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75099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9-265(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정량들을 추출한다. 이러한 특정량을 분석하기 위한 기존의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방법 보다는 조금 더 유용한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방법을 적용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 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 한다. 또한,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 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 /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urthermore, the features are analysed by ICA(independent Coponent Analysis) more useful than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목차 (Table of Contents)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춤의 어원에 관한 연구 - 유(遊)와 축(祝)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