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담의 전문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질적으로 수준 높은 상담자 양성을 위해 한국의 상담자 교육 인증체제 구축에 필요한 상담교육 인증의 기준과 절차를 구안하는 3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6899
-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의 전문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질적으로 수준 높은 상담자 양성을 위해 한국의 상담자 교육 인증체제 구축에 필요한 상담교육 인증의 기준과 절차를 구안하는 3개...
본 연구는 상담의 전문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질적으로 수준 높은 상담자 양성을 위해 한국의 상담자 교육 인증체제 구축에 필요한 상담교육 인증의 기준과 절차를 구안하는 3개년간의 연속과제이다. 연구 1차년도에서는 상담자교육인증체제 기초자료 연구를 위해서 상담자교육 인증체제에 관한 인식조사, 기존의 교육인증체제 개발에 대한 연구, 인증체제구축 로드맵 개발 등을 수행하였다. 2차년도 연구는 1차년도에 연구한 자료들을 토대로 하여 상담자 교육 인증의 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인증모델 및 영역 설정, 교육인증 영역별 인증기준과 상담전공 영역별 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3차년도 연구는 1차, 2차년도의 연구를 바탕으로 상담교육인증을 위한 규정 제정, 인증절차 및 결과활용 방안 마련, 인증세부 기준 및 학과 준비사항 등 인증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의학교육인증체제, 간호학교육인증체제, 공학교육인증체제, 경영교육인증체제 및 미국의 상담교육인증체제인 CACREP의 인증 모델 및 인증영역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자문회의와 상담자교육 전문가 협의회, 공청회 등을 개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상담교육전문가 및 상담현장실무자들은 우리나라 상담교육의 현실에서 각종 자격증의 난립과 상담자의 질 저하, 상담자 양성체계의 난맥성을 주요 해결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상담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상담실습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함. 대부분의 응답자가 상담교육 인증체제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상담교육 인증의 모델은 최소기준인증형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증 영역으로는 학과운영, 교육과정, 학생, 교수, 교육환경, 교육성과 등 6개 영역이 선정되었다. 학과운영 영역은 비젼과 목표, 운영체계 등 2개 하위영역, 교육과정 영역은 학습목표, 교과목 운영, 실습 운영 등 3개 하위영역, 학생 영역은 학생선발, 학생지도, 학생지원, 학과적응 및 직업적응 프로그램 등 4개 하위영역, 교수 영역은 교수확보, 교수업적, 교수개발지원 등 3개 하위영역, 교육환경 영역은 행정체계, 재정지원, 교육시설, 행정 및 교육보조인력 등 4개 하위영역, 교육성과 영역은 교육성과평가, 졸업생진로 등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다. 총 6개 영역에 18개 하위영역에 대하여 27개 인증항목을 선정하고 각 항목별로 구체적인 인증기준 안을 마련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상담교육인증을 실시하기 위하여 한국상담교육인증원 설립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기구설립 방안과 정관을 마련하였으며, 인증신청에서부터 인증평가 활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3 years continued research that has construcred creteria and process of accreditation of counselor education in Korea. At 1st year, basic data were collected such as survey data about counselor education accerdiitation, and archieve da...
This study is a 3 years continued research that has construcred creteria and process of accreditation of counselor education in Korea. At 1st year, basic data were collected such as survey data about counselor education accerdiitation, and archieve date of other accreditaion systems. At 2nd year, cretrria of counselor education accerdiitation were developed such as accreditation model, domain and items. At 3rd year, manual of counselor education accerdiitation were developed such as rules, prosedures and preparation of departments.
As a results, minimum-met-model was choosed as accreditation model, 6 domains such as departments running, curriculum, student, professor, education environments, and education results were decided as domain of counselor education accreditation. and 18 subdomains and 27 items were selected. We proposed establishment of Korea Counselor Education Accreditaion Institute and developed accreditation manuals including rules, procedures, fees, and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