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현재 EU 총 GDP는 약 16조 6천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대 EU 시장에 대한 한국수출은 15.1% 차지하여 제 2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대 EU 수출은 대미, 대일보다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33669
2008
Korean
학술저널
1-19(1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7년 현재 EU 총 GDP는 약 16조 6천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대 EU 시장에 대한 한국수출은 15.1% 차지하여 제 2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대 EU 수출은 대미, 대일보다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
2007년 현재 EU 총 GDP는 약 16조 6천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대 EU 시장에 대한 한국수출은 15.1% 차지하여 제 2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대 EU 수출은 대미, 대일보다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대 EU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상승(2007년 16.2% 상승)하여 한국의 경쟁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영국, 프랑스, 독일이 유럽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1인당 GDP가 2006년 기준으로 30,000유로의 소득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는 자동차, 제조, 금융, 철강, 석유, 의약, 전자전기 등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중심으로 유럽진출 교두보를 확보하여 한국기업이 유럽시장 진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으며,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진출하기위한 비즈니스 환경을 연구함으로써 EU 시장확보와 경쟁위치개발 기회를 창출하는데 있다.
대 EU 시장에 대한 한국수출은 15.1% 차지하여 제 2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대 EU 수출은 대미, 대일보다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대 EU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상승(2007년 16.2% 상승)하여 한국의 경쟁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영국, 프랑스, 독일이 유럽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1인당 GDP가 2006년 기준으로 30,000유로의 소득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는 자동차, 제조, 금융, 철강, 석유, 의약, 전자전기 등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폴란드는 유럽중동부의 우리나라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 국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이다. 유럽중동부가 유럽연합에 가입함으로써 유럽연합 입장으로서는 생산기지의 확보와 소비시장 확대 그리고 기술 집약적 제품수출시장 등 확보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중심으로 유럽진출 교두보를 확보하여 한국기업이 유럽시장 진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으며,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진출하기위한 비즈니스 환경을 연구함으로써 EU 시장확보와 경쟁위치개발 기회를 창출하는데 있다.
EU 회원국의 지역구분은 EU가 개발한 NUTS(Nomenclature of Territorial Units for Statistics)에 따라 EU 지역정책을 추진하고 아울러 구조기금을 운영하기 위하여 개발한 시스템이다. NUTS 시스템은 국가별 코드를 부여하고 국가별로 지역을 그 범주에 따라 NUTS 1, 2, 3으로 위계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의 구분기분은 대상지역의 인구규모인데 계층별로 최소 및 최대 인구 규모를 규정해 두고 있다.
EU의 중동부 국가의 EU 가입은 낙후된 경제를 회생시키면서 EU의 재정지원과 수출시장확보, 외국인 투자유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EU의 중동부 국가의 EU 편입으로 농산물과 노동집약적 상품의 수출시장을, EU 회원국들은 기술집약적 공산품 분야의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게 된다. EU의 중동부 국가들은 EU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낮고 시장규모와 소득수준도 현저히 낮아 당분간 수출을 대폭 확대할 여지가 없다.
유럽연합의 아시아 정책은 아시아에서의 유럽연합의 위상 강화를 추구하는 한편, 지역간 정치.경제적 협력의 강화를 통해 정치적 안정에 기여하고 개발도상국의 개발지원 및 민주주의, 법치, 인권문제의 증진을 지원하는 목표를 두고 있다. 아울러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전반적인 경제 및 통상관계를 강화하고 이들 국가의 개혁 노 ...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원, "한-EU FTA: 현황과 전망 그리고 추진전략" 높이깊이 2007
2 홍익표, "지역의 도전과 유럽연합 내부동학의 변화" 한국유럽학회 25 (25): 27-47, 2007
3 홍익표, "지역의 도전과 유럽연합 내부동학의 변화" 한국유럽학회 25 (25): 27-47, 2007
4 신상협, "제5차 확대 이후 EU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3) : 193-212, 2006
5 신상협, "제5차 확대 이후 EU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3 (23): 193-212, 2006
6 한형서, "유럽연합의 확대개편에 따른 지역과제와 한계" 한국유럽학회 (21) : 113-136, 2005
7 한형서, "유럽연합의 확대개편에 따른 지역과제와 한계" 한국유럽학회 (21) : 113-136, 2005
8 정국헌, "유럽연합의 확대: 효과와 문제점 분석:심화(Vertiefung)와 확대(Erweiterung)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4 (24): 301-321, 2006
9 정국헌, "유럽연합의 확대: 효과와 문제점 분석:심화(Vertiefung)와 확대(Erweiterung)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4 (24): 301-321, 2006
10 방청록, "유럽연합의 대외정책과 다층적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1 (21): 55-84, 2005
1 이종원, "한-EU FTA: 현황과 전망 그리고 추진전략" 높이깊이 2007
2 홍익표, "지역의 도전과 유럽연합 내부동학의 변화" 한국유럽학회 25 (25): 27-47, 2007
3 홍익표, "지역의 도전과 유럽연합 내부동학의 변화" 한국유럽학회 25 (25): 27-47, 2007
