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사업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강원지역 관련 고문헌 수집, 조사, 정리, DB의 방향과 함께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을 담았다. 한국학중앙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46316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1-33(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사업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강원지역 관련 고문헌 수집, 조사, 정리, DB의 방향과 함께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을 담았다. 한국학중앙연...
본고는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사업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강원지역 관련 고문헌 수집, 조사, 정리, DB의 방향과 함께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을 담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학기초자료사업에 선정되어 2015년 7월부터 6년간 수행한 이 사업은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의 일환으로 강원권역 외에 규장각, 장서각, 영남권역, 호남권역, 해외권역의 5개 권역이 참여하였다.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사업은 국내외에 산재한 각종 역사 자료인 고문서·고서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정리·분석하고 표준화된 형식으로 가공·집적하여 한국학 지식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팀은 사업 시작 전인 1990년대부터 강원지역 시·군지 발간, 고문헌 기초 목록 조사, 고문헌 조장처 조사 및 사료집 발간, 근현대사 자료 조사, 번역사업 등을 수행하며 고문헌 관련 자료를 수집해 왔고, 이를 토대로 DB 대상 문서를 선정하여 6년간 3,488건의 고문헌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DB 구축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10편의 논문과 연구 인재를 양성하였다.
앞으로 강원지역 한국학자료 표준 DB 구축을 위해 고문헌 DB 구축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강원지역 한국학자료의 표준화 방안 및 통합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고문헌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 고문헌 정리·연구에 협력할 수 있는 인력풀의 확보, DB 전문 인력풀의 확보, 그리고 앞서 서술한 인력과 기관의 학문공동체 형성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dition and achievements of the project for building up ‘Center for Korean Studies Materials in Gangwon Province’ and made a proposal for measures for utilizing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the Gangwon region along w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dition and achievements of the project for building up ‘Center for Korean Studies Materials in Gangwon Province’ and made a proposal for measures for utilizing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the Gangwon region along with collecting, investigating and sorting out them and making a database. This project selected as the Promotion of Korean Studies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implemented for six years since July 2015 is part of the project for ‘building up Center for Korean Studies Materials,’ in which five subjects participated, including Gyujanggak, Jangseogak, the Yeongnam region, the Honam region, and overseas, in addition to the Gangwon region. The project for building up Center for Korean Studies Materials aims to build up knowledge contents of Korean Studies, systematically collecting, sorting out and analyzing ancient documents and ancient books, which are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scattered at home and overseas and processing and accumulating them in a standardized format.
The research team has collected materials related to ancient documents, conducting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s of cities and districts of the Gangwon region, surveys of the basic list of ancient documents, surveys of places holding ancient documents, the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historical materials, survey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al materials, and translation projects since the 1990s which was before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ncient documents, selected the documents for which a DB would be built up based on them, built up a DB of 3,488 ancient documents in a standardized format for six years, published 10 papers and trained talent.