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중국 문화를 원용(援用)한 영동지역 계회(契會)와 그 운영 양상 = The operational aspects gye-gathering(契會) of yeongdong region quoting China cultur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46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에 성행한 契會는 현재까지도 존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다. 강원의 鄕村社會 역시 다양한 형태의 계회가 결성·운영되었다. 이 중 조선후기 영동지역에 결성된 강릉 영호구로갑회와 양양 기구회는 중국의 香山九老會와 洛陽耆英會를 원용하고 있다.
      영호구로갑회는 현재의 강릉시 柄山洞에서 함께 자라며 교우했던 친구들이 1788년 帿亭에서 회합하여 향산구로회를 원용하여 조직했다. 구로회의 목적에 맞게 계원은 9명으로 특정했고, 1명을 제외한 8명이 65세의 동갑내기로 구성되어 있어 동갑계로서의 강한 동류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 계회는 구로회와 동갑계가 혼용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까지 강원지역에서 찾아지는 계회 중 이러한 경우는 영호구로 갑회 뿐이다.
      양양 기구회는 중국 양양의 『耆舊傳』을 모방하여 결성되었다. 향산구로회와 낙양 기영회를 원용하여 역사적 인물들의 생활상과 철학까지 본받고자 했다. 함평이씨 등 양양지역 유력가문이 주도하여 계회를 조직하였다. 한때 계회가 환락을 추구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등의 폐단이 있어 계원의 입회에 특정한 제한을 두는 곡절을 겪기도 했으나 모임이 단절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는 매우 특별한 사례의 계회다. 또 단순한 사교와 친목 모임에 그치지 않고, 상부상조와 대부 등의 殖利활동 같은 사회사업을 하는 계 본연의 성격을 아울러 가지고 있어 강릉 영호구로갑회와 설립취지는 같으나 운영 방식에는 큰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강원지역 소재 계첩 등에서 중국 구로회를 원용한 계회로 확인되는 것은 이 2개뿐이므로 연구의 희소성이 있고, 이들 계회의 성격 규명은 향후 타지에서 확인되는 유사 계회에 대한 이해나 새로운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조선시대에 성행한 契會는 현재까지도 존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다. 강원의 鄕村社會 역시 다양한 형태의 계회가 결성·운영되었다. 이 중 조선후기 영동지역에 결성된 강릉 영...

