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용분석을 통한 논문지의 목차분류 시스템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a Journal's Table of Contents Separation System based on Contents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42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논문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논문지 정보를 입력하고 색인을 구성하는 데 드는 노력을 줄이기 위해 목차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문서분석방법으로는 예외적인 부분이 많은 목차 형식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없었으며 우리가 원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가 없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논문지 목차의 효율적인 인식을 위한 구조적인 분석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논문지 목차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논문지에 실린 논문의 제목, 저자, 페이지 등 세 항목이므로 이 세 가지 항목을 추출하기 위하여 모델링하고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제안한 모델링 방법에 따른 목차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여 제목, 저자, 페이지 등의 순서를 갖는 논문 목차를 대상으로 660편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 91.5%의 논문추출 성공률을 얻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논문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논문지 정보를 입력하고 색인을 구성하는 데 드는 노력을 줄이기 위해 목차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

      본 논문에서는 논문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논문지 정보를 입력하고 색인을 구성하는 데 드는 노력을 줄이기 위해 목차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문서분석방법으로는 예외적인 부분이 많은 목차 형식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없었으며 우리가 원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가 없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논문지 목차의 효율적인 인식을 위한 구조적인 분석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논문지 목차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논문지에 실린 논문의 제목, 저자, 페이지 등 세 항목이므로 이 세 가지 항목을 추출하기 위하여 모델링하고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제안한 모델링 방법에 따른 목차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여 제목, 저자, 페이지 등의 순서를 갖는 논문 목차를 대상으로 660편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 91.5%의 논문추출 성공률을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a method for automatic indexing of contents to reduce effort for inputting paper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index is considered. Existing document analysis methods can't analyse various table of contents of journal paper formats efficiently because they have many exceptions. In this paper, various contents formats for journals, which have different features from those for general documents, are analysed and described. The principal elements that we want to represent are titles, authors, and pages for each papers. Thus, the three principal elements are model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ir arrangement, and their features are extracted. And a table of content recognition system of journal is implemented, based on the proposed modeling method. The accuracy of exact extraction ratio of 91.5% on title, author, and page type on 660 published papers of various journals is obtained.
      번역하기

      In this paper, a method for automatic indexing of contents to reduce effort for inputting paper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index is considered. Existing document analysis methods can't analyse various table of contents of journal paper formats effic...

      In this paper, a method for automatic indexing of contents to reduce effort for inputting paper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index is considered. Existing document analysis methods can't analyse various table of contents of journal paper formats efficiently because they have many exceptions. In this paper, various contents formats for journals, which have different features from those for general documents, are analysed and described. The principal elements that we want to represent are titles, authors, and pages for each papers. Thus, the three principal elements are model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ir arrangement, and their features are extracted. And a table of content recognition system of journal is implemented, based on the proposed modeling method. The accuracy of exact extraction ratio of 91.5% on title, author, and page type on 660 published papers of various journals is obtain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