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ICT 활용수업이 학습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ICT on Learning Achievement, Learn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96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현장에서 새로운 교수-학습체제로 활용되고 있는 ICT 활용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ICT 활용수업의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인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과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및 정보활용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18명을 전통적 수업 집단,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 학습자 주오형 ICT 활용수업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10주간 사회과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수업 종료 후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검사, 그리고 정보활용능력 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 면에서는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학습결과를 나타냈으며, 학습만족도 면에서는 수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에서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정보활용능력 면에서는 인터넷 활용능력 신장에 있어서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과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집단에 비해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현장에서 새로운 교수-학습체제로 활용되고 있는 ICT 활용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ICT 활용수업의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인 교사주도...

      본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현장에서 새로운 교수-학습체제로 활용되고 있는 ICT 활용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ICT 활용수업의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인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과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및 정보활용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18명을 전통적 수업 집단,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 학습자 주오형 ICT 활용수업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10주간 사회과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수업 종료 후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검사, 그리고 정보활용능력 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 면에서는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학습결과를 나타냈으며, 학습만족도 면에서는 수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에서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정보활용능력 면에서는 인터넷 활용능력 신장에 있어서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과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집단에 비해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types of instruction (conventional instruction(CI), teacher-directed instruction using 1CT(t-ICT), and learner-directed instruction using ICT(1-ICT) on learning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18 subject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t Incheon cith who enrolled in CI group, t-ICT group, and 1-ICT group. Achievement test, satisfaction test, and paper-pencil test & actual technique for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test were used as research instruments for assessing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score between t-ICT group and CI group(F=3.875, p<.05).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score between 1-ICT group and CI group(F=7.979, p<.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arching technique score using Internet(one element among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between 1-ICT and CI, t-ICT(F=8.048, p<.05).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summary of learning contents implemented by teacher, consideration about various types of learner satisfaction,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specific elements included in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were discussed for the better instruction using I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types of instruction (conventional instruction(CI), teacher-directed instruction using 1CT(t-ICT), and learner-directed instruction using ICT(1-ICT) on learning achievements, satisfa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types of instruction (conventional instruction(CI), teacher-directed instruction using 1CT(t-ICT), and learner-directed instruction using ICT(1-ICT) on learning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18 subject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t Incheon cith who enrolled in CI group, t-ICT group, and 1-ICT group. Achievement test, satisfaction test, and paper-pencil test & actual technique for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test were used as research instruments for assessing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score between t-ICT group and CI group(F=3.875, p<.05).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score between 1-ICT group and CI group(F=7.979, p<.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arching technique score using Internet(one element among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between 1-ICT and CI, t-ICT(F=8.048, p<.05).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summary of learning contents implemented by teacher, consideration about various types of learner satisfaction,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specific elements included in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were discussed for the better instruction using I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