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주 『상정과거규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0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시대 과거제도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사료인 『상정과거규식』의 각 조항을 번역하고, 각 조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주석을 덧붙여 소개함으로써, 이 사료의 활용도...

      이 연구는 조선시대 과거제도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사료인 『상정과거규식』의 각 조항을 번역하고, 각 조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주석을 덧붙여 소개함으로써, 이 사료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조선시대 과거제도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시도되었다.
      우선 『상정과거규식』이 성립하는 데 저본이 되었던 『과거사목』(『구사목』 과 『신과거사목』)이 어떻게 『상정과거규식』의 조항으로 정리되었는지 분석하였고, 『상정과거규식』의 각 조문 번역에 대한 원문은 각주로 처리하여 대조·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용어풀이 및 보완설명 등 필요한 참고사항도 각주에 제시하였다.
      『구사목』 과『신과거사목』을 하나의 책으로 묶은 『과거사목』, 이를 종합하고 간명하게 정리한 『상정과거규식』 등에 대한 역주가 모두 소개됨으로써,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시행에 대한 연구 등 연구자의 주요 관심에 따라 다양하게 이들이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이런 활용에 따라서 조선시대 과거제도에 대한 이해도 더욱 더 정밀해 질 것으로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everal annotations on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which i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for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This paper is a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everal annotations on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which i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for government service appointment of Chosen Dynasty.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is the revised version of 『Gwa-Geo-Sa-Mok』(科擧事目). But for exact understanding the several articles of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we must confer the contents of 『Gwa-Geo-Sa-Mok』(科擧事目) especially the New Statements.
      I have completed the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several annotations on 『Sang-Jeon-Gwa-Geo-Gyu-Sik』(詳定科擧規式) & ?『Gwa-Geo-Sa-Mok』?(科擧事目) which consists of the Old Statements and the New Statements . These three times translations on the most important public papers for the public examination will contribute the more concrete and exact understanding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to appoint civil service officer of Chosen Dynasty than ev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상정과거규식』에 대한 역주
      • 3. 논의 및 맺음말
      • 참고문헌
      • 요약
      • 1. 서론
      • 2. 『상정과거규식』에 대한 역주
      • 3. 논의 및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용,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사학회 20 (20): 1-26, 2010

      2 "조선왕조실록"

      3 김경용, "조선시대 과거제도 시행의 법규와 실제" 대한교육법학회 16 (16): 1-25, 2004

      4 "전록통고"

      5 "육전조례"

      6 김경용, "역주 『과거사목』(신과거사목) 연구" 교육사학회 23 (23): 1-20, 2013

      7 김경용, "역주 『과거사목』 연구" 교육사학회 22 (22): 149-174, 2012

      8 "속대전"

      9 "상정과거규식 영인" (9) : 1993

      10 "대전회통"

      1 김경용,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사학회 20 (20): 1-26, 2010

      2 "조선왕조실록"

      3 김경용, "조선시대 과거제도 시행의 법규와 실제" 대한교육법학회 16 (16): 1-25, 2004

      4 "전록통고"

      5 "육전조례"

      6 김경용, "역주 『과거사목』(신과거사목) 연구" 교육사학회 23 (23): 1-20, 2013

      7 김경용, "역주 『과거사목』 연구" 교육사학회 22 (22): 149-174, 2012

      8 "속대전"

      9 "상정과거규식 영인" (9) : 1993

      10 "대전회통"

      11 "대전통편"

      12 "과거사목 영인" (9) : 1993

      13 "경국대전"

      14 "銀臺便攷"

      15 김경용, "朝鮮朝 科擧制度 講書試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15) : 43-69, 2006

      16 이동환, "《과거사목》및《상정과거규식》해제" 9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5-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istory or Education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사학회 -> 교육사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History o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6 1.46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