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石器時代 日本列島의 통나무배로 본 韓半島 통나무배 硏究의 豫察 = A respect of the study on Korean dugouts compared with Japanese o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9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esent state, the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ugouts which were made in Jomon age. And I looked into the material on Korean dugouts and compared them with Japanese ones.
      There are 124 dugouts of Jomon age and they have been found in 67 places. They were spread in the middle period of Jomon age and many of them were made in the late period. Their plane figures are generally the shape of Kyounjeol (chopped tuna) and made of cryptomeria and torreya.
      There are 4 engravings of boats in the petroglyphs of Bangudae, two dugout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Bibongli and an earthen ware which had been made in the shape of a boat and wa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Dongsamdong. The dugouts of Bibongli could be the shape of chopped tuna, and like Japanese ones they were made by carving raw timbers into boats.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esent state, the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ugouts which were made in Jomon age. And I looked into the material on Korean dugouts and compared them with Japanese ones. There are 124 dugouts of Jomon a...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esent state, the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ugouts which were made in Jomon age. And I looked into the material on Korean dugouts and compared them with Japanese ones.
      There are 124 dugouts of Jomon age and they have been found in 67 places. They were spread in the middle period of Jomon age and many of them were made in the late period. Their plane figures are generally the shape of Kyounjeol (chopped tuna) and made of cryptomeria and torreya.
      There are 4 engravings of boats in the petroglyphs of Bangudae, two dugout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Bibongli and an earthen ware which had been made in the shape of a boat and wa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Dongsamdong. The dugouts of Bibongli could be the shape of chopped tuna, and like Japanese ones they were made by carving raw timbers into boa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日本列島에서 출토된 繩文時代 각 지방의 통나무배 현황을 정리하고, 형태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韓半島에서의 통나무배 관련 자료를 파악 해 보고, 日本의 통나무배와 견주어 韓半島 통나무배 연구의 豫察을 해보았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124기에 달하며, 출토된 유적의 수는 약 68개소에 이른다. 통나무배는 繩文 早期 말에 제작되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中期를 거쳐, 後期, 晩期에 는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평면 형태에 있어서는 鰹節形이 가장 많고, 단면은 半圓形이 주류를 이룬다. 이른바 繩文時代 통나무배를 대표하는 2A 유형에 속한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대개 원목을 파내어 가공하는 단순한 구조의 單材方式이다. 통나무배의 재료는 15종의 수종이 있으며, 삼목과 비자나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韓半島에서 新石器時代의 배와 관련된 것은 東三洞貝塚의 배모양토기, 반구대 암각화의 4기의 배 그림, 西浦項遺蹟의 고래뼈로 만든 노, 飛鳳里貝塚의 통나무배 2기가 있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日本 통나무배의 시기보다 빠르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鰹節形일 가능성이 높으며, 日本 통나무배 형태분류의 2A 유형과 유사하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일본지역과 마찬가지로 원목을 파내어 만드는 單材方式을 이용하고 있다. 통나무배의 곳곳에 불에 그을린 흔적과 石斧의 가공흔적이 보이고 있으며, 재료는 소 나무를 사용하고 있다.
      日本列島에서 발견된 통나무배의 연구상황을 근거로 하여, 앞으로 韓半島에서 출토 되는 통나무배의 기초 데이터를 충실히 만들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日本列島에서 출토된 繩文時代 각 지방의 통나무배 현황을 정리하고, 형태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韓半島에서의 통나무배 관련 자료를 파악 해 보고, 日本의 통나...

      본고에서는 日本列島에서 출토된 繩文時代 각 지방의 통나무배 현황을 정리하고, 형태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韓半島에서의 통나무배 관련 자료를 파악 해 보고, 日本의 통나무배와 견주어 韓半島 통나무배 연구의 豫察을 해보았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124기에 달하며, 출토된 유적의 수는 약 68개소에 이른다. 통나무배는 繩文 早期 말에 제작되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中期를 거쳐, 後期, 晩期에 는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평면 형태에 있어서는 鰹節形이 가장 많고, 단면은 半圓形이 주류를 이룬다. 이른바 繩文時代 통나무배를 대표하는 2A 유형에 속한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대개 원목을 파내어 가공하는 단순한 구조의 單材方式이다. 통나무배의 재료는 15종의 수종이 있으며, 삼목과 비자나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韓半島에서 新石器時代의 배와 관련된 것은 東三洞貝塚의 배모양토기, 반구대 암각화의 4기의 배 그림, 西浦項遺蹟의 고래뼈로 만든 노, 飛鳳里貝塚의 통나무배 2기가 있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日本 통나무배의 시기보다 빠르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鰹節形일 가능성이 높으며, 日本 통나무배 형태분류의 2A 유형과 유사하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일본지역과 마찬가지로 원목을 파내어 만드는 單材方式을 이용하고 있다. 통나무배의 곳곳에 불에 그을린 흔적과 石斧의 가공흔적이 보이고 있으며, 재료는 소 나무를 사용하고 있다.
      日本列島에서 발견된 통나무배의 연구상황을 근거로 하여, 앞으로 韓半島에서 출토 되는 통나무배의 기초 데이터를 충실히 만들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日本 繩文時代 出土통나무배
      • Ⅲ. 繩文時代 통나무배의 형태와 특징
      • Ⅳ. 韓半島 통나무배 연구의 예찰
      • 요약
      • Ⅰ. 머리말
      • Ⅱ. 日本 繩文時代 出土통나무배
      • Ⅲ. 繩文時代 통나무배의 형태와 특징
      • Ⅳ. 韓半島 통나무배 연구의 예찰
      • Ⅴ. 통나무배의 제작방법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