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봉대, "한국전쟁연구" 태암 1990
2 이광욱, "중립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지리산"에 나타난 지식의 표상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4) : 639-679, 2019
3 리종순,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4 집체작,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5 루이 알튀세르, "재생산에 대하여" 동문선 2007
6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2" 거름 1999
7 미셸 시옹, "영화와 목소리" 동문선 2005
8 홍창수, "송영의 북한 역사극에 나타난 역사의식" 국어국문학회 124 : 1999
9 송영, "송영 선집"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출판사 1963
10 한모니까, "북한의 인민 만들기와 감정 정치 -‘신해방지구’ 『개성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35 : 261-298, 2018
1 최봉대, "한국전쟁연구" 태암 1990
2 이광욱, "중립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지리산"에 나타난 지식의 표상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4) : 639-679, 2019
3 리종순,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4 집체작, "조선영화문학선집 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5 루이 알튀세르, "재생산에 대하여" 동문선 2007
6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2" 거름 1999
7 미셸 시옹, "영화와 목소리" 동문선 2005
8 홍창수, "송영의 북한 역사극에 나타난 역사의식" 국어국문학회 124 : 1999
9 송영, "송영 선집"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출판사 1963
10 한모니까, "북한의 인민 만들기와 감정 정치 -‘신해방지구’ 『개성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35 : 261-298, 2018
11 한모니까, "북한의 ‘신해방지구’ 주민 편입 정책과 그 특징" 역사문제연구소 20 (20): 385-428, 2016
12 민병욱, "북한영화 연구의 방법론적 전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95-124, 2005
13 정재철, "북한연극과 무대예술에의 접근" 실천문학사 14 : 1989
14 함충범, "북한식 사회주의 형성기 북한영화 연구(1958~1966)" 한국영화학회 (35) : 453-489, 2008
15 이왕무, "북한 영화예술의 역사와 전망" 한국학중앙연구원 24 : 2001
16 김남석, "북한 영화문학에 나타난 남한의 이미지와 형상화 방식에 대한 연구 -1950~70 년대 전쟁 소재 영화문학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0) : 243-274, 2010
17 김남석, "북한 역사극에 나타난 ‘민중’의 형상화와 ‘항쟁’ 수용의 의미에 관한 연구" 아세아문제연구원 63 (63): 47-74, 2020
18 리지용, "방송극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19 "노동신문"
20 김성보,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역사비평사 2000
21 한모니까, "남북한 ‘수복지구’·‘신해방지구’ 주민 편입 비교―국민/인민 전환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23) : 415-453, 2018
22 한모니까, "남・북한의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편입 비교 - 영토 점령과 제도 이식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70) : 233-264, 2015
23 이상우, "극양식을 중심으로 본 북한 희곡의 양상" 한국극예술학회 11 : 2000
24 박소영, "개성신문을 통해 본 1956년 개성인문위원회 선거" 통일연구원 19 (19): 107-124, 2010
25 한모니까,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분단의 경계지역에서 통일 평화의 시험지역으로" 새얼문화재단 100 :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