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tinue to build up a DB of ancient documents for building up a standard DB of Korean studies materials of the Gangwon region and prepare a plan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studies materials of the Gangwon region and a practical plan for the composition of an integrated network. It would also be necessary to train talent that can investigate ancient documents professionally, secure a manpower pool that can cooperate for sorting out and investigating ancient documents, secure a manpower pool specialized in DB and organize an academic community of the above-mentioned manpower and institu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덕, "호남지역 고문서 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경북대학교 영남학연구소 9 : 2006
2 김명자, "현장의 소리:한국학자료센터, 한국학 지식콘텐츠를 구축하다" 경북사학회 30 : 2012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료정보화실, "한국학자료센터구축사업 한국학자료 DB 구축을 위한 표준화안 및 XML문서 샘플"
4 "한국학자료센터"
5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6 최연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고문서의 체계적 정리와 활용을 위한 제언" 남도문화연구소 (29) : 127-157, 2015
7 강원대 중앙박물관, "춘천 남양홍씨가 고문서·고서"
8 이남희, "조선후기 간찰서식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7 : 2019
9 고민정, "조선 후기 춘천 사족의 사회조직구조와 운영방식" 인문과학연구소 (51) : 5-33, 2018
10 이종묵, "장서각 및 수집 고문서 자료의 정리실태와 전망" 한국국학진흥원 2 : 2003
1 홍성덕, "호남지역 고문서 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경북대학교 영남학연구소 9 : 2006
2 김명자, "현장의 소리:한국학자료센터, 한국학 지식콘텐츠를 구축하다" 경북사학회 30 : 2012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료정보화실, "한국학자료센터구축사업 한국학자료 DB 구축을 위한 표준화안 및 XML문서 샘플"
4 "한국학자료센터"
5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6 최연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고문서의 체계적 정리와 활용을 위한 제언" 남도문화연구소 (29) : 127-157, 2015
7 강원대 중앙박물관, "춘천 남양홍씨가 고문서·고서"
8 이남희, "조선후기 간찰서식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7 : 2019
9 고민정, "조선 후기 춘천 사족의 사회조직구조와 운영방식" 인문과학연구소 (51) : 5-33, 2018
10 이종묵, "장서각 및 수집 고문서 자료의 정리실태와 전망" 한국국학진흥원 2 : 2003
11 조영민, "영월 邀僊契 소장 고문서 연구" 강원대학교 2018
12 김대길, "국사편찬위원회의 고문서 조사수집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문서학회 31 : 15-47, 2007
13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14 한성주, "고문서를 통해서 본 강릉 김씨의 麟蹄 이주" 인문과학연구소 (53) : 167-187, 2017
15 정진영, "고문서 자료 정리의 성과와 활용방안" 한국서지학회1 (34) : 217-242, 2009
16 정지연,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이론적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62) : 29-53, 2019
17 황은영, "강원지역의 고문서ㆍ고서 정리현황과 조사방법" 한국고문서학회 39 : 273-299, 2011
18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연구센터, "강원지역 고문서·고서 자료집성 3(소지류)" 2012
19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연구센터, "강원지역 고문서·고서 자료집성 2(호적류 2)" 2011
20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연구센터, "강원지역 고문서·고서 자료집성 1(호적류 1)" 2010
21 고민정, "강원지역 고문서 조사⋅정리의 현황과 과제" 태동고전연구소 42 : 257-296, 2019
22 유재춘, "강원도 인문학 기초 자료 조사 연구" 북스힐 2005
23 "강원권역 한국학자료센터"
24 오영교, "韓山李氏 同族마을과 松窩雜記" 연세대학교 매지학술연구소 1998
25 안승준, "韓國學中央硏究院의 古文書 調査整理 現況과 課題" 한국고문서학회 31 : 73-106, 2007
26 문화재관리국, "韓國典籍綜合調査目錄 第3輯 -江原道-"
27 강원대 중앙박물관, "鄭義鈗先生家 寄贈 古書·古文書"
28 근덕면발간추진위원회, "近德面誌" 근덕면발간추진위원회 2010
29 강원도, "洪川郡의 歷史와 文化遺蹟" 1996
30 김민현, "江陵 船橋莊 장서의 서지학적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58-85, 2018
31 배재홍, "東海市 古文書 2" 동해문화원 2010
32 박성종, "東海市 古文書" 동해문화원 2002
33 안승준, "最近의 古文書 調査·蒐集·整理 現況과 分類方法의 問題" 한국고문서학회 11 : 1998
34 豊壤趙氏慈孝會, "春川豊壤趙氏 淮陽公派調査報告書" 1997
35 정순교, "春川 司馬契와 司馬契案에 관한 硏究 : ‘司馬所先生案’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20
36 文幕邑史編纂委員會, "文幕邑史" 文幕邑史編纂委員會 2003
37 강원도, "平昌郡의 歷史와 文化遺蹟" 1999
38 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嶺東地方鄕土史硏究資料叢書 1~6" 1994
39 강원도, "原州의 歷史와 文化遺蹟" 1997
40 오영교, "原州의 同族마을과 古文書" 원주문화원 1998
41 원주시사편찬위원회, "原州市史" 원주시 2000
42 이남희, "‘인문학 디지털아카이브’ 전망과 과제 -구축과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56) : 189-216, 2013
43 한성주, "18-19세기 삼척 지역 이귀재 가문 호구자료의 현황과 의미" 한국고문서학회 52 : 115-144, 2018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임명문서에 나타나는 선(宣)의 성격-윤충구(尹忠求) 임명문서의 사례
춘천(春川) 사마소(司馬所)와 사마안(司馬案) 연구(硏究)
조선후기 중국 문화를 원용(援用)한 영동지역 계회(契會)와 그 운영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