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년 계획으로 1년차에는 한국적 맥락 측면에서 고성과 팀의 의미와 고성과 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질적 연구 방법 중에 하나인 문화합의이론을 적용하여 발견하고, 2년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7223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년 계획으로 1년차에는 한국적 맥락 측면에서 고성과 팀의 의미와 고성과 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질적 연구 방법 중에 하나인 문화합의이론을 적용하여 발견하고, 2년차...
본 연구는 2년 계획으로 1년차에는 한국적 맥락 측면에서 고성과 팀의 의미와 고성과 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질적 연구 방법 중에 하나인 문화합의이론을 적용하여 발견하고, 2년차에는 1년차에 연구를 통해 개념화되고 발견된 공기업 고성과 팀의 의미와 특성 그리고 고성과 영향요인에 대해 양적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팀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함의를 제안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1년차 연구에서는 먼저 현재 공기업 팀에 소속되어 있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팀제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어떠한 과정과 역동들이 있어나는지에 대해 bottom-up 식으로 조사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공기업 팀 구성원들의 팀제와 고성과 팀을 이루기 위한 영향요인에 대한 생각과 신념을 먼저 개념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공동체 또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동의하고 공유하는 신념과 생각을 개념화하고 규명하는 방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질적 방법론 중 하나는 바로 문화합의이론(Cultural Consensus Theory)을 적용하고자 한다.
문화합의이론은 연구주제에 대하여 응답자들의 합의가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 개념이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정보수집에서 분석까지를 항목개발단계, 항목정제단계, 구조분석단계, 합의성분석단계 이상의 4단계로 제안한다(Weller & Romney 1988; Borgatti & Halgin, 2010; Horowitz, 2007: 50-57). 1단계는 연구대상의 문화 영역에 포함되는 항목을 개발하는 단계로 개방형 설문(open-ended questions)의 한 유형인 자유목록(freelist) 방식이 대표적이고, 2단계는 생성된 항목을 정제하여 문화영역을 대표하는 항목으로 축소하는 단계로 Anthropac(v. 4.9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항목을 축소한다. 3단계는 해당 항목들 간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단계로서 주로 파일분류(pilesort)와 3종비교(triad)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다차원척도법(MDS, Multidimensional Scale), PROFIT(property fitting) 분석, 네트워크 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항목 간의 구조를 분석하게 된다. 마지막 4단계는 응답자 전체가 동의하는 문화가 있는가, 개별 응답이 전체 응답과 얼마나 일치하는가, 항목별로 문화적으로 정의된 정답이 무엇인가를 추정하는 것으로, 이 단계를 합의성 분석(consensus analysis)이라 한다. 이에 따라 1년차에서는 분석 대상을 현재 국내 SOC 및 에너지 유형 공기업을 비롯한 공기업 공에서 근무하고 있는 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유목록(freelist), 파일분류(pilesort)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 분석하여 공기업 고성과 팀의 특징과 영향요소를 발견하고 한다.
2년차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기존에 팀제 연구들에서 서양의 합리주의 관리 패러다임에서 고성과 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도출된 변수들이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타당한지, 또 이러한 합리주의 요소보다 더 중요할 수 있는 한국의 문화적 맥락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계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한국의 고성과 팀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무엇이고 어떠한 요인이 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본질적인 연구 질문을 시작으로 2년 차에는 1년차에 발견한 한국 공기업의 고성과 팀에 영향요인들의 실제적인 영향성을 설문조사와 계량분석을 통해 검증함과 동시에, 보다 비판적인 시각에서 ‘서양의 합리주의 관리 패러다임에서 추론한 팀 성과에 미치는 구조적이고 관리과정적인 요인이 한국의 팀에도 타당한 것인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르지만 한국적 맥락에서 고성과에 대한 더 설명력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구체적인 질문을 가지고 이를 검증가능 한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설문문항은 1년차 연구결과에 기존문헌 분석 내용을 고려하여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할 것인데, 여기서 사용된 설문문항이 나이․성별과 같은 단순한 사실이 아니라 태도․가치․신념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이므로, 설문문항 자체에 대한 구성 및 정제, 문항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기술통계,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치도록 할 것이다. 이후 실제 각 변수들 간의 영향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과제의 분석 대상은 1년차 연구와 동일한 국내 SOC 및 에너지 유형 공기업을 비롯한 공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팀 구성원들이지만 1년차 연구에 참여한 구성원들을 제외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도록 한다. 시간적으로 1차년도 자유목록(freelist)은 2016년 7월-9월, 파일분류(pilesort)는 2016년 12월-2017년 1월에, 2차년도 실증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7년 12월-2018년 1월에 진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