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의 만화경 경력 태도, 경력 계획, 경력 몰입의 관계: 만화경 경력 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 = Relationships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Career Planning and Career Commitment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KCA) among KCA, career planning(CP), and career commitment(CC)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 enterprises(SMEs). For do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KCA) among KCA, career planning(CP), and career commitment(CC)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 enterprises(SMEs).
      For doing so, this study used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scale(Mainiero & Sullivan, 2006), Career Planning scale(Gould, 1979) and Career Commitment scale(Blau, 1988). 493 data from respondents working in SMEs were used for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P ha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KCA and CC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Es. Second, KCA has moderated mediation effect among KCA, CP and CC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Es. When the KCA increases one point, the effect of CP on CC increases by about 0.13 poi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KCA on CC through CP increases by about 0.08 point. Based upon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then suggested for developing early career employees’ career in S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가 인식하는 만화경 경력 태도, 경력 계획, 그리고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만화경 경력 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한...

      본 연구는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가 인식하는 만화경 경력 태도, 경력 계획, 그리고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만화경 경력 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및중소기업 초기 경력자 경력개발 현황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김대영 외, 2018)에서수집된 자료 중, 연구 목적에 따라 5인 이상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고, 경력 5년 미만인 자들의 응답 자료(493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 계획은 만화경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변수의 관계에 대한 만화경 경력 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화경 경력 태도가 한 단위(1 점) 증가하면 경력 계획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조건부 효과는 약 0.13 증가하고, 만화경 경력 태도가 경력 계획을 경유하여 경력 몰입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약 0.08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학술적 논의와 중소기업초기 경력자 대상 경력개발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화,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경력몰입, 이직의도 및 경력변경의도와의 관계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65-86, 2009

      2 백상용, "한국 TAM 실증연구의 동일방법편의 분석"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1-17, 2012

      3 최우재, "학습목표 지향성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적응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45-171, 2010

      4 김도형, "학습동기, 경력계획 및 조직지원인식에 따른 경력정체와 이직의도간 관련성" 대한경영학회 24 (24): 2571-2597, 2011

      5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 23 (23): 1899-1915, 2010

      6 박혜영, "프로티언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T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9-45, 2015

      7 손정은,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습과 성장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641-660, 2019

      8 임채경,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 (2): 63-78, 2018

      9 정동열,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의 경력몰입과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177-201, 2014

      10 우상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40 (40): 123-137, 2017

      1 김영화,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경력몰입, 이직의도 및 경력변경의도와의 관계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65-86, 2009

      2 백상용, "한국 TAM 실증연구의 동일방법편의 분석"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1-17, 2012

      3 최우재, "학습목표 지향성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적응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45-171, 2010

      4 김도형, "학습동기, 경력계획 및 조직지원인식에 따른 경력정체와 이직의도간 관련성" 대한경영학회 24 (24): 2571-2597, 2011

      5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 23 (23): 1899-1915, 2010

      6 박혜영, "프로티언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T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9-45, 2015

      7 손정은,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습과 성장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641-660, 2019

      8 임채경,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 (2): 63-78, 2018

      9 정동열,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의 경력몰입과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177-201, 2014

      10 우상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40 (40): 123-137, 2017

      11 정지용,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의 조직적응과 성장욕구, 무형식학습, 상사-부하 교환 관계(LMX)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12 김대영,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의 LMX, 무형식 학습 활동,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 LMX의 조절된 매개 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31-59, 2019

      13 백평구,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267-299, 2016

      14 정주환, "중소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틴 경력태도, 사회적지지, 경영자에 대한 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8

      15 임정연,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의도, 교육-직무 일치도, 일자리 특성의 관계에서 근무환경, 인간관계, 자기개발 가능성의 조절효과: 기업교육에 대한 시사점"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155-181, 2013

      16 임재원, "중소기업 근로자의 일터학습과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223-248, 2010

      17 배을규,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25, 2014

      18 김수진, "주도성 및 개방성과 시간조망 및 프로틴 경력지향이 미래경력설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9 (29): 303-326, 2016

