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기 소비자의 경제생활 위기와 위기 극복을 위한 재취업 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1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노년기 경제생활의 구성요소를 분석해보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금 수혜율이 적고 은퇴준비가 취약하여 많은 노년기 소비자들은 은퇴이후 재취업을 통한 기초 생활비인 근로소득 획득을 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소비자의 경제생활 위기 현황을 분석하고 노년 소비자들이 은퇴이후에도 재취업을 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동기를 분석하기 위해 일자리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에 대한 표적집단면접과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경제활동 참여 동기 및 취업영역, 취업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재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인 소비자들의 참여니즈와 최근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재취업 영역인 사회적기업의 참여의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자리사업 참여 동기로 은퇴이후 근로소득의 필요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의 일자리사업의 임금수준 향상과 지속적으로 충분한 일자리가 제공되길 가장 많이 희망했다. 또한 일자리 사업의 공공성, 교육성과 복지성을 포함한 직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긍심과 해당 분야의 직무경험을 공유하는 적극성을 나타냈으나 낮은 임금수준은 노인들의 경제적 위기를 보완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재취업 참여자들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보완책으로 시간제 일자리 사업에 대한 공공정책을 신뢰하였으며,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자녀로부터의 경제적 독립과 기초 생활비 마련이 우선시되었다. 사회적 기업의 참여관심 및 의향에 대해 노인소비자들은 일자리사업과 유사한 재취업영역으로 판단을 하였고 두 제도의 공공정책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한국 노년기 경제생활의 구성요소를 분석해보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금 수혜율이 적고 은퇴준비가 취약하여 많은 노년기 소비자들은 은퇴이후 재취업을 통한 기초 생활비인 근...

      한국 노년기 경제생활의 구성요소를 분석해보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금 수혜율이 적고 은퇴준비가 취약하여 많은 노년기 소비자들은 은퇴이후 재취업을 통한 기초 생활비인 근로소득 획득을 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소비자의 경제생활 위기 현황을 분석하고 노년 소비자들이 은퇴이후에도 재취업을 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동기를 분석하기 위해 일자리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에 대한 표적집단면접과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경제활동 참여 동기 및 취업영역, 취업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재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인 소비자들의 참여니즈와 최근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재취업 영역인 사회적기업의 참여의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자리사업 참여 동기로 은퇴이후 근로소득의 필요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의 일자리사업의 임금수준 향상과 지속적으로 충분한 일자리가 제공되길 가장 많이 희망했다. 또한 일자리 사업의 공공성, 교육성과 복지성을 포함한 직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긍심과 해당 분야의 직무경험을 공유하는 적극성을 나타냈으나 낮은 임금수준은 노인들의 경제적 위기를 보완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재취업 참여자들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보완책으로 시간제 일자리 사업에 대한 공공정책을 신뢰하였으며,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자녀로부터의 경제적 독립과 기초 생활비 마련이 우선시되었다. 사회적 기업의 참여관심 및 의향에 대해 노인소비자들은 일자리사업과 유사한 재취업영역으로 판단을 하였고 두 제도의 공공정책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socio-economical needs to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through the aged senior job's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involved applying contents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research problem analyzed economical participation factors, satisfaction degree of senior job's program, various socio-economical participation need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social enterprise.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motivation of senior job's participation were labor income after retirement and participation social activity. Publicity and educational traits of senior jobs were very important factor and the aged had pride of professional job program and had strong attitude to communicate the job experience with former job program participant. A participants showed high credibility of public policy to enhance aged economic status and suggested emotional support by partner and children. They agree the publicity between senior job and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had more business profitability and job professionalism.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socio-economical needs to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through the aged senior job's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involved applying contents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research problem analyzed economical participa...

