘그 시대의 문장’이었음을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名分의 논리와 華夷觀의 잣대가 작용하던 세계 질서 속에서 정책적으로 事大를 수용한 대신 그 안에서 국익과 국가적 자존심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 또한 게을리 하지 않았던 조선 시대 대명·대청 외교의 이면을 파악하는 계기도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approach "pyojeons"(old diplomatic documents of a kind and writings offered to kings, queens, and crown princes), which were created during Joseon in its relationships with China, as "writings" of a period, examine their function...
This study set out to approach "pyojeons"(old diplomatic documents of a kind and writings offered to kings, queens, and crown princes), which were created during Joseon in its relationships with China, as "writings" of a period, examine their functions as writings, and explore their rhetoric strategie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llected and sorted out pyojeons during Joseon according to periods and investigated their writing practices and the functions of "Promoting one's country with writings" through the aspects of diplomatic conflicts over the expressions and styles of pyojeons, the responses of Joseon's royal court, creation process, and the literary figures' perceptions. Special focus was placed on the movements of Joseon's royal court, which tried to search for solutions in the aspect of expressive styles and rhetoric strategies in addition to building a writings management system by reinforcing writings education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writings directly connected to national interests, segmenting the creation process, and diversifying the review process.
Those national-level efforts were reflected in pyojeons in the form of particular considerations of description from selection of vocabulary to placement and embellishment of sentences in order to secure national interests and actual profits while accepting the Sinocentric world order and such traditional concepts as beautiful composition, righteousness, and courtesy. Also rhetoric devices were used to convey the desired content in the most logical and persuasive fashion.
The study successfully proved that pyojeons were "important writings of the times" by capturing various significant elements that had been missed out as they were regarded as "sycophant documents" and "uncreative writings." In addition, it also shed light onto the other side of Joseon's diplomacy with Ming and Qing Dynasty as it tried hard to maintain the interests and pride of the nation in the world order dominated by the logic of moral duty and the rules of Sinocentric views instead of accepting sycophancy as a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