      19 백기복, "조직행동연구" 창민사 2002

      20 배을규,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멘토링 기능과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멘토 감성 지능의 조절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9 (19): 1-21, 2017

      21 Csikszentmihalyi, M., "자기진화를 위한 몰입의 재발견" 한국경제신문 2013

      22 김대영, "일학습병행은 경력개발에 효과적인가?" 21 (21): 26-57, 2018

      23 김대영,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24 한국산업인력공단, "일학습병행 현황"

      25 배을규, "인적자원개발론" 학이시습(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6 이순묵, "요인분석Ⅰ" 학지사 1995

      27 시기자,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28 이동희, "여성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5

      29 박혜영,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일과 삶 균형(WLB), 경력몰입,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국제e-비즈니스학회 17 (17): 141-156, 2016

      30 이찬,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개발 지원 현황 및 요구 분석-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89-220, 2008

      31 유은혜, "비서직종사자의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정서적 몰입, 직무몰입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서학회 24 (24): 51-74, 2015

      32 Csikszent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해냄 2005

      33 전현영, "두 50대 남성 직장인의 진로전환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생계와 자아실현 사이" 한국상담학회 15 (15): 675-694, 2014

      34 장원섭,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6 (26): 141-164, 2007

      35 장서영,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105-138, 2008

      36 한국경영자총협회, "대졸 신입사원 채용 및 재교육 현황"

      37 손규태, "대기업 종사자의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인과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139-174, 2015

      38 이수연, "대기업 정규직 여성 비서직무 경험자들의 경력전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비서학회 21 (21): 29-56, 2012

      39 강인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149-175, 2015

      40 이민영, "뉴커리어(New Career) 연구 동향: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무경계 경력태도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8 (38): 97-124, 2019

      41 박용호,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정도, 자기주도 학습능력,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53-79, 2013

      42 이재은,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 중요도 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X세대와 Y세대의 비교"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175-203, 2018

      43 이현응, "국내외 HRD 연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93-117, 2019

      44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45 최동선, "고졸 초기 경력자의 직장 적응 실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46 현영섭,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관계에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45-65, 2010

      47 문재승, "경력관리행동, 조직경력개발지원 및 경력성과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7 (27): 431-457, 2012

      48 오은혜,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미래시간전망과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5 (25): 727-748, 2012

      49 조영복, "경력계획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 심리적 특성의 매개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171-195, 2010

      50 이희옥, "경력계획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조직 지원(POS)과 상사-부하 교환관계(LMX)의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무역연구원 10 (10): 965-987, 2014

      51 나기현, "경력계획과 경력성공의 관계에 미치는 경력몰입의 매개역할"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8 (18): 47-67, 2015

      52 김성남, "경력계획, 직무적합성 및 직장·가정 갈등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1419-1438, 2012

      53 황경혜, "경력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경력계획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간호학회 24 (24): 284-291, 2017

      54 O"Neill, M. S., "Women's desire for the kaleidoscope of authenticity, balance and challenge : A multi‐method study of female health workers"careers" 26 (26): 962-982, 2019

      55 August, R. A., "Women"s later life career development : Looking through the lens of the kaleidoscope career model" 38 (38): 208-236, 2011

      56 Sullivan, S. E., "Using the kaleidoscope career model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of women's careers : Designing HRD programs that attract and retain women" 10 (10): 32-49, 2008

      57 Sheldon, K. M., "Trait self and true self : Cross-role variation i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its relations with psychological authenti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73 (73): 1380-1393, 1997

      58 Briscoe, J. P., "The"new career"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do boundaryless and protean attitudes make a difference?" 14 (14): 242-260, 2009

      59 Blau, G.,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58 (58): 277-288, 1985

      60 Steffy, B. D., "The impact of familiy and career planning variables on the organizational, career and community commiment of professional woman" 32 (32): 196-212, 1988

      61 Orpen, C.,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on career success" 15 (15): 27-37, 1994

      62 Mainiero, L. A., "The Opt-Out Revolt: Why People Are Leaving Corporations to Create Kaleidoscope Careers" Davies-Black Publishing 2006