      This study explored socio-economical needs to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through the aged senior job's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involved applying contents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research problem analyzed economical participation factors, satisfaction degree of senior job's program, various socio-economical participation need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social enterprise.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motivation of senior job's participation were labor income after retirement and participation social activity. Publicity and educational traits of senior jobs were very important factor and the aged had pride of professional job program and had strong attitude to communicate the job experience with former job program participant. A participants showed high credibility of public policy to enhance aged economic status and suggested emotional support by partner and children. They agree the publicity between senior job and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had more business profitability and job profession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ㆍ제도적 배경
      • 1. 인구 고령화에 따른 중노년기 소비자 가계의 경제위기와 취업 참여 동기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ㆍ제도적 배경
      • 1. 인구 고령화에 따른 중노년기 소비자 가계의 경제위기와 취업 참여 동기
      • 2. 국내 노인 일자리사업 개요 및 선행 연구고찰 과 사회적 기업을 통한 중노년 고용 증대
      • Ⅲ. 연구방법
      • 1. 연구문제의 도출
      •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3.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 Ⅳ. 연구결과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명제의 제시 및 분석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한국의 성별 연금격차 현황"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2014

      2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 김재호, "중고령자 노동시장 재진입과 빈곤결정요인 분석 : 가교일자리 중심으로" 2013

      4 장지연, "중고령자 근로 생애사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5 김상호, "장애인 일자리 지원서비스와 연계를 통한 노인 사회적 일자리창출" 27 (27): 152-153, 2008

      6 권혁성, "우리나라 중ㆍ고령자 노후준비실태 및 시사점 : 임금근로자 중심으로" 2013

      7 이주미,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과 자산빈곤실태와 정책방향" 212 : 64-73, 2014

      8 통계청, "서울 : 통계연보"

      9 이정봉, "사회적 기업의 노동조건 현황과 과제" 3-4 : 58-64, 2010

      10 심창학, "사회적 기업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61-85, 2007

      1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한국의 성별 연금격차 현황"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2014

      2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 김재호, "중고령자 노동시장 재진입과 빈곤결정요인 분석 : 가교일자리 중심으로" 2013

      4 장지연, "중고령자 근로 생애사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5 김상호, "장애인 일자리 지원서비스와 연계를 통한 노인 사회적 일자리창출" 27 (27): 152-153, 2008

      6 권혁성, "우리나라 중ㆍ고령자 노후준비실태 및 시사점 : 임금근로자 중심으로" 2013

      7 이주미,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과 자산빈곤실태와 정책방향" 212 : 64-73, 2014

      8 통계청, "서울 : 통계연보"

      9 이정봉, "사회적 기업의 노동조건 현황과 과제" 3-4 : 58-64, 2010

      10 심창학, "사회적 기업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61-85, 2007

      11 김연정, "사회적 기업과 소셜 벤처를 통한 노인 일자리 창출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창업학회 6 (6): 25-46, 2011

      12 고용노동부, "사회적 기업 3주년 성과" 고용노동부 2008

      13 이철선, "베이비붐 세대 고용대책과 향후 이슈" 2011

      14 양정선, "베이비부머의 노후 경제활동 희망과 정책적 지원모색" 한국가족복지학회 18 (18): 59-79, 2013

      15 김옥희, "대도시 노인 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08 (2008): 89-115, 2009

      16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9 (59): 331-354, 2013

      17 이소정, "노인의 경제활동 특성과 정책과제" 192 : 17-25, 2012

      18 문숙재, "노인가계와 비노인가계의 재정상태 비교분석" 14 (14): 223-236, 1996

      19 김진곤, "노인 일자리의 창출과 고용안정을 위한 입법적 과제"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81-121, 2009

      20 부정남, "내용분석의 발전과정" 17 : 125-131, 1984

      21 박소희, "국민연금제도에 다른 고령자 은퇴결정 분석" 2013

      22 박상현, "공적연금제도가 가계재정과 수급자만족에 미치는 효과분석 : 국민연금과 특수직역 연금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2013

      23 곽선화, "2007 인증 사회적 기업의 성과분석과 과제" 2 (2): 37-65, 2009

      24 보건복지부, "2006년도 노인일자리 사업 종합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6 1.0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