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아동친화 도시계획의 특징과 한국에의 시사점 = Characteristics of Child Friendly City Planning of Germany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9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ninety-six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participating in UNICEF’s Child Friendly City (CFC) project.
      UNICEF emphasizes the role of urban planning to realize a CFC; however, Korea only focuses on the welfare of a CFC.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y’s CFC initiative and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FC in Korea. A literature review was used in this research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a CFC. Herein, we suggest three implications based on the German CFC initiative to establish a domestic CFC. First,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develop appropriate urban planning techniqu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ights of child participation, legally. Third, a CFC initiative needs to be divided into “child friendly city planning” and “youth friendly city planning.”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ill become the key factors to establish a child-friendly environment in Korea in the near future.
      번역하기

      Currently, ninety-six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participating in UNICEF’s Child Friendly City (CFC) project. UNICEF emphasizes the role of urban planning to realize a CFC; however, Korea only focuses on the welfare of a CFC. This study aims to ...

      Currently, ninety-six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participating in UNICEF’s Child Friendly City (CFC) project.
      UNICEF emphasizes the role of urban planning to realize a CFC; however, Korea only focuses on the welfare of a CFC.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y’s CFC initiative and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FC in Korea. A literature review was used in this research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a CFC. Herein, we suggest three implications based on the German CFC initiative to establish a domestic CFC. First,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develop appropriate urban planning techniqu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ights of child participation, legally. Third, a CFC initiative needs to be divided into “child friendly city planning” and “youth friendly city planning.”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ill become the key factors to establish a child-friendly environment in Korea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국내 96개의 지자체가 유니세프의 아동친화도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유니세프는 아동친화도시의 실현을 위해 도시계획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만, 국내 아동친화도시는 그 초점이 복지에 맞춰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아동친화 도시계획을 추진해 온 독일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아동친화 도시계획 수립에의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일 아동친화 도시계획이 국내 아동친화 도시계획의 수립에 시사하는 바를다음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정부가 적절한 도시계획기법을 주도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법적으로 아동의 참여를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셋째, ‘어린이친화 도시계획’과 ‘청소년친화 도시계획’을 구분해 아동친화 도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본 논문의 시사점이 향후 국내 아동친화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기대된다.
      번역하기

      현재 국내 96개의 지자체가 유니세프의 아동친화도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유니세프는 아동친화도시의 실현을 위해 도시계획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만, 국내 아동친화도시는 그 초점이 ...

      현재 국내 96개의 지자체가 유니세프의 아동친화도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유니세프는 아동친화도시의 실현을 위해 도시계획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만, 국내 아동친화도시는 그 초점이 복지에 맞춰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아동친화 도시계획을 추진해 온 독일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아동친화 도시계획 수립에의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일 아동친화 도시계획이 국내 아동친화 도시계획의 수립에 시사하는 바를다음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정부가 적절한 도시계획기법을 주도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법적으로 아동의 참여를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셋째, ‘어린이친화 도시계획’과 ‘청소년친화 도시계획’을 구분해 아동친화 도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본 논문의 시사점이 향후 국내 아동친화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효진, "초등학생의 참여를 통한 어린이 친화적 근린환경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 성북구 길음동 미아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 관계부처합동, "제1차(‘15’~19) 아동정책 기본계획" 보건복지부 2015

      3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4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5 전라매일, "완주군, 장애아동 놀이터 조성"

      6 박효숙, "어린이 참여 마을설계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93 : 149-167, 2017

      7 허윤선, "어린이 공간환경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8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알기 쉬운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길라잡이"

      9 최진호, "아동친화도시 근린공원의 아동친화환경 분석 -성북구 모랫말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47 (47): 87-102, 2019

      10 류정희,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 이효진, "초등학생의 참여를 통한 어린이 친화적 근린환경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 성북구 길음동 미아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 관계부처합동, "제1차(‘15’~19) 아동정책 기본계획" 보건복지부 2015

      3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4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5 전라매일, "완주군, 장애아동 놀이터 조성"

      6 박효숙, "어린이 참여 마을설계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93 : 149-167, 2017

      7 허윤선, "어린이 공간환경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8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알기 쉬운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길라잡이"

      9 최진호, "아동친화도시 근린공원의 아동친화환경 분석 -성북구 모랫말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47 (47): 87-102, 2019

      10 류정희,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1 장주리, "독일 아동・청소년지원법(SGB VIII-Kinder und Jugendhilfegesetz) 개편과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 : 106-111, 2017

      12 신정엽, "도시지리학 관점에서 아동친화도시(child-friendly city)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리학회 7 (7): 399-413, 2018

      13 "국가법령 홈페이지"

      14 관계부처합동,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보건복지부 2018

      15 Deutscher Bundestag, "Zur Aufnahme von Kinderrechten in das Grundgesetz" Deutscher Bundestag 2019

      16 "Yellow-Ingelheim"

