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 운영 체계 중의 하나인 연계전공이나 자기 설계전공의 도입은 아직도 한국의 대학에서 생소한 것이긴 하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체제이다. 타 대학의 연계전공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5805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 운영 체계 중의 하나인 연계전공이나 자기 설계전공의 도입은 아직도 한국의 대학에서 생소한 것이긴 하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체제이다. 타 대학의 연계전공에...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 운영 체계 중의 하나인 연계전공이나 자기 설계전공의 도입은 아직도 한국의 대학에서 생소한 것이긴 하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체제이다. 타 대학의 연계전공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연계전공의 개설을 분석하여 한국체육대학의 특성에 적합한 연계전공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스포츠 분야의 연계전공 가능성은 매우 높다.
이러한 현실 인식의 바탕 위에 이제는 학부제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한 교육과정 운용 체제를 개편해야 할 시점에 직면해 있다. 특히 우리 대학은 엘리트스포츠를 육성하기 위한 특수목적 대학으로 설립되어 현재는 일반 체육관련 학과와 혼합된 형태의 학부로 운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중 구조에 적합한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 운영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이 연구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의 개발과 획기적인 교육과정의 개편을 위한 것이며 대학의 변화와 학교 자체 발전계획에 따른 2003년 학부제의 전면적인 시행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정책 결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위기와 새로운 출발점의 선상에 선 한국체육대학교의 발전을 위한 학부제를 시행하기 위한 학부제 운영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국립대학, 사립대학과 국외의 체육대학을 중심으로 우리 대학의 학부제 도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학을 선정하여 벤치마킹하고 우리 대학의 조건과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체육대학교의 학부제 운영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방법 Ⅱ. 학부제의 장점과 단점 1. 급변하는 대학 사회의 위기와 전망 2. 경쟁력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방법
Ⅱ. 학부제의 장점과 단점
1. 급변하는 대학 사회의 위기와 전망
2.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학부제 도입의 근거
3. 학부제에 대한 찬ㆍ반론 분석
4. 학부제의 문제와 해결 과제
Ⅲ. 국내대학의 학부제 운영시스템 분석
1. 입학모집단위
2. 교육과정 구성
가. 졸업이수학점
나. 교양과정
다. 전공과정
라. 선택교육과정
3. 전공결정시기 및 전과/전부
4. 부전공/복수전공
5. 연계전공/자기설계전공
6. 졸업인증제
Ⅳ.외국대학의 학부제 운영시스템 분석
1. 독일 퀠른 체육대학
가. 대학의 개요
나. 학부의 구성
다. 교육과정
2. 북경 국립체육대학
가. 학부의 구성
나. 학부 구성에 따른 교과계획
3. 미국 스프링필드대학
4. 일본 대학
가. 가노야 체육대학
나. 쯔쿠바 대학
Ⅴ.한국체육대학교의 기본조건의 검토
1. 대학의 발전 방향과 시대적 요구
2. 학생의 요구와 특성
가. 입학시의 학생의 자질과 특성
나. 전공선택에 대한 경향
다. 면학의지
라. 학생들의 진로와 장래 희망
3. 교수현황
4. 교육환경
Ⅵ.한국체육대학교 학부제 운영 시스템 기본안
1. 교육과정 개선 추진 과정
가. 교육과정 개선 위원 구성
나. 과제별 위원
다. 개선연구 과제
라. 연구추진 현황
2. 기본 방향
3. 총 이수학점
가. 이수학점
나. 개설학점
4. 교양과정 개설
가. 교양교육과정 교과목 개설의 원칙
5. 전공과정 개설
가. 일반적 원칙
나. 전공공통기초 과목의 개설
다. 자격증 취득과목의 개설
라. 전공선택과목의 개설
마. 전문실기과목의 개설
6. 학부별 편제
가. 교양과정 편성구성
나. 전공과정 편성구조
다. 실기과목 통합교육과정
7. 성적 평가
8. 향후 중장기 발전 방안
Ⅶ.한국체육대학교 학부제 기본안 Simulation
1. 체육학부
2. 사회체육학부
3. 건강관리학부
4. 태권도학과
Ⅷ.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