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chanism and impact of ‘non-context’ and ‘dumbfounde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B-class emotional ad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long with the trend of modern consumers’ pursuit of fun. The mechan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80504
2022
Korean
B급 감성 광고 ; 비맥락 ; 기대 불일치 ; 각성 ; 지각된 재미 ; 소비자 태도 ; B-class emotional ad ; Non-contextual ; Expectation disconfirmation ; Arousal ; Perceived fun ; Consumer attitude
KCI등재
학술저널
397-422(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chanism and impact of ‘non-context’ and ‘dumbfounde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B-class emotional ad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long with the trend of modern consumers’ pursuit of fun. The mechani...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chanism and impact of ‘non-context’ and ‘dumbfounde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B-class emotional ad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long with the trend of modern consumers’ pursuit of fun. The mechanism by which B-class emotional occurs was operatively defined, and it was considered that consumers would perceive inconsistency in expectations for ad that appear throughout the course of ad, and thus non-contextual and absurd in the change in arousal caused by ad. It was expected that the complex action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and ad-induced arousal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including fun emotions, which are responses to B-class emotions, and consumer’s fun emotions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on consumer attitudes. It is a design between participants of 2 (expectation disconfirmation: consistency/ inconsistency)×2 (ad-induced arousal: high/low), and the influence on perceived fun emotions, product․brand․ad attitudes was confirmed using video stimul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more fun when the expectation was inconsistent and the ad was high-arousal, but the product․brand attitudes were the most positiv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xpectation was inconsistent and the ad was high-arousal. The interaction of the two variables with the ad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Meanwhile,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ad arousal on consumer attitudes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fun.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d with inconsistent expectations and high-arousal, perceived fun increased and led to a positive attitude,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consistent and low-arousal ads were, the perceived fun decreased and th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nd theoretically expand the influence of ad components as well as the overall ad effect, targeting ad with non-contextual and absurd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types of B-class emotional ads.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specific emotions in effective ad execution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s emotion ‘fun’ considering the ‘fun-seeking tendency’ of modern consumers. Finally, through research on ads with non-contextual and absurd characteristics among B-class emotional ads, it can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 implementing B-class emotional ads in the future and expect a wide use of B-class emotional ads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ad elements in the marketing field.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소비자의 재미 추구 경향과 함께 주목을 끌고 있는 B급 감성 광고의 특징 중 ‘비맥락’과 ‘어이없음’이 발생하는 기제와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B급 감성이 발생하는 ...
본 연구는 현대 소비자의 재미 추구 경향과 함께 주목을 끌고 있는 B급 감성 광고의 특징 중 ‘비맥락’과 ‘어이없음’이 발생하는 기제와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B급 감성이 발생하는 기제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는데, 광고가 전개되는 과정에 걸쳐 나타나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불일치와, 이에 따라 광고에서 유발하는 각성의 변화에서 비맥락적이고 어이없음을 지각할 것으로 보았다. 기대 불일치와 광고 유발 각성의 복합적 작용이 B급 감성의 반응인 재미 정서를 포함한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고,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소비자의 재미 정서가 매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2(기대 불일치: 일치/불일치)×2(광고 유발 각성: 고각성/저각성) 참가자 간 설계로, 영상 자극을 활용하여 지각된 재미 정서, 제품․브랜드․광고 태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기대와 불일치하고 광고가 고각성일 때 참가자는 더 많은 재미를 경험하였으나, 제품․브랜드 태도는 기대와 일치하고 광고가 고각성인 조건에서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태도에 대한 두 변인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기대 불일치-광고 유발 각성의 상호작용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재미가 부분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대와 불일치하고 고각성의 광고인 경우 지각된 재미가 증가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이어졌으나, 기대와 일치하고 저각성의 광고일수록 지각된 재미가 감소하고 이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B급 감성 광고의 다양한 유형 중 비맥락적이고 어이없는 특징의 광고를 대상으로, 전반적 광고 효과뿐만 아니라, 광고 구성 요소의 영향에 관한 탐구와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 또한 현대 소비자의 ‘재미 추구 경향성’을 고려한 소비자 정서 ‘재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광고 집행에 있어 특정 정서의 영향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B급 감성 광고 중 비맥락적이고 어이없는 특징을 가진 광고에 관한 연구를 통해 향후 실무자의 B급 감성 광고 시행에 있어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하고, 마케팅 분야에서 다양한 광고 요소의 조합을 통한 B급 감성 광고의 폭넓은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명 ; 박서니 ; 나종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관성의 조절효과" 한국소비문화학회 21 (21): 43-65, 2018
