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한국사학계의 환경·기후 문제 연구 동향과 과제- 소빙기 학설의 활용을 중심으로 - = Uses of the Little Ice Age Theory in the Korean Academia of Korean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8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비평논문에서는 지난 40여 년간 소빙기 학설을 한국사에 적용한 기존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평한다. 문제의식은 간단하다. 냉해로 인한 자연재해가 장기적으로 이어졌다는 소빙...

      이 비평논문에서는 지난 40여 년간 소빙기 학설을 한국사에 적용한 기존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평한다. 문제의식은 간단하다. 냉해로 인한 자연재해가 장기적으로 이어졌다는 소빙기에 왜 하필 인구는 급증했는지다. 전근대 사회에서 인구 급증은 농업발전이 견인하거나 무역을 통한 부의 유입이 구조적으로 받쳐줘야 가능하다. 이런 현상이 장기화하면 인구 압박이 발생한다. 인구 압박을 새로운 경제력으로 돌파하거나 ‘new land’를 찾거나 신흥 도시로 인구를 내보내지 못하면, 다들 고만고만하게 가난해지면서 인구 증가율도 그만큼 떨어진다. 세계 학계에서는 그 대표적 사례로 19세기 청나라의 상황을 꼽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 그런데 어느 정도의 인구 압박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계속 크게 증가했다면, 그것은 어떤 악조건도 상쇄하고 남을 정도로 경제력이 견실하다고 해석해야 합리적일 것이다. 하지만 국내 소빙기 관련 연구를 보면, 이런 경제학·인구학 논리에 기초한 해석보다는 소빙기가 초래한 자연재해 및 그 피해만 집중적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 비평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작금의 소빙기 학설 활용 연구의 동향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도면회, "화폐와 경제활동의 이중주" 두산동아 2006

      2 신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 : 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2013

      3 신동원,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역사비평사 2004

      4 김문기, "해양사의 명장면" 산지니 2019

      5 김연옥, "한국의 소빙기 기후, 역사기후학적 접근의 일시론" 14 : 1984

      6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 농업기술 발달과 사회변동" 지식산업사 1986

      7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 농업기술 발달과 사회변동" 지식산업사 2002

      8 이태진, "한국사상사방법론" 1997

      9 김재호, "한국 전통사회의 기근과 그 대응, 1392~1910" 30 : 2001

      10 고태우, "한국 재난 인식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근대 이전 시기 역사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9) : 33-62, 2020

      1 도면회, "화폐와 경제활동의 이중주" 두산동아 2006

      2 신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 : 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2013

      3 신동원,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역사비평사 2004

      4 김문기, "해양사의 명장면" 산지니 2019

      5 김연옥, "한국의 소빙기 기후, 역사기후학적 접근의 일시론" 14 : 1984

      6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 농업기술 발달과 사회변동" 지식산업사 1986

      7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 농업기술 발달과 사회변동" 지식산업사 2002

      8 이태진, "한국사상사방법론" 1997

      9 김재호, "한국 전통사회의 기근과 그 대응, 1392~1910" 30 : 2001

      10 고태우, "한국 재난 인식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근대 이전 시기 역사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9) : 33-62, 2020

      11 최병택, "한국 근대 임업사" 푸른역사 2022

      12 Timothy Brook, "하버드 중국사 원·명 : 곤경에 빠진 제국" 너머북스 2014

      13 고태우, "총론 : 기후위기 시대의 생태환경사 - 한국 기후사의 모색 -" 한국역사연구회 (118) : 35-54, 2020

      14 김문기, "청어, 대구, 명태: 소빙기와 한류성어류의 박물학" 대구사학회 115 : 195-258, 2014

      15 정혜중, "청대 조선인과 청국인 범월의 특징: 양국 범월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명청사학회 (26) : 69-88, 2006

      16 조지형, "지구사란 무엇인가?" 92 : 2007

      17 이화자, "조청 국경 문제 연구" 집문당 109-110, 2008

      18 우대형, "조선후기 인구압력과 상품작물 및 농톤직물업의 발달" 34 : 2003

      19 권복규, "조선전기의 역병 유행에 관하여" 43 : 2000

      20 김동진, "조선의 생태환경사" 푸른역사 2017

      21 권태환, "조선왕조시대 인구추정에 관한 일시론" 14 : 1977

      22 Tony Michell,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사 :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17 : 1989

      23 이영구, "조선시대의 인구 규모 통계(II)" 3 : 1988

      24 이영구, "조선시대의 인구 규모 통계(I)" 2 : 1987

      25 이현숙, "조선시대 차산지 연구 : 소빙기를 중심으로" 9 (9): 2003

      26 이호철, "조선시대 도작농업의 발전과 인구증가" 7 : 1989

      27 이호철,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3

      28 정형지, "조선시대 기근과 정부의 정책" 30 : 2003

      29 김성우, "조선시대 경상도의 권력 중심 이동 : 영남농법과한국형 지역 개발" 태학사 2012

      30 이헌창, "조선 후기 資本主義萌芽論과 그 代案" 한국사학사학회 (17) : 77-128, 2008

      31 김미성, "조선 현종~숙종 연간 기후 재난의 여파와 유민(流民) 대책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18) : 99-135, 2020

