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851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15.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 turnover intention for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India

      • 형태사항

        xi, 115 L. :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수록
        참고문헌: 100-101장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의 역사는 새로운 질병의 출현과 그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으로부터 시작되고 발전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는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신약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신약의 출현이 사회적, 경제적으로 이룩해 낸 성과는 여러 차례 인류를 멸망의 위기에서 구해내곤 하였다. 이러한 신약 개발에 대한 의지는 지난 10년 동안 세계적으로 신약개발 프로젝트의 수가 약 2배 증가하고,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국가들도 폭넓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하게 임상시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임상시험 신흥국인 인도와 아시아에서 이미 임상시험의 허브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한국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를 비교하고, 그 원인을 파악해 봄으로써,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업무 환경에 보다 긍정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 만족도 연구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5단계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응답 문항을 작성하였고, 설문 문항에는 성별, 나이, 학력, 근무 연수, 한 달 평균 수입, 직무 형태, 전공, 기업 형태 등의 일반적인 사항과 하루 실제 업무 시간, 업무 관련 교육의 횟수, 교육 횟수에 대한 만족 정도, 업무 시작 동기 등의 업무 실태가 포함되었다. 직무 만족도는 로크(Locke)의 직무 만족도 요인 중 업무요인, 승진요인, 동료요인, 리더십요인, 임금요인의 5가지 요인에 전반적 직무 만족도를 묻는 한 문항과 이직의도를 묻는 문항을 포함시켜 총 18개 문항을 중심으로 직무
      주제어: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 만족도 및 이직 의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한국과 인도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를 비교하였다.
      한국과 인도의 요인 별 직무 만족도 분석 결과, 임금 만족도는 한국에서 더 높고, 전반적 직무 만족도, 업무 만족도, 승진 만족도, 동료 만족도, 리더십 만족도는 인도에서 더 높았다. 이직 의도는 한국에서 더 높게 분석되었으며, 두 국가에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 기업의 형태와 연령, 승진요인과 동료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연령이 증가하고 근무 연수가 길어짐에 따라, 근무 기업의 형태 등의 업무 환경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고, 승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욕구 충족이 안 될 때 이직을 하려고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업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임상시험 업무 종사자들의 인력 관리를 위해서는 성과에 따른 적절한 승진과 더불어 긍정적인 업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회사, 임상시험기관, 임상시험 종사자들 개개인의 다각도의 노력과 제도적 개선, 새로운 업무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시급하다.
      번역하기

      인류의 역사는 새로운 질병의 출현과 그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으로부터 시작되고 발전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는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신약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신약의 출...

