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63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산업은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이며, 한 나라의 문화에 대한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산업으로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영화산업의 중요성과 ...

      영화산업은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이며, 한 나라의 문화에 대한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산업으로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영화산업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국가적인 공감대의 형성 부족과 영화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서의 가치 인식의 미미로 인하여 영화산업의 발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9년 산업연관표에서 영화제작 및 배급, 영화상영 등 2개 부문만을 영화산업으로 한정하고 새로이 영화 산업연관표를 작성, 활용하여 영화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영화산업의 총생산유발액은 82.8조원이며, 특히 영화산업 산업(영화제작 및 배급부문과 영화상영 부문)의 생산유발계수는 2.324(2.240, 2.478), 감응도 계수 0.825(0.825, 0.501),영향력계수 1.163(1.121, 1.240),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884(0.479, 0.547), 소득유발계수 0.454(0.211, 0.236), 생산세유발계수 0.110(0.090, 0.146) 그리고 노동유발계수 0.017(0.014,0.022) 등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lm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oosts the self-esteem of the people as a measure of a countrys culture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film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

      The film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oosts the self-esteem of the people as a measure of a countrys culture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film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on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film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the study used the film Input-Output Table of year 2009 of korea to analyze how much the film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The results shows that film industry induce 82,838.7 billion won of national production, especially the film industry(the sector of film product & distribution and film screenings)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2.324(2.240, 2.478),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1.163(1.121, 1.240),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825(0.825, 0.501), value-added coefficient is 0.884(0.479, 0.547),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is 0.454(0.211, 0.236), tax inducement coefficient is 0.110(0.090, 0.146) and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is 0.017(0.014, 0.022).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영화산업 산업연관모형의 이론적 분석
      • Ⅲ. 영화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영화산업 산업연관모형의 이론적 분석
      • Ⅲ. 영화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8 (8): 134-143, 2008

      2 한국은행,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투입산출팀 1-7, 2004

      3 김휴종, "영화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경제적 효과" 28-33, 2004

      4 임응순,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산업개발연구소 27 (27): 89-108, 2011

      5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산업의 경쟁력과 경제적효과" KOFIC 262-304, 2005

      6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7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8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비봉출판사 1994

      9 배기형, "문화경제의 이해" 두남 2009

      10 "http://www.kobiz.or.kr/jsp/foreign/main.jsp? conCd=WORLD"

      1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8 (8): 134-143, 2008

      2 한국은행,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투입산출팀 1-7, 2004

      3 김휴종, "영화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경제적 효과" 28-33, 2004

      4 임응순,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산업개발연구소 27 (27): 89-108, 2011

      5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산업의 경쟁력과 경제적효과" KOFIC 262-304, 2005

      6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7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8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비봉출판사 1994

      9 배기형, "문화경제의 이해" 두남 2009

      10 "http://www.kobiz.or.kr/jsp/foreign/main.jsp? conCd=WORLD"

      11 한국은행, "2009 년도 산업연관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