      17 Hurrelmann, Klaus, "Warum die junge Generation politisch stärker partizipieren muss"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44 : 3-7, 2001

      18 Stange, Waldemar, "Von der Projektevielfalt zur Strukturentwicklung: Kinder- und Jugendpartizipation nachhaltig verankern. In Dokumentation: Fachtagung Jugendbeteiligung in Brandenburger Kommunen"

      19 "UNICEF Germany"

      20 Kaplan, R., "The Experience of N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21 "StadtKinder"

      22 Ohl, Ulrike, "Spielraumerweiterung. Institutionelle Rahmenbedingungen und Akteursstrategien in der großstätischen Stadtteilentwicklung unter Einbezug von Kindern und Jugendlichen" Universität Heidelberg 2009

      23 Stadt Bochum, "Spielleitplanung Bochum" City Bochum 2008

      24 Ministerium für Bildung, Frauen und Jugend Rheinland-Pfalz (MBFJrlp), "Spielleitplanung - ein Weg zur kinderfreundlichen Gemeinde und Stadt"

      25 Kühnert, Natalia, "Rolle der Mutter-Kind- Kommunikation für die aufmerksamkeitsregulativen Fähigkeiten im frühkindlichen Spiel" Ludwig-Maximillians-Universität München 2007

      26 Bundesamt für Naturschutz(BfN), "Naturerfahrungsräume in Großstäten. Wege zur Etablierung im öfentlichen Freiraum" BMU 2013

      27 Weber, Andreas, "Kinder, raus in die Natur!" Gruner & Jahr-Verlag (8/10) : 94-108, 2010

      28 Bundesamt für Naturschutz(BfN), "Kinder und Natur in der Stadt Spielraum Natur" BMU 2008

      29 Bundesinstitut für Bau-, Stadt- and Raumforschung (BBSR), "Jugend.Stadt.Labor: wie junge Menschen Stadt gestalten" LaserLine Druckzentrum Berlin KG 2016

      30 Martin Bujard, "Impact of Regional Factors on Cohort Fertility: New Estimations at the District Level in Germany" German Federal Institute for Population Research 42 : 101-136, 2010

      31 Niedersächsisches Ministerium für Soziales, Frauen, Familie and Gesundheit (NMSFFG), "GEMEINSAM:Workshop für Fachkräfte und interessierte Akteure aus den Bereichen Jugendhilfe, Stadtplanung, Grün- und Freiraumplanung" Niedersachsisches Ministerium fur Soziales, Frauen, Familie und Gesundheit

      32 Schröder, Richard, "Freiräume für Kinder(t)räume!Kinderbeteiligung in der Stadtplanung" Druckhaus Beltz 1996

      33 Lehmann, D., "Freiräume für Kinder und Jugendliche: Das Zusammenwirken von Produkt, Prozess und Strategie als mehrdimensionaler Handlungsansatz" Technische Universität Dortmund 2015

      34 Bundesministerium für Verkehr, Bau und Stadtentwicklung (BMVBS), "Freiräume für Kinder und Jugendliche" Grafisches Zentrum Cuno 2010

      35 Daschütz, Petra, "Flächenbedarf, Freizeitmobilität und Aktionsraum von Kindern und Jugendlichen in der Stadt" Technischen Universität Wien 2006

      36 "Federal Ministryof Justiceand Consumer Protection"

      37 Abt, J., "Children’s and Youth interests in spatial Planning: the new planning Instrument “Spielleitplanung” Using the Example of Berlin" 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 Press 2011

      38 Richter, Ingo, "Bundesministerium fue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Bundesministerium fue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7-10, 2002

      39 Degünther, Henrieitte, "Bundesamt für Naturschutz(BfN)" Bad Godesberg 137-207, 2008

      40 Hofmann, Holger, "Bundesamt für Naturschutz (BfN)" BMU 99-103, 2008

      41 Hüther, Gerald, "Bundesamt für Naturschutz (BfN)" Bad Godesberg 15-, 2008

      42 Deutsches Kinderhilfswerk, "Beteiligungsrechte von Kindern und Jugendlichen in Deutschland" WirmachenDruck GmbH

      43 Meinhold-Henschel, Sigrid, "Bertelsmann Stiftung" Publishing Company Bertelsmann 9-17, 2007

      44 Olloz, Sebastian, "Auf Augenhöhe 1.20m:Kinderfreundliche stadtentwicklung ist mehr als planung" 4 (4): 14-15, 2010

      45 Kuo, F. E., "A potential natural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Evidence from a national study" 94 (94): 1580-1586, 2004

      46 Bundesministerium fü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BMFSFJ), "14. Kinder- und Jugendbericht. Bericht über die Lebenssituation junger Menschen und die Leistungen der Kinder- und Jugendhilfe in Deutschland" Bonifatius GmbH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토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5 1.2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