      조선시대에 성행한 契會는 현재까지도 존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다. 강원의 鄕村社會 역시 다양한 형태의 계회가 결성·운영되었다. 이 중 조선후기 영동지역에 결성된 강릉 영호구로갑회와 양양 기구회는 중국의 香山九老會와 洛陽耆英會를 원용하고 있다.
      영호구로갑회는 현재의 강릉시 柄山洞에서 함께 자라며 교우했던 친구들이 1788년 帿亭에서 회합하여 향산구로회를 원용하여 조직했다. 구로회의 목적에 맞게 계원은 9명으로 특정했고, 1명을 제외한 8명이 65세의 동갑내기로 구성되어 있어 동갑계로서의 강한 동류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 계회는 구로회와 동갑계가 혼용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까지 강원지역에서 찾아지는 계회 중 이러한 경우는 영호구로 갑회 뿐이다.
      양양 기구회는 중국 양양의 『耆舊傳』을 모방하여 결성되었다. 향산구로회와 낙양 기영회를 원용하여 역사적 인물들의 생활상과 철학까지 본받고자 했다. 함평이씨 등 양양지역 유력가문이 주도하여 계회를 조직하였다. 한때 계회가 환락을 추구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등의 폐단이 있어 계원의 입회에 특정한 제한을 두는 곡절을 겪기도 했으나 모임이 단절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는 매우 특별한 사례의 계회다. 또 단순한 사교와 친목 모임에 그치지 않고, 상부상조와 대부 등의 殖利활동 같은 사회사업을 하는 계 본연의 성격을 아울러 가지고 있어 강릉 영호구로갑회와 설립취지는 같으나 운영 방식에는 큰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강원지역 소재 계첩 등에서 중국 구로회를 원용한 계회로 확인되는 것은 이 2개뿐이므로 연구의 희소성이 있고, 이들 계회의 성격 규명은 향후 타지에서 확인되는 유사 계회에 대한 이해나 새로운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ye-gathering which still exists in various forms is unique culture of Korea. Also, in the rural community society of Gangwon during the Late Choson was managed in many forms as well.
      Of Gye-gathering in Gangwon Privince, Gangneung of yeonghogurogaphoe(瀛湖九老甲會) and Yangyang of giguhoe(耆舊會) were the gye gathering which quoted nakyanggiyounghoe(洛陽耆英會) and hyangsangurohoe(香山九老會) of China
      Yeonghogurogapho in the 1788 was organized by friends who grew up together in the same town. Gurohe limited to nine person and it is composed of 65 year old people the same age with a strong sense of the same kind. It was in line with the purposes of the donggapgye. So far, no significa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Gangwon Province on the Donggapgye, which was fo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Yeongogurogaphoe offers not only a glimpse of the gye-gathering culture that uses Chinese culture, but also the only way to see the true nature of Donggapgye in Gangwon Province.
      The Yangyang Organization Association(Giguhoe) was formed in imitation of the Gigujeon(耆舊傳) of Yangyang(China). The name ‘Gigu’ was not only taken after the name ‘Gigu,’ but it was also modeled on the lifestyle and philosophy of the historical figures by using the Hyangsangurohoe and Nakyang Giyeonghoe. A group of influential Yangyang families, including Hampyeong Yi Clan, organized a gye-gathering, held regular meetings at Naksan-temple in November every year, and held a spring and fall meet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ere strictly evaluated and joined as members of the members were appointed to the reg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The Giguhoe is a Gye-gathering of very special cases that have continued to date without breaking up. In addition, it is not just a social gathering and social gathering, but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ye organization that does social work such as mutual help and lending activities, so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is the same as Yeonghoogurogaphoe, but the method of operation is very different.
      번역하기

      Gye-gathering which still exists in various forms is unique culture of Korea. Also, in the rural community society of Gangwon during the Late Choson was managed in many forms as well. Of Gye-gathering in Gangwon Privince, Gangneung of yeonghogurogapho...

      Gye-gathering which still exists in various forms is unique culture of Korea. Also, in the rural community society of Gangwon during the Late Choson was managed in many forms as well.
      Of Gye-gathering in Gangwon Privince, Gangneung of yeonghogurogaphoe(瀛湖九老甲會) and Yangyang of giguhoe(耆舊會) were the gye gathering which quoted nakyanggiyounghoe(洛陽耆英會) and hyangsangurohoe(香山九老會) of China
      Yeonghogurogapho in the 1788 was organized by friends who grew up together in the same town. Gurohe limited to nine person and it is composed of 65 year old people the same age with a strong sense of the same kind. It was in line with the purposes of the donggapgye. So far, no significa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Gangwon Province on the Donggapgye, which was fo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Yeongogurogaphoe offers not only a glimpse of the gye-gathering culture that uses Chinese culture, but also the only way to see the true nature of Donggapgye in Gangwon Province.
      The Yangyang Organization Association(Giguhoe) was formed in imitation of the Gigujeon(耆舊傳) of Yangyang(China). The name ‘Gigu’ was not only taken after the name ‘Gigu,’ but it was also modeled on the lifestyle and philosophy of the historical figures by using the Hyangsangurohoe and Nakyang Giyeonghoe. A group of influential Yangyang families, including Hampyeong Yi Clan, organized a gye-gathering, held regular meetings at Naksan-temple in November every year, and held a spring and fall meet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ere strictly evaluated and joined as members of the members were appointed to the reg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The Giguhoe is a Gye-gathering of very special cases that have continued to date without breaking up. In addition, it is not just a social gathering and social gathering, but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ye organization that does social work such as mutual help and lending activities, so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is the same as Yeonghoogurogaphoe, but the method of operation is very differ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