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년 사회적기업가들의 창업 과정을 탐색하여 이들이 청년으로서 갖는 위치가 창업 환경 및 창업 지원 제도와 결합하는 과정을 살폈다. 이를 위해 청년 사회적기업가 16명을 대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63059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1-128(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 사회적기업가들의 창업 과정을 탐색하여 이들이 청년으로서 갖는 위치가 창업 환경 및 창업 지원 제도와 결합하는 과정을 살폈다. 이를 위해 청년 사회적기업가 16명을 대상...
본 연구는 청년 사회적기업가들의 창업 과정을 탐색하여 이들이 청년으로서 갖는 위치가 창업 환경 및 창업 지원 제도와 결합하는 과정을 살폈다. 이를 위해 청년 사회적기업가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중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 사회적기업가의 창업 단계는 크게 네 가지로 범주화되었으며 청년으로서의 정체성은 각각의 단계에서 이들이 행하는 경제적 선택 및 변화하는 개인적 가치관과 관련이 있었다. 첫째, 진로 고민 단계에서는 사회적기업가의 개인적 특성으로 과거 경험과 가치관이 창업 결심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창업 아이디어 단계 및 창업 단계에서는 환경적 요인으로 정부의 지원 제도와 창업 공모전에서의 성공이 창업 지속에 중요 역할을 하였으며 사회적기업가들은 동종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회적기업 생태계 내부에서 통용되는 가치관 및 태도를 학습하였다. 셋째, 기업 성장 단계에서 사회적기업가들은 제도적 지원을 넘어 경제적으로 자립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기업가들은 사회적기업이 추구해야 할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대한 재정의 및 우선순위 인식과 함께 정부 제도 및 기업 생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치 판단의 기준에 의문을 제기하며, 사회적기업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려는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청년 사회적기업가들의 창업 과정에서 다양한 개인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보여주며, 특히 지원 제도와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함께 청년 사회적기업가가자발적으로 창업 생태계를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 사회적기업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선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 지속 가능한 사회적기업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ntrepreneurial processes of young social entrepreneurs, focusing on how their position as youth intersects with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6 young...
This study explores the entrepreneurial processes of young social entrepreneurs, focusing on how their position as youth intersects with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6 young social entrepreneurs, and a multiple case study methodology was employe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ntrepreneurial journey of young social entrepreneur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distinct stages, with their identity as youth influencing their economic decisions and evolving personal values at each stage. First, during the career contemplation stage, past experiences and personal values emerged as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to start a business.
Second, in the idea development and startup stage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overnment support programs and success in startup competition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sustaining entrepreneurial efforts. During this stage, social entrepreneurs formed peer networks, learning the values and attitudes commonly practiced within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Third, at the business growth stage, social entrepreneurs sought to achieve financial independence beyond institutional support. In this process, they redefined and reprioritized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s that social enterprises aim to pursue. This study highlights the complex interplay of personal,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i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young social entrepreneurs. These findings provide cri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support young social entrepreneurs and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sustainable social enterprise models.
무규정 인구에 대한 정책 연구의 필요성과 어려움 - 무국적⋅미등록 아동에 관한 학술연구 중심 -
성장지역과 대학 소재지에 따른 수도권과 지방 청년의 혼인 이행 격차에 관한 연구
청년 1인가구의 식품미보장과 외로움 간의 관계 -소득계층별 비교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