2 최지은 ; 박종철, "제품 색상명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색상명의 불일치와 소비자 해석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4 (14): 611-627, 2013
3 이재록 ; 구혜경, "재미(Fun) 광고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9-248, 2007
4 김지호 ; 서혜원, "유튜브 광고 환경에서의 소비자 경험 연구: 지각된 침입성과 통제감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32 (32): 25-50, 2021
5 최종필 ; 정병기, "스포츠스타 광고모델 속성과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간 인과관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1 (11): 177-189, 2006
6 김승화 ; 이란경 ; 안희경, "소비자는 언제 자기향상제품을 구매하는가?: 자기향상의 유형과 선망의 상호작용" 한국소비자학회 31 (31): 25-39, 2020
7 홍윤서 ; LI XINGE ; 성용준, "사회적 배제가 은유적으로 따뜻한 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1 (21): 559-581, 2020
8 양윤, "사전지식, 광고맥락, 처리목적이 광고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1-1, 2004
9 황서빈 ; 김혜근 ; 윤경윤 ; 황종원 ; 조영준, "비대면 소통 플랫폼 맞춤형 영상 합성 기술 연구 : 디지털 문화 소비의 주요 계층인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2 (22): 2139-2149, 2021
10 김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과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75-284, 2017
1 이진명 ; 박서니 ; 나종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관성의 조절효과" 한국소비문화학회 21 (21): 43-65, 2018
2 최지은 ; 박종철, "제품 색상명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색상명의 불일치와 소비자 해석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4 (14): 611-627, 2013
3 이재록 ; 구혜경, "재미(Fun) 광고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9-248, 2007
4 김지호 ; 서혜원, "유튜브 광고 환경에서의 소비자 경험 연구: 지각된 침입성과 통제감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32 (32): 25-50, 2021
5 최종필 ; 정병기, "스포츠스타 광고모델 속성과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간 인과관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1 (11): 177-189, 2006
6 김승화 ; 이란경 ; 안희경, "소비자는 언제 자기향상제품을 구매하는가?: 자기향상의 유형과 선망의 상호작용" 한국소비자학회 31 (31): 25-39, 2020
7 홍윤서 ; LI XINGE ; 성용준, "사회적 배제가 은유적으로 따뜻한 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1 (21): 559-581, 2020
8 양윤, "사전지식, 광고맥락, 처리목적이 광고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1-1, 2004
9 황서빈 ; 김혜근 ; 윤경윤 ; 황종원 ; 조영준, "비대면 소통 플랫폼 맞춤형 영상 합성 기술 연구 : 디지털 문화 소비의 주요 계층인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2 (22): 2139-2149, 2021
10 김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과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75-284, 2017
11 김지호 ; 김재휘 ; 이영아 ; 이희성, "동공지표를 이용한 유머 광고의 효과 연구: 부조화-해소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9 (9): 1-24, 2008
12 이진균 ; 김미경, "뉴스 웹사이트에서 브랜드 안전이 소 비자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1 (31): 7-32, 2020
13 성창민 ; 김희진, "내러티브 광고 서사 구조에 따른 설득효과 분석: 반전 플롯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30) : 75-105, 2021
14 허원무 ; 우정 ; 정의파,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 동일시, 브랜드 친숙도,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6) : 143-171, 2007
15 박혜연 ; 고한준, "광고의 시각적 요소 표현방식에 따른 광고효과 :시각적 요소의 기대불일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9-73, 2013
16 Cline, T. W., "When does humor enhance or inhibit ad responses?-the moderating role of the need for humor" 32 (32): 31-45, 2003
17 Berger, J., "What makes online content viral?" 49 (49): 192-205, 2012
18 Ekman, P., "What is meant by calling emotions basic" 3 (3): 364-370, 2011
19 Mohanty, P., "Visual metaphors in ads : The inverted-U effects of incongruity on processing pleasure and ad effectiveness" 22 (22): 443-460, 2016
20 Hinyard, L. J., "Using narrative communication as a tool for health behavior change : a conceptual,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34 (34): 777-792, 2007
21 Noseworthy, T. J., "The role of arousal in congruity-based product evaluation" 41 (41): 1108-1126, 2014
22 Nabi, R. L., "The role of a narrative's emotional flow in promoting persuasive outcomes" 18 (18): 137-162, 2015
23 De Manzano, Ö., "The psychophysiology of flow during piano playing" 10 (10): 301-, 2010
24 Martin, R. A., "The psychology of humor: An integrative approach" 113-152, 2007
25 Green, M. C., "The psychology of entertainment media" Erlbaum Psych Press 169-184, 2003
26 Izard, C. E., "The psychology of emotion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91
27 Maoz, E.,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and differentiation in the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s" 12 (12): 119-131, 2002
28 Sohn, D., "The moderating effects of expectation on the patterns of the interactivity-attitude relationship" 36 (36): 109-119, 2007
29 Speck, P. S., "The humorous message taxonomy :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humorous ads" 13 (13): 1-44, 1991
30 Jung, J. M., "The games people play : How the entertainment value of online ads helps or harms persuasion" 28 (28): 661-681, 2011
31 Sanbonmatsu, D. M., "The effects of physiological arousal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persuasion" 15 (15): 379-385, 1988
32 Moorman, M., "The effects of magazine-induced psychological responses and thematic congruence on memory and attitude toward the ad in a real-life setting" 31 (31): 27-40, 2002
