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인우체국 장애인 서비스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2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despite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are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the advanced countries. Especially, unmanned facilities and devices are not available for disabled people without help. As interest in disabled people increased,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 should be legally installed in the public places. Moreover, social consensus formation and technical approaches are being actively pursu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ve-step scenario to use an unmanned post office. Based on the proposed scenario, we present the metho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unmanned facilities. And we present a plan for establishing the short- and medium-term service models. This plan is expected to be highly practicable because i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 Post and analysis result of the domestic and oversea cases.
      번역하기

      Recently, despite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are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the advanced countries. Especially, unmanned facilities and devices are not available for disabl...

      Recently, despite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are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the advanced countries. Especially, unmanned facilities and devices are not available for disabled people without help. As interest in disabled people increased,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 should be legally installed in the public places. Moreover, social consensus formation and technical approaches are being actively pursu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ve-step scenario to use an unmanned post office. Based on the proposed scenario, we present the metho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unmanned facilities. And we present a plan for establishing the short- and medium-term service models. This plan is expected to be highly practicable because i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 Post and analysis result of the domestic and oversea c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장애인 서비스 현황 분석
      • 3. 무인우체국 장애인 서비스 모델 수립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장애인 서비스 현황 분석
      • 3. 무인우체국 장애인 서비스 모델 수립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

      3 윤여경,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모바일 앱(App) UX/UI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429-439, 2015

      4 이성일,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향상을 위한 보편적 설계에 관한 연구" 26 (26): 402-410, 2000

      5 허환, "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감성 인터페이스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30 (30): 229-235, 2011

      6 "장애인을 위한 CD/ATM 표준"

      7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8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9 이민규, "장애인 모바일접근성 관련 가이드라인 조사 및 분석에 관한연구" 1533-1537, 2015

      10 최석준, "유니버셜디자인 개념 적용의 공공시설물디자인 사례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465-473, 2010

      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

      3 윤여경,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모바일 앱(App) UX/UI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429-439, 2015

      4 이성일,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향상을 위한 보편적 설계에 관한 연구" 26 (26): 402-410, 2000

      5 허환, "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감성 인터페이스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30 (30): 229-235, 2011

      6 "장애인을 위한 CD/ATM 표준"

      7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8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9 이민규, "장애인 모바일접근성 관련 가이드라인 조사 및 분석에 관한연구" 1533-1537, 2015

      10 최석준, "유니버셜디자인 개념 적용의 공공시설물디자인 사례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465-473, 2010

      11 최소영, "유니버셜 디자인관점에서 본지하철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151-152, 2014

      12 김민주, "유니버설디자인 이론을 통한 일본 장애인복지시설 사례분석" 199-202, 2016

      13 김승경, "웹사이트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유용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2 (32): 17-40, 2007

      14 최지영, "우편물량 규모에 따른 운영비용 기준의 무인화 대상우체국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3 (33): 1-18, 2016

      15 김유리, "안경형 스마트 기기를활용한 장애인용 서비스 기획" 96-102, 2015

      16 한현수, "실버산업의 ICT 융합 유형과 ICT 기여 가치 탐색" 한국경영과학회 34 (34): 57-70, 2017

      17 김보일, "시각장애인의 보편적 정보접근을 위한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연구" 301-326, 2016

      18 김기원, "시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을 위한 버스 및 버스정류장 디자인 개선방안" 56-57, 2016

      19 최대건, "생활가전의 UX 디자인 분석과제안" 341-344, 2016

      20 김준영, "상황인지 컴퓨팅환경에서 사용자 선호도를 고려한 시스템 개발" 한국경영과학회 33 (33): 31-51, 2008

      21 권정인, "박물관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환경 평가요소 분석 :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25-135, 2015

      22 홍승권, "모바일 폰 한글입력방식의 유니버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26 (26): 117-124, 2007

      2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접근성 지침"

      24 "금융자동화기기 접근성 지침"

      25 예춘홍, "공공공간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4 : 239-250, 2016

      26 전병태, "공공 문화예술기관 장애인 서비스 개선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27 Dhayalan, D., "Vision check up for disabled persons by using mobile interaction" 9 (9): 1-5, 2016

      28 Zhan, K., "Multi-scale Conditional Random Fields for first-person activity recognition on elders and disabled patients" 16 : 251-267, 2015

      29 IBM, "IBM Customer Facing Solutions Portfolio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30 Consumer Focus Post, "Consumer friendly post offices? Access,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in Northern Ireland’s Post Office network" Consumer Focus 2011

      31 Poste Italiane, "Accessibility in Post Offices in Milan, Italy"

      32 Kim, C.G., "A context awareness system in the disabled persons facilities based on the USN" 18 (18): 18-15,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3 0.99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