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스포츠 메가이벤트가 도시공간에 미친 영향, 올림픽이 지닌 ‘도시개발의 촉매제’로서의 특성에 주목하여 1988 서울올림픽이 강남 개발과 서울의 도시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03210
2017
Korean
서울 ; 잠실 ; 강남 개발 ; 올림픽 효과 ; 올림픽타운 ; Seoul ; Jamsil ; Gangnam Development ; Olympic Effect ; Olympic Town Project
KCI등재
학술저널
67-101(35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스포츠 메가이벤트가 도시공간에 미친 영향, 올림픽이 지닌 ‘도시개발의 촉매제’로서의 특성에 주목하여 1988 서울올림픽이 강남 개발과 서울의 도시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이 글에서는 스포츠 메가이벤트가 도시공간에 미친 영향, 올림픽이 지닌 ‘도시개발의 촉매제’로서의 특성에 주목하여 1988 서울올림픽이 강남 개발과 서울의 도시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는 국제 규모의 경기장과 선진 대도시 수준의 세계도시를 건설하려는 계획은 잠실지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된 1970년대초부터 등장했다. 유신정권의 강력한 정책적 의지에 힘입어 서울시는 1970년대초부터 영동・잠실지구 신시가지를 포함하는 다핵화된 성상도시 플랜을 수립하고 잠실지구를 국제적 스포츠경기 유치를 위해 특화된 올림픽타운으로 조성하려는 계획을 수립했다. 1974년 잠실지구가 종래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조성된 단순한 주거타운과는 차별화된, ‘도시다움의 추구’라는 미래 이상도시 건설을 염두에 둔 종합적 플랜의 대상으로 재설정된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다.
88서울올림픽 유치가 결정되자, 1980년대 서울시는 신군부 정권 주도하에 ‘세계는 서울로, 서울은 세계로’라는 표어에 부응하는 ‘국제도시’이자 ‘선진도시’로서 단기간에 압축적이고도 전 방위적으로 그 면모를 일신해 나아갔다. 한강고수부지 개발과 강남 · 북을 잇는 교량 건설, 동서 방향의 도시고속화도로와 지하철 건설 등 한강개발과 교통망 정비사업이 그 한 축을 담당했다면, 서울다핵도시화 계획에 따른 잠실 올림픽타운의 미관지구 조성과 도시 전반의 공원화 사업 등 도시미화운동은 그 다른 한 축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1960~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국가주의적 계획에서 비롯되어 ‘86 · 88의 시대’를 거치면서 관 주도적으로 추진된 올림픽도시 만들기 프로젝트는 강남 신시가지가 경이적인 규모와 속도와 획일성으로 조성되게끔 한 강력한 촉매제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초대형 아파트단지 집중지역으로 재탄생한 강남은 한국 중산층 주거의 새로운 모델이자 ‘강남화’ 현상의 근거지가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Olympics as a catalyst for urban development,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on the development of Gangnam area in Seoul. The plan to construct an international stadium and an advanced metropolitan city t...
Considering Olympics as a catalyst for urban development,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on the development of Gangnam area in Seoul. The plan to construct an international stadium and an advanced metropolitan city that can host the Olympics has been in place since the early 1970s, when the Jamsil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has started in earnest. Thanks to the strong political will of the Yushin regime, the city of Seoul established a plan to construct a star-shaped multi-core city plan, including new city areas of Yeongdong and Jamsil districts, as new cores in the early 1970s. Since then, Jamsil district has begun to be designated as a specialized Olympic town to attract international sports games. It was with this background that the Jamsil district in 1974 was redesigned with a comprehensive plan to build a future-oriented city in pursuit of urbanity, different from a simple residential town built through the conventional land readjustment project.
With the decision to host the 1988 Seoul Olympic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the 1980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new military regime, made a full-scale change as an "international city" and "advanced city," corresponding to the motto of "the world to Seoul, Seoul to the world." The Olympic city development plan was realized vigorously through ‘the age of 86 · 88’ mainly in the following two ways: first, the Han River development and the main transportation network establishment projec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Han River estuary sit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connecting Gangnam and Gangbuk, the urban high-speed road and subway construction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second, the urban beautification movement, such as making aesthetic district of Jamsil Olympic Town according to Seoul multi-core city plan and city-wide park-building project.