4 신상협, "제5차 확대 이후 EU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3) : 193-212, 2006
5 신상협, "제5차 확대 이후 EU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3 (23): 193-212, 2006
6 한형서, "유럽연합의 확대개편에 따른 지역과제와 한계" 한국유럽학회 (21) : 113-136, 2005
7 한형서, "유럽연합의 확대개편에 따른 지역과제와 한계" 한국유럽학회 (21) : 113-136, 2005
8 정국헌, "유럽연합의 확대: 효과와 문제점 분석:심화(Vertiefung)와 확대(Erweiterung)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4 (24): 301-321, 2006
9 정국헌, "유럽연합의 확대: 효과와 문제점 분석:심화(Vertiefung)와 확대(Erweiterung)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4 (24): 301-321, 2006
10 방청록, "유럽연합의 대외정책과 다층적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1 (21): 55-84, 2005
11 온대원, "유럽연합의 대외정책과 국제적 역할의 모색" 한국유럽학회 25 (25): 29-54, 2007
12 온대원, "유럽연합의 대외정책과 국제적 역할의 모색" 한국유럽학회 25 (25): 29-54, 2007
13 홍성훈, "유럽연합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투자대상국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경영학회 9 (9): 183-204, 1999
14 정병기, "유럽연합(EU)의 중․동유럽 확장에 따른 대아시아 정책변화와 대한반도 정책의 전망"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14 : 279-281, 2004
15 http : //www. kita. net, "http://www.kita.net"
16 "http://www.globalwindow.org/wps/myportal/glw/kcxml/04_Sj9SPykssy0xPLMnMz0vM0Y"
17 "http://www.globalwindow.org/wps/myportal/dknation"
18 Sophic Meunier, "WTO Speaks for Europe? : The Delegation of Trade Authority in the EU" 37 (37): 477-501, 1999
19 Sophic Meunier, "WTO Speaks for Europe? : The Delegation of Trade Authority in the EU" 37 (37): 477-501, 1999
20 Jan Delhey, "Transnationales Vertrauen in der Erweiterten EU" 38 : 6-, 2004
21 Jang, J. H., "The Trend and Perspective of EU Regional Policy" 88-89, 2007
22 Kim, S. C.,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of the Central and East European due to Enlargement of EU" 6-, 2004
23 Kim, K. T., "The Move of Industry Base to the Central and East European Bloc and the Change of European Industry Structure Following the Enlargement of EU," 2005
24 Kravis, Irving B., "The Location of Overseas Production and Production for Export by U.S. Multinational Firms" 12 : 201-223, 1982
25 Davidson, William H., "The Loc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ctivity: Country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Effect" 11 (11): 9-22, 1980
26 W. Woolcock, "The European Trade Policy, In Policy- Making in the European Union,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373-400, 2000
27 Ajami, Riad A., "Motives of Foreign Firms Investing in the U.S" 12 (12): 25-34, 1981
28 Lee, J.W., "Korea-EU FTA: Status, Perspective and Pursuing Enforcement Strategies" Heights and Depths 2007
29 Michael Smith, "Implementation: Making the EU's International Relations Work,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European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162-174, 2005
30 Lee, B. G., "FDI of Korea Firms to Eastern European Countries" 12 : 30-, 2006
31 Curt Gasteyger, "Europa Zwischen Spaltung und Einigung 1945 bis 1993" 364-365, 1994
32 김균태, "EU확대에 따른 산업기지의 중동구권 이전과 유럽산업구조의 변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33 장재홍, "EU의 지역정책 동향과 시사점" 한국산업연구원 368 : 88-89, 2007
34 이범걸, "EU의 중동부유럽의 비즈니스 환경과 한국기업의 직접투자" 안양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2 : 30-, 2006
35 임운택, "EU의 FTA사례 분석: 투자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유럽학회 25 (25): 337-357, 2007
36 임운택, "EU의 FTA사례 분석: 투자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유럽학회 25 (25): 337-357, 2007
37 한홍열, "EU 확대와 제 3국 보상문제" 국제지역학회 9 (9): 84-107, 2005
38 김상철, "EU 확대로 급변하는 중동부 유럽의 비즈니스 환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6-, 2004
39 Pang, C. R., "EU External Policy and Multi- Label Governance" 21 : 2005
40 Jung, B. K., "Changes in EU’s Asian Strategies and Perspectives of its Strategies toward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its Enlargement into the Middle-Eastern Europe" 14 (14): 279-281, 2005
41 Han, H. Y., "A Study on the Enlargement of EU and the Compensation to the Third Parties" 9 (9): 85-, 2006
42 Hong, S. H., "A Study on the Country Selection Behaviors of Korean Multinational Firms in the European Union" 9 (9): 183-204, 1999
유럽의 교육제도 : 영국, 프랑스, 독일의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유럽의 교육제도: 영국, 프랑스, 독일의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0.727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