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고 있는 것/더 알아야 할 사항들’과 ‘省察日誌’ 작성하기를 통한 學術的 글쓰기 연구 = A Case Study of Academic Writing using ‘facts/learning issues’ & ‘jour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8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presents a case study of Academic writing based on constructivism, which was conducted in Kyung-Hee university during the frist semester of 2014. In this writing class, students were advised to select a topic, which is personalized and relevant to one's major. After that, they had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on the topic for themselves. In order to complete their work, they filled out ‘facts/learning issues’ and kept a thought journal.
      For students, writing ‘facts/learning issues’ was a burdensome task since they hated to realize their lack of knowledge on the topic they have selected. However, after realizing what they do not know about the chosen topic, their learning motivation was enhanced and resulted in active reading and enthusiastic learning.
      According to thought journals, students had a hard time in the middle of writing process. They worried about topics considering topic changes. But their confidence in writing was raised to higher level from lower level when they received the topic confirmation and professor's compliment in addition to their increasing interest on the their own topic. At about the time to wrap up their writing proces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own work. So, the graph of journal showed ‘U/W curve’.
      번역하기

      This article represents a case study of Academic writing based on constructivism, which was conducted in Kyung-Hee university during the frist semester of 2014. In this writing class, students were advised to select a topic, which is personalized and ...

      This article represents a case study of Academic writing based on constructivism, which was conducted in Kyung-Hee university during the frist semester of 2014. In this writing class, students were advised to select a topic, which is personalized and relevant to one's major. After that, they had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on the topic for themselves. In order to complete their work, they filled out ‘facts/learning issues’ and kept a thought journal.
      For students, writing ‘facts/learning issues’ was a burdensome task since they hated to realize their lack of knowledge on the topic they have selected. However, after realizing what they do not know about the chosen topic, their learning motivation was enhanced and resulted in active reading and enthusiastic learning.
      According to thought journals, students had a hard time in the middle of writing process. They worried about topics considering topic changes. But their confidence in writing was raised to higher level from lower level when they received the topic confirmation and professor's compliment in addition to their increasing interest on the their own topic. At about the time to wrap up their writing proces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own work. So, the graph of journal showed ‘U/W cur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本考에서는 2014학년도 1학기 경희대학교에서 실시했던 ‘알고 있는 것/더 알아야 할 사항들’과 ‘省察日誌’ 작성하기를 통한 학술적 글쓰기 연구 사례를 提示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學習者가 자신의 관심이나 전공과 관련하여 小論文 主題를 정하고, 問題를 解決하기 위해 자신의 知識 世界를 主體的으로 構成해 나가면서 眞正性 있는 自己 목소리를 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알고 있는 것/더 알아야 할 사항들’을 작성하면서 학습자들은 자신이 쓰려는 주제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것을 負擔스러워 했다. 하지만 ‘더 알아야 할 사항들’을 찾기 위해 책이나 논문을 찾아 읽는 과정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能動的인 학습이 이루어졌다.
      ‘省察日誌’에서 학습자들은 중반에 논문 주제 변경, 주제에 대한 고민 등으로 최저점을 찍고 주제 확정, 교수자의 칭찬, 주제에 대한 관심 고조 등으로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논문 완성 시기에는 비교적 높은 점수로 마무리되는 U자 또는 W자 곡선을 보였다.
      번역하기

      本考에서는 2014학년도 1학기 경희대학교에서 실시했던 ‘알고 있는 것/더 알아야 할 사항들’과 ‘省察日誌’ 작성하기를 통한 학술적 글쓰기 연구 사례를 提示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學習...

      本考에서는 2014학년도 1학기 경희대학교에서 실시했던 ‘알고 있는 것/더 알아야 할 사항들’과 ‘省察日誌’ 작성하기를 통한 학술적 글쓰기 연구 사례를 提示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學習者가 자신의 관심이나 전공과 관련하여 小論文 主題를 정하고, 問題를 解決하기 위해 자신의 知識 世界를 主體的으로 構成해 나가면서 眞正性 있는 自己 목소리를 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알고 있는 것/더 알아야 할 사항들’을 작성하면서 학습자들은 자신이 쓰려는 주제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것을 負擔스러워 했다. 하지만 ‘더 알아야 할 사항들’을 찾기 위해 책이나 논문을 찾아 읽는 과정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能動的인 학습이 이루어졌다.
      ‘省察日誌’에서 학습자들은 중반에 논문 주제 변경, 주제에 대한 고민 등으로 최저점을 찍고 주제 확정, 교수자의 칭찬, 주제에 대한 관심 고조 등으로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논문 완성 시기에는 비교적 높은 점수로 마무리되는 U자 또는 W자 곡선을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하, "학술적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성균관대 <학술적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0, 2012

      2 강인애, "인지적 도제이론에 입각한 대학교 컴퓨터 음악 수업 사례: 학습자로서의 자신감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2) : 131-147, 2011

      3 원만희,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의 위상과 학술적 글쓰기 모델" 철학문화연구소 (65) : 120-137, 2005

      4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5-65, 2007

      5 원진숙,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민족어문학회 51 : 55-86, 2005

      6 최윤정, "대학생 小論文 작성 지도 사례 연구 -아이디어 생성 및 조직하기 단계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405-430, 2012

      7 노명완, "대학 작문-현 실태, 개념적 특성, 그리고 미래적 지향" 대학작문학회 (창간) : 11-39, 2010

      8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7-42, 2014

      9 정희모, "대학 작문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 한국작문학회 (21) : 29-56, 2014

      10 린다 플라워, "글쓰기의 문제 해결 전략" 동문선 19-36, 2000

      1 박정하, "학술적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성균관대 <학술적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0, 2012

      2 강인애, "인지적 도제이론에 입각한 대학교 컴퓨터 음악 수업 사례: 학습자로서의 자신감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2) : 131-147, 2011

      3 원만희,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의 위상과 학술적 글쓰기 모델" 철학문화연구소 (65) : 120-137, 2005

      4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5-65, 2007

      5 원진숙,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민족어문학회 51 : 55-86, 2005

      6 최윤정, "대학생 小論文 작성 지도 사례 연구 -아이디어 생성 및 조직하기 단계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405-430, 2012

      7 노명완, "대학 작문-현 실태, 개념적 특성, 그리고 미래적 지향" 대학작문학회 (창간) : 11-39, 2010

      8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5 : 7-42, 2014

      9 정희모, "대학 작문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 한국작문학회 (21) : 29-56, 2014

      10 린다 플라워, "글쓰기의 문제 해결 전략" 동문선 19-36, 2000

      11 지현배, "글쓰기 클리닉 프로그램을 통해 본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현실과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12 박성익, "교육 공학의 원리와 적용" 교육과학사 246-249, 2012

      13 손동현, "교양교육으로서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 대학 및 중고교 논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 새한철학회 1 (1): 523-550, 2006

      14 오태호, "경희대학교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 실제-‘글쓰기 2’ 『대학 글쓰기: 세계와 나』 교재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9) : 387-421, 2014

      15 김남미, "專攻글쓰기 能力 啓發을 위한 WAC 협력 과정 -哲學 授業 事例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477-504, 2013

      16 David Nuna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Cambridge Applied Llinguistics 1-4, 1989

      17 강인애, "PBL의 실천적 이해-PBL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도서출판 문음사 25-, 2007

      18 신희선, "PBL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교육 사례연구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글쓰기 동기부여전략"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52, 2014

      19 최상민,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 연구 ―집단인지와 개별인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대학작문학회 (9) : 11-33, 2014

      20 남진숙,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모델과 그 의의-이공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 (6): 83-11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