      인류의 역사는 새로운 질병의 출현과 그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으로부터 시작되고 발전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는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신약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신약의 출현이 사회적, 경제적으로 이룩해 낸 성과는 여러 차례 인류를 멸망의 위기에서 구해내곤 하였다. 이러한 신약 개발에 대한 의지는 지난 10년 동안 세계적으로 신약개발 프로젝트의 수가 약 2배 증가하고,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국가들도 폭넓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하게 임상시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임상시험 신흥국인 인도와 아시아에서 이미 임상시험의 허브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한국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를 비교하고, 그 원인을 파악해 봄으로써,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업무 환경에 보다 긍정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 만족도 연구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5단계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응답 문항을 작성하였고, 설문 문항에는 성별, 나이, 학력, 근무 연수, 한 달 평균 수입, 직무 형태, 전공, 기업 형태 등의 일반적인 사항과 하루 실제 업무 시간, 업무 관련 교육의 횟수, 교육 횟수에 대한 만족 정도, 업무 시작 동기 등의 업무 실태가 포함되었다. 직무 만족도는 로크(Locke)의 직무 만족도 요인 중 업무요인, 승진요인, 동료요인, 리더십요인, 임금요인의 5가지 요인에 전반적 직무 만족도를 묻는 한 문항과 이직의도를 묻는 문항을 포함시켜 총 18개 문항을 중심으로 직무
      주제어: 한국과 인도의 임상시험 종사자,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 만족도 및 이직 의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한국과 인도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를 비교하였다.
      한국과 인도의 요인 별 직무 만족도 분석 결과, 임금 만족도는 한국에서 더 높고, 전반적 직무 만족도, 업무 만족도, 승진 만족도, 동료 만족도, 리더십 만족도는 인도에서 더 높았다. 이직 의도는 한국에서 더 높게 분석되었으며, 두 국가에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 기업의 형태와 연령, 승진요인과 동료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임상시험 종사자들의 연령이 증가하고 근무 연수가 길어짐에 따라, 근무 기업의 형태 등의 업무 환경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고, 승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욕구 충족이 안 될 때 이직을 하려고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업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임상시험 업무 종사자들의 인력 관리를 위해서는 성과에 따른 적절한 승진과 더불어 긍정적인 업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회사, 임상시험기관, 임상시험 종사자들 개개인의 다각도의 노력과 제도적 개선, 새로운 업무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시급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India.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00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150 employees in India respective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14th to Nov 11st. The data from 135 respondents in Korea and 73 respondents in India equated to a response rate of 65% and 48.6% in Korea and India respectively. This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mean comparison per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by a t-test and ANOVA. Multiple regression is use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ion.
      Results
      In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orea and India, overall job satisfaction is higher in India (3.51 vs. 3.47). All elements of job satisfaction, such as, task factor (3.42 vs. 3.12), leadership factor (3.83 vs. 3.58), colleague factor (4.27 vs. 4.06), and promotion factor (3.49 vs. 3.29) are higher in India. The only exception is the wage factor (2.58 vs. 2.90) which is higher in Korea. The score reflecting turnover intention is lower in India than in Korea (2.90 vs. 3.22). Turnover intention in Korea is affected by promotion factor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However, in India, the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the category the company belongs to. Overall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age, prospect of promotion, colleague factors and the category the company belongs to. The employees under 30-year-old age working at global 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have had lower score of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clusio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turnover rate in Korea and India, it is suggested that suitable promotion by successful achievement, continuous education for experienced employees and training for new employees at a CTC (Clinical Trial Center) at a hospital, government agency or further education be given.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India.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00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150 employees in India...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India.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00 employees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in Korea and 150 employees in India respective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14th to Nov 11st. The data from 135 respondents in Korea and 73 respondents in India equated to a response rate of 65% and 48.6% in Korea and India respectively. This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mean comparison per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by a t-test and ANOVA. Multiple regression is use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ion.
      Results
      In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orea and India, overall job satisfaction is higher in India (3.51 vs. 3.47). All elements of job satisfaction, such as, task factor (3.42 vs. 3.12), leadership factor (3.83 vs. 3.58), colleague factor (4.27 vs. 4.06), and promotion factor (3.49 vs. 3.29) are higher in India. The only exception is the wage factor (2.58 vs. 2.90) which is higher in Korea. The score reflecting turnover intention is lower in India than in Korea (2.90 vs. 3.22). Turnover intention in Korea is affected by promotion factor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However, in India, the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the category the company belongs to. Overall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age, prospect of promotion, colleague factors and the category the company belongs to. The employees under 30-year-old age working at global 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have had lower score of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clusio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turnover rate in Korea and India, it is suggested that suitable promotion by successful achievement, continuous education for experienced employees and training for new employees at a CTC (Clinical Trial Center) at a hospital, government agency or further education be giv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선행연구 및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 1. 선행연구 고찰 3
      • 2.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 1) 직무 만족에 대한 정의 4
      • Ⅰ. 서론 1
      • Ⅱ. 선행연구 및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 1. 선행연구 고찰 3
      • 2.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 1) 직무 만족에 대한 정의 4
      • 2) 직무 만족의 중요성 5
      • 3) 직무 만족에 관한 이론 6
      • 4)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
      • Ⅲ. 연구방법 12
      • 1. 연구 대상 선정 12
      • 2. 연구 방법 14
      • 3. 연구 자료 분석 방법 15
      • Ⅳ. 연구 결과 17
      • 1. 한국 응답자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17
      • 1) 한국 응답자의 문항 간 신뢰도 분석 17
      • 2) 한국 응답자의 요인별 기술 통계 18
      • 3) 한국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 20
      • 4) 한국 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22
      • 5) 한국 응답자의 연령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23
      • 6) 한국 응답자의 학력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24
      • 7) 한국 응답자의 근무연수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25
      • 8) 한국 응답자의 수입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27
      • 9) 한국 응답자의 직무형태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29
      • 10) 한국 응답자의 전공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30
      • 11) 한국 응답자의 기업형태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32
      • 12) 한국 응답자의 하루 실제 업무 시간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33
      • 13) 한국 응답자의 업무 관련된 교육 횟수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35
      • 14) 한국 응답자의 업무 관련 교육 만족도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36
      • 15) 한국 응답자의 임상시험 업계 종사 동기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38
      • 16) 한국 응답자의 이직횟수와 주된 이직요인 39
      • 17) 한국 응답자의 요인별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 44
      • 18) 한국 응답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45
      • 19) 한국 응답자의 업무에 있어서 저해요소와 업무 정착에 필요한 요소 46
      • 2. 인도 응답자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48
      • 1) 인도 응답자의 문항별 신뢰도 분석 48
      • 2) 인도 응답자의 요인별 기술 통계 49
      • 3) 인도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 51
      • 4) 인도 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53
      • 5) 인도 응답자의 연령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54
      • 6) 인도 응답자의 학력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55
      • 7) 인도 응답자의 근무연수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56
      • 8) 인도 응답자의 수입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58
      • 9) 인도 응답자의 직무형태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59
      • 10) 인도 응답자의 전공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61
      • 11) 인도 응답자의 기업형태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62
      • 12) 인도 응답자의 하루 실제 업무 시간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63
      • 13) 인도 응답자의 업무 관련된 교육 횟수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65
      • 14) 인도 응답자의 업무 관련 교육 만족도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67
      • 15) 인도 응답자의 임상시험 업계 종사 동기에 따른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68
      • 16) 인도 응답자의 이직횟수와 주된 이직요인 70
      • 17) 인도 응답자의 요인별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상관 관계 75
      • 18) 인도 응답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76
      • 19) 인도 응답자의 업무에 있어서 저해요소와 업무 정착에 필요한 요소 77
      • 3. 전체 응답자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비교 79
      • 1) 한국과 인도 전체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비교 79
      • 2) 한국와 인도 전체 응답자의 요인별 기술 통계 비교 83
      • 3) 한국과 인도 전체 응답자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 비교 86
      • 4) 한국과 인도 전체 응답자의 이직 횟수와 주된 이직요인 비교 87
      • 5) 한국과 인도 전체 응답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9
      • 6) 한국과 인도 전체 응답자의 업무에 있어서 저해요소와 업무 정착에 필요한 요소 90
      • Ⅴ. 결론 및 고찰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