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우리나라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의 효율적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62306
2016
-
300
학술저널
124-146(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우리나라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의 효율적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우리나라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의 효율적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0년-2015년의 6년 간 해양수산부를 통해 지원된 해양환경 분야의 R&D 사업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사업에 대한 통계분석과 참여기관들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연구협업 수준을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분석결과의 함의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량분석 결과 해양환경 분야에 대한 R&D 투자는 현 정부 들어와 감소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사업종료에 따른 신규 사업 발굴 및 대체사업 지원이 적절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둘째, SNA를 이용한 실증 분석결과 해양환경 분야 R&D 사업은 일부 연구자집단을 중심으로 한 협업이 일반화되고 있어, 다양한 집단의 사업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관련 기업의 참여가 매우 부족하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산림복지정책, 산림행정의 패러다임 전환 -2016. 4. 22,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공무원은 어떻게 동네북이 됐는가: 공직에 대한 언론의 표상과 국정운영주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