      32 김영미, "전염병의 문화사 : 고려시대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 혜안 2010

      33 이임하, "전염병 전쟁 : 한국전쟁과 전염병 그리고 동아시아 냉정 위생 지도" 철수와 영희 2020

      34 키토 히로시, "인구로 읽는 일본사" 어문학사 2003

      35 박성래, "이태진교수 “소빙기(1500-1750)의 천체현상적 원인: 조선왕조실록의 관련 기록 분석”" 149 : 1996

      36 김경숙, "을병대기근기 향촌사회의 경험적 실상과 대응" 역사실학회 (61) : 5-39, 2016

      37 이태진, "외계충격 대재난설(Neo-Catastrophism)과 인류역사의 새로운 해석" 164 : 1999

      38 우대형, "역사인구학 지표로 살펴본 조선 후기 생활수준의 장기 추이, 1734-1910" 121 : 1982

      39 김연옥, "역사속의 소빙기" 149 : 1996

      40 김호동, "안용복과 竹島一件" 경인문화사 2019

      41 차명수,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42 김문기, "소빙기와 청어: 천․해․인의 관점에서" 부산경남사학회 (89) : 69-108, 2013

      43 이태진, "소빙기(1500~1750년)의 천체현상적 원인 : 조선왕조실록의 관련 기록 분석" 72 : 1996

      44 김소라, "불과 물: 조선후기 이상저온 현상 속 한성부의 온돌 확산과 청계천 준설" 조선시대사학회 (102) : 105-147, 2022

      45 김선민, "범월과 이산: 만주로 건너간 조선인들" 인하대학교출판부 2010

      46 고동환, "동아시아의 역사 II" 동북아역사재단 2011

      47 김덕진, "대기근 조선을 덮다 : 우리가 몰랐던 17세기의 또 다른 역사" 푸른역사 2008

      48 이호철, "농업경제사연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998

      49 임현채, "英祖代 朝鮮人 범월사건 처리방침을 통해 본 朝鮮의 對淸 태도" 명청사학회 (48) : 503-534, 2017

      50 박근필, "氣候와 農業의 微視分析(1653-1655)을 통해 본 「農家集成」 編纂의 背景" 한국농업사학회 4 (4): 15-47, 2005

      51 박권수,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한국사학회 (100) : 65-108, 2010

      52 경석현, "『朝鮮王朝實錄』 災異 기록의 재인식 -16세기 災異論의 정치・사상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60) : 47-82, 2013

      53 柳得恭, "『古芸堂筆記』 권4 「西北之材」"

      54 朴齊家, "『北學議』 內篇 「木材」"

      55 조성윤, "“조선후기의 인구: 토지 압박에 대하여”에 대한 논평" 22 : 1989

      56 F. W. Mote,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57 이호철, "19세기 초 조선의 기후 변동과 농업 위기" 2 : 1997

      58 이준호 ; 이상임, "19세기 농민운동의 기후학적 원인에 대한 연구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46) : 119-162, 2018

      59 정정남, "18세기 이후 조선사회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난방효율 증대를 위한 건축적 모색" 한국건축역사학회 27 (27): 15-26, 2018

      60 이용훈, "18~19세기 조선 토지가격의 변화와 그 의미" 62 : 2016

      61 김성우, "17세기의 위기와 숙종대 사회상" 25 : 1997

      62 경석현, "17세기(인조~현종) 연대기 자료의 災異 기록 재검토-『東宮日記』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68) : 109-145, 2014

      63 한희숙, "17세기 후반 도적활동과 국가의 대책" 21 : 2002

      64 김덕진, "17세기 한강의 장기 결빙과 그 영향" 한국사연구회 (157) : 257-289, 2012

      65 박용국, "17세기 지리산권의 小氷期 現象과 사회ㆍ경제적 양상" 영남문화연구원 (17) : 113-148, 2010

      66 김문기,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재해와 기근" 이화사학연구소 (43) : 71-129, 2011

      67 김문기,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기근과 국제적 곡물유통" 부산경남사학회 (85) : 323-367, 2012

      68 허진영, "17세기 위기론에 대한 일고" 15·16 : 1980

      69 나종일, "17세기 위기론과 한국사" 94·95 : 1982

      70 박근필, "17세기 小氷期 氣候 연구의 현황과 과제" 대구사학회 80 : 287-318, 2005

      71 김문기, "17세기 中國과 朝鮮의 小氷期 氣候變動" 부산경남사학회 (77) : 133-194, 2010

      72 김호, "16세기 말 17세기 초 역병 발생의 추이와 대책" 19 (19):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