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후 북한의 헤게모니 전략과 인민의 재구성 - 극예술에 반영된 접경지대의 심상지리 = The North Korea's Hegemony Strategy and Reorganization of the People after the Korean War - Imaginative Geography of the Border Region as Reflected in the Drama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4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War, which eventually expanded into the form of an international war, was an event that put considerable pressure on North Korea, even though it started the war with the goal of completing the occupation in the shortest time. On the premise that the work to justify the Korean War would have been the top priority in the post-war North Korean society, this paper sought to establish the focus of the hegemony strategy reflected in the North Korean dramatic arts of the 1950s. In particular, the newly liberated areas, designated as North Korea's territory along with the war, held a key position in the North's hegemony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imaginative geography in the newly liberated areas was able to make its meaning clearer through explicit geographical comparison, with Ganghwa Island being chosen for this purpose. Furthermore, Ganghwa Island was also a place to remind people of their longing for their families who went to the South. This could only be resolved when the national task of reunification is put forward. In this process, Ganghwa Island is meant to highlight the common memory of the people who fought together with the United States. This is in line with North Korea's logeg of the distinction between enemy and ally in grasping South Korean society, in which the United States was perceived as a national enemy and South Koreans as a national community to be restored. And this structure again serves as a mechanism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liberation war.
      번역하기

      The Korean War, which eventually expanded into the form of an international war, was an event that put considerable pressure on North Korea, even though it started the war with the goal of completing the occupation in the shortest time. On the premise...

      The Korean War, which eventually expanded into the form of an international war, was an event that put considerable pressure on North Korea, even though it started the war with the goal of completing the occupation in the shortest time. On the premise that the work to justify the Korean War would have been the top priority in the post-war North Korean society, this paper sought to establish the focus of the hegemony strategy reflected in the North Korean dramatic arts of the 1950s. In particular, the newly liberated areas, designated as North Korea's territory along with the war, held a key position in the North's hegemony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imaginative geography in the newly liberated areas was able to make its meaning clearer through explicit geographical comparison, with Ganghwa Island being chosen for this purpose. Furthermore, Ganghwa Island was also a place to remind people of their longing for their families who went to the South. This could only be resolved when the national task of reunification is put forward. In this process, Ganghwa Island is meant to highlight the common memory of the people who fought together with the United States. This is in line with North Korea's logeg of the distinction between enemy and ally in grasping South Korean society, in which the United States was perceived as a national enemy and South Koreans as a national community to be restored. And this structure again serves as a mechanism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liberation w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봉대, "한국전쟁연구" 태암 1990

      2 이광욱, "중립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지리산"에 나타난 지식의 표상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4) : 639-679, 2019

      3 리종순,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4 집체작,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5 루이 알튀세르, "재생산에 대하여" 동문선 2007

      6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2" 거름 1999

      7 미셸 시옹, "영화와 목소리" 동문선 2005

      8 홍창수, "송영의 북한 역사극에 나타난 역사의식" 국어국문학회 124 : 1999

      9 송영, "송영 선집"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출판사 1963

      10 한모니까, "북한의 인민 만들기와 감정 정치 -‘신해방지구’ 『개성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35 : 261-298, 2018

      1 최봉대, "한국전쟁연구" 태암 1990

      2 이광욱, "중립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지리산"에 나타난 지식의 표상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4) : 639-679, 2019

      3 리종순,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4 집체작,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5 루이 알튀세르, "재생산에 대하여" 동문선 2007

      6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2" 거름 1999

      7 미셸 시옹, "영화와 목소리" 동문선 2005

      8 홍창수, "송영의 북한 역사극에 나타난 역사의식" 국어국문학회 124 : 1999

      9 송영, "송영 선집"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출판사 1963

      10 한모니까, "북한의 인민 만들기와 감정 정치 -‘신해방지구’ 『개성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35 : 261-298, 2018

      11 한모니까, "북한의 ‘신해방지구’ 주민 편입 정책과 그 특징" 역사문제연구소 20 (20): 385-428, 2016

      12 민병욱, "북한영화 연구의 방법론적 전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95-124, 2005

      13 정재철, "북한연극과 무대예술에의 접근" 실천문학사 14 : 1989

      14 함충범, "북한식 사회주의 형성기 북한영화 연구(1958~1966)" 한국영화학회 (35) : 453-489, 2008

      15 이왕무, "북한 영화예술의 역사와 전망" 한국학중앙연구원 24 : 2001

      16 김남석, "북한 영화문학에 나타난 남한의 이미지와 형상화 방식에 대한 연구 -1950~70 년대 전쟁 소재 영화문학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0) : 243-274, 2010

      17 김남석, "북한 역사극에 나타난 ‘민중’의 형상화와 ‘항쟁’ 수용의 의미에 관한 연구" 아세아문제연구원 63 (63): 47-74, 2020

      18 리지용, "방송극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19 "노동신문"

      20 김성보,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역사비평사 2000

      21 한모니까, "남북한 ‘수복지구’·‘신해방지구’ 주민 편입 비교―국민/인민 전환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23) : 415-453, 2018

      22 한모니까, "남・북한의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편입 비교 - 영토 점령과 제도 이식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70) : 233-264, 2015

      23 이상우, "극양식을 중심으로 본 북한 희곡의 양상" 한국극예술학회 11 : 2000

      24 박소영, "개성신문을 통해 본 1956년 개성인문위원회 선거" 통일연구원 19 (19): 107-124, 2010

      25 한모니까,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분단의 경계지역에서 통일 평화의 시험지역으로" 새얼문화재단 100 :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