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Taonga’ in the second provision of the treaty, using the Treaty of Waitangi in New Zealand as an example of good protection of intangible heritage. ‘Taonga’, a Maori version of the Waitangi Treaty, is not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08736
변지선 (부산가톨릭대학교)
2018
Korean
Maori ; New Zealand ; Treaty ;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Literature ; 마오리 ; 뉴질랜드 ; 조약 ; 무형문화유산 ; 구비문학
KCI등재
학술저널
605-636(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Taonga’ in the second provision of the treaty, using the Treaty of Waitangi in New Zealand as an example of good protection of intangible heritage. ‘Taonga’, a Maori version of the Waitangi Treaty, is not ...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Taonga’ in the second provision of the treaty, using the Treaty of Waitangi in New Zealand as an example of good protection of intangible heritage.
‘Taonga’, a Maori version of the Waitangi Treaty, is not only a material treasure, but also includ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Maori language, mythology and tradition. The Waitangi Treaty written in Maori and the Waitangi Treaty written in English differed in the concept of ‘Taonga’, which caused conflict between the Maori and New Zealand.
Maori have been conducting academic research on Maori culture, ongoing demands for trial, Maori political parties, and to protect their Taonga. She has also been involved in legal research on Maori by launching the Maori Law review. The Waitangi court ruled that both the Waitangi Treaty written in English and the Waitangi Treaty written in Maori were all right. The Maori, therefore, are recognized as including their own ‘Taonga’ beyond the material and intangible heritage.
In this article, we first propose an extension of the category of oral literature. Literary literature can be regarded as a cultural heritage in the sense of the traditional culture provided. In addition, the state must make concrete efforts to protect the literature.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system for the literature. First of all, we must actively interpret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and establish a system to actively protect the legitimate literature as a traditional 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the ‘Law Concerning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establish a legal system for the literary tex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dvanced legal system of overseas literatures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갑, "헌법상문화국가의 원리" 亞細亞太平洋公法學會 2 : 1993
2 장용근,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보장" 단국대학교부설법학연구소 30 (30): 2006
3 김인식, "중국의 문화재 보호법규" 한국법제연구원 2008
4 문화재청, "주요국 문화재보호 법제 수집 번역 및 분석" 문화재청 2010
5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어와 제주민속의 변화 그리고 보존" 제주특별자치도 ; 국립민속박물관 2007
6 변지선, "입사장" 민속원 2008
7 손형섭, "일본의 문화재보호법 및 문화재방재대책" 한국법제연구원 2008
8 "유튜브: 하카 영상"
9 "온라인 영영사전"
10 "오클랜드 도서관"
1 김수갑, "헌법상문화국가의 원리" 亞細亞太平洋公法學會 2 : 1993
2 장용근,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보장" 단국대학교부설법학연구소 30 (30): 2006
3 김인식, "중국의 문화재 보호법규" 한국법제연구원 2008
4 문화재청, "주요국 문화재보호 법제 수집 번역 및 분석" 문화재청 2010
5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어와 제주민속의 변화 그리고 보존" 제주특별자치도 ; 국립민속박물관 2007
6 변지선, "입사장" 민속원 2008
7 손형섭, "일본의 문화재보호법 및 문화재방재대책" 한국법제연구원 2008
8 "유튜브: 하카 영상"
9 "온라인 영영사전"
10 "오클랜드 도서관"
11 이창식, "영월아리랑의 발굴과 보존" 한국민요학회 12 : 209-231, 2003
12 김봉철, "영국의 문화재보호법 및 문화재방재대책 관련법" 한국법제연구원 2008
13 김봉철, "영국의 문화재보호법 및 문화재방재대책 관련법" 한국법제연구원 2008
14 "스터프, 뉴질랜드 뉴스 사이트"
15 "브라이언 이스턴 홈페이지"
16 유진호, "미국의 문화재 보호법제, 외국법제정보" 한국법제연구원 2008
17 양종승,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무속 전승의 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고찰" 비교민속학회 2002
18 주강현, "무형문화재로서의 구비문학 : 구비문학의 문화재적 가치부여를 위한민속학연구방법론" 국립민속박물관 6 : 2012
19 양종승, "무속과 정치-문화재 지정 무속의례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26) : 357-374, 2004
20 "마오리족 법률 리뷰"
21 "마오리어 온라인 사전(Maoi Dictonary online)"
22 "마오리 정당"
23 박광수, "대전의 구비문학 현황과 보존 방안" 대전광역시 (20) : 2011
24 "뉴질랜드 온라인 백과사전(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25 "뉴질랜드 법무부"
26 "뉴질랜드 문화유산청(Heritage New Zealand)"
27 "뉴질랜드 문화유산부(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8 "뉴질랜드 문화역사부"
29 "뉴질랜드 관광청"
30 "국가법령정보센터"
31 吳世卓, "文化財保護法 硏究 : 文化財享有權의 法理를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3
32 남궁승태, "憲法上의 文化國家와 文化財保護" 亞細亞 太平洋公法學會 3 : 1994
33 金銖甲, "憲法上 文化國家原理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34 Russell Craig, "The concept of Taonga in Maori culture: insights for accounting" Emerald Group Publishing 2012
35 염원희, "<황제풀이> 무가 연구 -타 문학 장르와의 교섭양상을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26) : 141-165, 2010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병원 내 폭력, 간호사의 무례함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현대사 정치문화에 대한 고찰:쿠데타군의 재집권시기를 중심으로
수학 대중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정책 방향- 수학문화 인식에 대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 ![]() |
2022-03-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4-03-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