      63 Mainiero, L. A., "The Kaleidoscope Career Model revisited: How midcareer men and women diverge on authenticity, balance, and challenge" 45 (45): 361-377, 2018

      64 Dik, B. J., "Purpose and meaning in the workpla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

      65 Nunnally, J., "Psychometric methods" McGraw-Hill 1978

      66 DeVos, A., "Protean attitude and career success: The mediating role of self-management" 73 (73): 449-456, 2008

      67 Briscoe, J. P.,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 An empirical exploration" 69 (69): 30-47, 2006

      68 Hayes, A. F., "PROCESS macro 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015

      69 Mowday, R., "Organizational linkages :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14 (14): 224-247, 1982

      70 Cabrera, E. F., "Opting out and opting in :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women's career transitions" 12 (12): 218-237, 2007

      71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Prentice Hall 2006

      72 Mainiero, L. A., "Kaleidoscope careers : An alternate explanation for the"opt-out"revolution" 19 (19): 106-123, 2005

      73 Wallace, J. E., "It's about time : A study of hours worked and work spillover among law firm lawyers" 50 (50): 227-248, 1997

      74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018

      75 김태성, "IT기술인력의 경력정체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조절효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7 (17): 87-116, 2014

      76 이찬, "IT 인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161-189, 2009

      77 Seierstad, C., "Having it all? Women in high commitment careers and work–life balance in Norway" 22 (22): 390-404, 2015

      78 배을규, "HRD 컨설턴트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26 (26): 1865-1885, 2013

      79 Fabrigar, L. R.,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4 (4): 272-299, 1999

      80 Eunjee Kim, "Employees’ Learning Goals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daptability" 한국성인교육학회 21 (21): 75-95, 2018

      81 Podsakoff, P. M.,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88 (88): 879-903, 2003

      82 Gould, S., "Characteristics of Career Planners in Upwardly Mobile Occupations" 22 : 539-550, 1979

      83 Feldman, D. C., "Careers in organizations : Rec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15 (15): 135-156, 1989

      84 Hall, D. T.,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Sage Publications 2002

      85 Joo, B. K., "Care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effects of go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developmental feedback" 31 (31): 482-500, 2010

      86 Bedeian, A. G., "Career commitment and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nd turnover behavior" 39 (39): 331-343, 1991

      87 Ballout, H. I.,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success :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14 (14): 655-670, 2009

      88 Colarelli, S. M., "Career commitment : Functions, correlates, and management" 15 (15): 158-176, 1990

      89 Kirk, S., "Career capital in global Kaleidoscope Careers: The role of HRM" 27 (27): 681-697, 2016

      90 Tolentino, L. R., "Career adaptation : The relation of adaptability to goal orientation,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optimism" 84 (84): 39-48, 2014

      91 Jeffrey, G. H., "Career Management" SAGE Publications 2002

      92 Wolfgang, A. P., "Career Commitment, Career Plans, and Job-Related Stress : A Follow-Up Study of Pharmacy Students as Pharmacists" 57 (57): 25-28, 1993

      93 Aryee, S., "Antecedents and outcomes of career commitment" 40 (40): 288-305, 1992

      94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993

      95 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 2007

      96 Hall, D. T., "A theoretical Model of Career Sub-Identity Development in Organizational Setting" 6 : 50-76, 1971

      97 Kostal, J. W.,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demographic differences in protean, boundaryless, and proactive career orientations" 22 (22): 520-545, 2017

      98 Baruch, Y., "A fresh look at the dark side of contemporary careers : Toward a realistic discourse" 27 (27): 355-372, 2016

      99 Tajlili, M. H., "A framework for promoting women's career intentionality and work–life integration" 62 (62): 254-267, 2014

      100 Arthur, M. B., "A career lexicon for the 21st century" 10 (10): 28-39, 1996

      101 김대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한국교육의 전망과 과제" 박영스토리 50-8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38 1.21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