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리비아 대수로공사 사례로 본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Case of the Great Man-made River Project in Liby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1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물 기근을 겪는 리비아에 대수로공사에 의한 담수수급(Water Demand & Supply)과 인구증가 및 도시화, 농지확장과 농산물 생산증대,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 추이에 의한 사회경제적 변화(Socioeconomic Change)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리비아 대수로공사에 의한 담수공급(Water Supply) 전후(前後)의 리비아와 관련 국가들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리비아의 사회경제적 변화 즉 인구증가와 도시화, 농지확장과 농산물 생산증대,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 등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결과분석은 1984년 리비아 대수로공사를 시작하여 1989년부터 물 공급을 시작한 전후(前後) 기간의 리비아 물 공급은 생활용수 3.8억톤(1985)에서 8.3억톤(2005)으로, 농업용수 6.5억톤(1980)에서 46.9억톤(2000)으로, 산업용수 500만톤(1980)에서 1.8억톤(2005)으로 증가, 농지면적 382천 ha(1980)에서 470천 ha로 증가, GDP는 105억 디나(1980)에서 545억 디나(2005)로 증가하였다. 결론 : 대수로공사에 의한 담수공급(설계수량 일일 600만톤)이 인구증가 및 도시화와의 관계, 가장 많이 소비되는 지중해 연안의 농지에 농업용수의 공급 등으로 농경지 확장과 농산물 생산증대, 산업용수 공급에 의한 산업 활성화, 상수도에 의한 먹는 물 공급으로 인한 리비아인 들의 생활환경 및 수준 향상 등으로 대수공사가 리비아 경제성장에 이바지하여 긍정적인 사회경제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대수로공사 모델을 다른 유사물 부족국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물 기근을 겪는 리비아에 대수로공사에 의한 담수수급(Water Demand & Supply)과 인구증가 및 도시화, 농지확장과 농산물 생산증대,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 추이에 의한 사회...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물 기근을 겪는 리비아에 대수로공사에 의한 담수수급(Water Demand & Supply)과 인구증가 및 도시화, 농지확장과 농산물 생산증대,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 추이에 의한 사회경제적 변화(Socioeconomic Change)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리비아 대수로공사에 의한 담수공급(Water Supply) 전후(前後)의 리비아와 관련 국가들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리비아의 사회경제적 변화 즉 인구증가와 도시화, 농지확장과 농산물 생산증대,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 등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결과분석은 1984년 리비아 대수로공사를 시작하여 1989년부터 물 공급을 시작한 전후(前後) 기간의 리비아 물 공급은 생활용수 3.8억톤(1985)에서 8.3억톤(2005)으로, 농업용수 6.5억톤(1980)에서 46.9억톤(2000)으로, 산업용수 500만톤(1980)에서 1.8억톤(2005)으로 증가, 농지면적 382천 ha(1980)에서 470천 ha로 증가, GDP는 105억 디나(1980)에서 545억 디나(2005)로 증가하였다. 결론 : 대수로공사에 의한 담수공급(설계수량 일일 600만톤)이 인구증가 및 도시화와의 관계, 가장 많이 소비되는 지중해 연안의 농지에 농업용수의 공급 등으로 농경지 확장과 농산물 생산증대, 산업용수 공급에 의한 산업 활성화, 상수도에 의한 먹는 물 공급으로 인한 리비아인 들의 생활환경 및 수준 향상 등으로 대수공사가 리비아 경제성장에 이바지하여 긍정적인 사회경제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대수로공사 모델을 다른 유사물 부족국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ater demand & supply by the Great Man-made Project in Libya, which suffered from water famine. This study focus on how Great Man-made Project effected socially. For example, increase population growth which led to urbanization, increas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Method: Through a study of Libya before and after the Water Supply by the Great Man-made Project, and a case study,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Libya, such as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farmland expansion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crease,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ere set up and analyzed as research ques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rough water supply from the Great Man-made Proj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rough water supply from the Great Man-made Project, increasing water supply from 380 million tons(1985) to 830 million tons(2005) and 650 million tons of agricultural water(1980) to 4.7 billion tons(2000), industrial water from 5 million tons(1980) to 180 million tons (2005) and increasing agricultural land area from 382 thousand ha(1980) to 470 thousand ha, GDP 10.5 billion Libyan dinars(1980) to 54.5 billion Libyan dinars(2005). Conclusion: This socioeconomic change was made by the Great Man-made Project in Libya which provided freshwater supply(design quantity about 6 million tons per day) which led to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agricultural water supply to the most consumed farmland in the Mediterranean Sea. In addition, fresh water contributed to revitalize the industry by industrial water supply, and improve living conditions, and drinking water supply and this project model could be applied to other similar water shortage countrie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ater demand & supply by the Great Man-made Project in Libya, which suffered from water famine. This study focus on how Great Man-made Project effected socially. For example, increase population growth whic...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ater demand & supply by the Great Man-made Project in Libya, which suffered from water famine. This study focus on how Great Man-made Project effected socially. For example, increase population growth which led to urbanization, increas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Method: Through a study of Libya before and after the Water Supply by the Great Man-made Project, and a case study,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Libya, such as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farmland expansion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crease,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ere set up and analyzed as research ques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rough water supply from the Great Man-made Proj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rough water supply from the Great Man-made Project, increasing water supply from 380 million tons(1985) to 830 million tons(2005) and 650 million tons of agricultural water(1980) to 4.7 billion tons(2000), industrial water from 5 million tons(1980) to 180 million tons (2005) and increasing agricultural land area from 382 thousand ha(1980) to 470 thousand ha, GDP 10.5 billion Libyan dinars(1980) to 54.5 billion Libyan dinars(2005). Conclusion: This socioeconomic change was made by the Great Man-made Project in Libya which provided freshwater supply(design quantity about 6 million tons per day) which led to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agricultural water supply to the most consumed farmland in the Mediterranean Sea. In addition, fresh water contributed to revitalize the industry by industrial water supply, and improve living conditions, and drinking water supply and this project model could be applied to other similar water shortage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사례연구 4. 결과 분석 5. 결 론 REFERENCES
      •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사례연구 4. 결과 분석 5. 결 론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