33 Walchli, S. B., "The effects of between partner congruity on consumer evaluation of co-branded products" 24 (24): 947-973, 2007
34 Chen, K. J., "The effects of affective and cognitive elaborations from Facebook posts on consumer attitude formation" 14 (14): 208-218, 2015
35 Chuang, S. C., "The effect of induce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and openness-to-feeling in student’s consumer decision making" 22 (22): 65-78, 2007
36 Huang, J., "The color–flavor incongruency effect in product evaluation and brand perception" 18 (18): 484-495, 2019
37 김재휘 ; 이해양, "TV드라마에 의해서 유발된 정서가 PPL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4 (4): 23-40, 2003
38 김자경, "TV 프로그램에 의해 유발된 소비자들의 무드 상태가 광고태도(Aad)에 미치는 영향" 11 (11): 109-146, 2000
39 Hayes, A. F.,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ith a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67 (67): 451-470, 2014
40 Stayman, D. M., "Some effects of schematic processing on consumer expectations and disconfirmation judgments" 19 (19): 240-255, 1992
41 Sherif, M., "Social judgment: Assimilation and contrast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attitude change" 1961
42 Fiske, S. T., "Social cognition" Mcgraw-Hill Book Company 1991
43 Taylor, S. E., "Schematic bases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89-134, 1981
44 Halkias, G., "Schema strength, processing opportunity, and the rewarding nature of incongruity resolution in advertising" 36 (36): 415-438, 2017
45 Mandler, G., "SThe Structure of Value: Accounting for Taste, In Affect and Cognition" Erlbaum 203-230, 1982
46 Wicker, F. W., "Relationships among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in humor" 15 (15): 359-370, 1981
47 Alba, J. W., "Pleasure principles :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consumption" 23 (23): 2-18, 2013
48 Uvnäs-Moberg, K., "Oxytocin may mediate the benefits of positive social interaction and emotions" 23 (23): 819-835, 1998
49 Tse, D. K.,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 An extension" 25 (25): 204-212, 1988
50 Tiedens, L. Z., "Judgment under emotional uncertainty: The effects of specific emotions and their associated certainty appraisals on information processing (No. 1629)" 2001
51 Huang, Y., "Hyperboles in advertising : a serial mediation of incongruity and humour" 39 (39): 719-737, 2020
52 Mak, W., "Humor comprehension in older adults" 13 (13): 606-614, 2007
53 Rothbart, M. K., "Humor and Laughter" Routledge 37-54, 2017
54 Gulas Charles S., "Humor In Advertising: A Comprehensive Analysis" ME Sharpe 2006
55 Kelly, J. R., "Freedom to be: A new sociology of leisure" Routledge 2019
56 Han, S., "Feelings and consumer decision making : The appraisal-tendency framework" 17 (17): 158-168, 2007
57 Berlyne, D. E., "Effects of stimulus complexity and incongruity on duration of EEG desynchronization" 1965
58 Wang, S. S., "Effects of game-product congruity on in-app interstitial advertising and the moderation of media-context factors" 36 (36): 229-246, 2019
59 Nichols, B. S., "Effects of consumer embarrassment on shopping basket size and value : A study of the millennial consumer" 14 (14): 41-56, 2015
60 Clow, K. E., "Does source credibility affect how credit cards are marketed to college students" 18 (18): 168-178, 2008
61 Podilchak, W., "Distinctions of fun, enjoyment and leisure" 10 (10): 133-148, 1991
62 Yoon, H. J, "Creating the mood for humor: Arousal level priming in humor advertising" 2018
63 Petty, R. E.,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10 (10): 135-146, 1983
64 김종민, "B급 유머광고의 표현기법 사례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133-148, 2016
65 이주현 ; 이윤정 ; 김수정, "B급 문화를 반영한 서체 표현 특성 분석 연구 - 언어유희(PUN)을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9 : 269-282, 2017
66 백주연 ; 염동섭, "B급 감성 광고 경향에 관한 내용분석: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공중파 TV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13 (13): 179-188, 2022
67 Nacke, L. E., "Brain training for silver gamers : effects of age and game form on effectiveness, efficiency, self-assessment, and gameplay experience" 12 (12): 493-499, 2009
68 Lerner, J. S., "Beyond valence : Toward a model of emotion-specific influences on judgement and choice" 14 (14): 473-493, 2000
69 Holbrook, M. B.,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14 (14): 404-420, 1987
70 Scanlan, T. K., "An introduction to the sport commitment model" 15 (15): 1993
71 Di Muro, F., "An arousal regulation explanation of mood effects on consumer choice" 39 (39): 574-584, 2012
72 Mehrabian, A.,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the MIT Press 1974
73 Hornik, J., "Advertising appeals, moderators, and impact on persuasion : A quantitative assessment creates a hierarchy of appeals" 57 (57): 305-318, 2017
74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17 (17): 460-469, 1980
75 Russell, J. A.,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39 (39): 1161-, 1980
메시지 주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이 멤버십 가입 의도에 미치는 효과: 개인적 적합도 지각을 중심으로
SNS 상향비교, 자기표현 성향이 CRM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수혜자 표정의 조절효과
물질소비와 경험소비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VR 광고의 효과측정을 위한 척도개발과 타당성 검증: 360° VR 광고를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