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원일기(梅園日記)(1603~1644)』를 통해 본 예안 사족 김광계(金光繼)의 관계망 = Learned Man of Yean Kim, Gwang-gye (金光繼)'s network investigated through 『Mae wonDiary(梅園日記)(1603~1644)』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17세기 초반 예안 오천의 광산김씨 金光繼가 20대~60대에 걸쳐 쓴 『梅園日記』를 통해 그의 관계망을 살펴본 것이다. 광산김씨는 혼인, 학문, 경제적 기반의 확대, 의병 활동 등을 통...

      이글은 17세기 초반 예안 오천의 광산김씨 金光繼가 20대~60대에 걸쳐 쓴 『梅園日記』를 통해 그의 관계망을 살펴본 것이다. 광산김씨는 혼인, 학문, 경제적 기반의 확대, 의병 활동 등을 통해 향촌에서 명망 있는 사족이 되었다. 이를 물려받은 김광계는 박성·조목 등에게 나아가 학문을 익히고, 류진·류암·박회무 등과의 교유를 통해 상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정경세의 문인들에게까지 관계망을 넓혔다.
      김광계와 그의 아우는 의성 지역의 사족과 혼인하였다. 의성에는 장현광 문인들이 많아서 김광계는 자연스럽게 이들과 교유했다. 김광계는 성주 출신의 鄭逑가 안동 부사로 부임하자, 그의 문하에도 출입하였다. 이를 계기로 성주지역 사족과 교유하게 되었고, 아들이 성주의 광주이씨 이윤우의 딸과 혼인하여 이 지역 사족과의 관계망이 더욱 확고해졌다.
      17세기 전반 상주의 정경세와 인동의 장현광이 영남의 대표적인 학자로 성장하게 됨에 따라 이들의 연고지가 영남지역 학문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다. 김광계는 1636년 ‘여헌학’의 본산인 인동 부지암서당을 방문하여 장현광을 만났다. 이를 통해 김광계의 학문적 관계망은 인동까지 확대되었다.
      즉 김광계는 정구·장현광의 문하에 출입하는 가운데 조목의 문인이었던 아버지의 관계망을 뛰어 넘어 상주·성주·인동지역까지 공간적 관계망을 확장했다. 그는 1630~40년대 예안의 대표적인 사족 기구인 도산서원의 원장을 가장 많이 역임했으며, 병자호란 당시 예안 의병을 앞장서서 조직할 만큼 향촌에서 그의 위상은 한층 강고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riting examined Kim, Gwang-gye, Gwangsan Kims from Yean Ocheon, through 『MaewonDiary(梅園日記)』 written by him in his 20s to 60s in the opening years of the 17th century. Gwangsan Kims became the learned men of reputation in the country ...

      This writing examined Kim, Gwang-gye, Gwangsan Kims from Yean Ocheon, through 『MaewonDiary(梅園日記)』 written by him in his 20s to 60s in the opening years of the 17th century. Gwangsan Kims became the learned men of reputation in the country through marriages, study, economic bases, and righteous army activities. Kim, Gwang-gye who inherited this from his ancestor studied by visiting Park, Seong and Cho, Mok and expanded his network to Jeong, Gyeong-se's writers who were active with Sangju as the center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Ryu, Jin, Ryu, Am, and Park, Hoi-mu.
      Kim, Gwang-gye and his younger brother got married to women of distinguished families in Euiseong. There are many writers of Jang, Hyeon-gwang and Kim, Gwang-gye naturally associated with them. When Jeong, Gu who was from Seongju started for his new post as Andong Busa, Kim, Gwang-gye became his pupil. This led him to associate with learned men of Seongju and his network with them got to be firmer as his son got married to a daughter of Lee, Yun-wu, Gwangju Lees in Seongju.
      As Jeong, Gyeong-se from Sangju and Jang, Hyeon-gwang from Andong grew as representative scholars of Yeongnam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ir hometown got to emerge as the seat of learning in Yeongnam. Kim, Gwang-gye met Jang, Hyeon-gwang by visiting Indong Bujiamseodang, home to 'Yeonheon Philosophy' in 1636. Kim, Gwang-gye's academic network expanded to Indong through this.
      In other words, Kim, Gwang-gye expanded his spatial network to Sangju, Seongju, and Indong beyond the network of his father who was the writer of Jomok while he became a pupil of Jeong, Gu and Jang, Hyeongwang. In addition, he most served as the director of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for learned men of Yean in 1630 to 1640 and his status got to be firmer in the country as he took the initiative in organizing a loyal army of Yean in the Manchu war of 16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