The Olympic city development plan was originated from the national mobilization strateg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1960s and 1970s. It was propelled and realized as Jamsil Olympic town by the 5th Republic regime, final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Gangnam new urban area with a phenomenal scale, speed, and uniformity. In the near future, Gangnam would become a new model of Korean upper-middle class hous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상환, "해방 후 한국자본주의 발전과 부동산투기" 역사문제연구소 (66) : 55-78, 2004
2 김재경, "한강종합개발사업 공사보고서" 35 (35): 1987
3 윤혁렬, "한강의 르네상스― 治水에서 利水로―" 서울 연구원 12 : 2008
4 서울특별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
5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잠실지구종합개발계획" 30 : 1971
6 서울특별시, "여의도 및 한강연안개발계획"
7 송파구, "송파구지"
8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4" 한울 2003
9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3" 한울 2003
10 정인하, "서울강남 도시블록의 필지구획 패턴에 관한 연구 - 영동 제2토지구획정리사업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189-196, 2012
1 장상환, "해방 후 한국자본주의 발전과 부동산투기" 역사문제연구소 (66) : 55-78, 2004
2 김재경, "한강종합개발사업 공사보고서" 35 (35): 1987
3 윤혁렬, "한강의 르네상스― 治水에서 利水로―" 서울 연구원 12 : 2008
4 서울특별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
5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잠실지구종합개발계획" 30 : 1971
6 서울특별시, "여의도 및 한강연안개발계획"
7 송파구, "송파구지"
8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4" 한울 2003
9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3" 한울 2003
10 정인하, "서울강남 도시블록의 필지구획 패턴에 관한 연구 - 영동 제2토지구획정리사업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189-196, 2012
11 이옥희, "서울 강남지역 개발과정의 특성과 문제점" 한국도시지리학회 9 (9): 15-32, 2006
12 최광승, "박정희는 어떻게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였는가"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175-202, 2010
13 임동근,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 서울의 삶을 만들어낸 권력, 자본, 제도 그리고 욕망들" 반비 2015
14 "매일경제신문"
15 "동아일보"
16 대한주택공사, "대한주택공사 20년사" 1979
17 "경향신문"
18 한종수, "강남의 탄생" 미지북스 2016
19 이동헌, "강남의 심상규모와 경계짓기의 논리" 서울학연구소 (42) : 123-171, 2011
20 윤은정, "강남의 도시공간형성과 1960년대 도시계획 상황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31-238, 2009
21 안창모, "강남개발과 강북의 탄생과정 고찰" 서울학연구소 (41) : 63-97, 2010
22 박배균,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한국지역지리학회 22 (22): 287-306, 2016
23 Davis, John A, "The Olympic Games Effect: How Sports Marketing Builds Strong Brands" John Wiley & Sons 2008
24 Preuss, H, "The Economics of Staging the Olympics: A Comparison of the Games, 1972-2008" E. Elgar 2004
25 Kassens-Noor, Eva, "Planning Olympic legacies: Transport dreams and urban realities" Routledge 2012
26 Essex, Stephen, "Olympic Games: catalyst of urban change" 17 (17): 1998
27 Gold, John, "Olympic Cities: City Agendas, Planning and the World's Games, 1896-2016" Routledge 2011
28 안상영, "88올림픽에 대비한 건설계획" 30 (30): 1982
29 문화공보부, "88서울올림픽"
30 박해남, "1988 서울올림픽과 시선의 사회정치" 한국사회사학회 (110) : 353-389, 2016
31 김진희, "1974년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성격과 도시계획적 의미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41-58, 2010
32 전강수,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강남개발" 역사문제연구소 16 (16): 9-40, 2012
33 김은혜, "1964년 도쿄올림픽과 도시개조" 한국사회사학회 (109) : 229-257, 2016
조감도를 통해 살펴본 1920∼30년대 인천의 심상지리와 시가지 계획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1.72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