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대만과 한국에서 발전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 냉전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과 대만은 냉전의 최전선에 위치하여 중국 및 북한과 맞섰다. 자유진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73100
2013
Korean
냉전 ; 미국의 개입 ; 국가의 시장개입 ; 한국 ; 대만 ; 안보국가 ; 발전국가 ; 장제스 ; 이승만 ; 수입대체 산업화 ; 수출주도 산업화 ; 밖으로의 대약진 ; 북진통일 ; Cold War ; U. S. intervention ; state intervention of market ; ROK ; ROC ; national security state ; developmental state ; Chang Kai-shek ; Syngman Rhee ; import substitution
331
KCI등재
학술저널
447-484(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대만과 한국에서 발전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 냉전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과 대만은 냉전의 최전선에 위치하여 중국 및 북한과 맞섰다. 자유진영...
이 논문에서는 대만과 한국에서 발전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 냉전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과 대만은 냉전의 최전선에 위치하여 중국 및 북한과 맞섰다. 자유진영의 지도국인 미국은 공산진영의 팽창을 봉쇄하기 위해 아시아에 개입했는데 특히 한국과 대만에 깊이 관여했다. 아시아에 냉전체제가 수립된 것은 한국전쟁을 통해서였다. 한국전쟁과 미국의 개입이 없었더라면 대만은 일찍이 중국에 의해 통일되었을 것이다. 미국은 대만과 한국의 국가안보에만 개입한 것이 아니다. 정치질서 수립과 경제안정 그리고 경제성장에도 깊이 관여했다. 미국이 똑같이 관여했음에도 대만과 한국에서 발전국가로의 전환이 일어난 시점과 발전국가의 성격은 매우 달랐다. 일본 식민지배의 유산, 전쟁으로 인한 파괴, 상이한 사회구조와 국가-시민사회 관계 등을 고려하면서도, 이 연구에서는 대만의 장제스 총통과 한국의 이승만 대통령이 각기 대미관계를 어떻게 풀어 갔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통치자의 현실인식과 전망이 국가의 진로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대만은 똑같이 분단국가이고 통일에 대한 염원과 아울러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를 안고 있었다. 그렇지만 장제스는 미국의 제안을 받아들여 안보국가로부터 발전국가로의 전환을 추진했다. 그 결과 대만은 이미 1965년에 미국의 경제원조를 벗어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승만은 북진통일을 주장하며 통일우선 노선을 추진했다. 그리하여 한국은 이승만 정권이 붕괴한 1960년 이후에야 발전국가로의 전환을 모색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influence of Cold war over the making of developmental state in ROC & ROK. Both ROC and ROK were located in the forefront of Cold war confrontation against Communist countries like RRC & DPRK. The U. S. A., the leader of free...
This article explores the influence of Cold war over the making of developmental state in ROC & ROK. Both ROC and ROK were located in the forefront of Cold war confrontation against Communist countries like RRC & DPRK. The U. S. A., the leader of free world, committed herself over Asian region in general and ROC & ROK in particular. It was through the Korean war that Cold war system in Asia was firmly established. If there had not been Korean War, PRC should have conquered ROC and China got unified long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America intervened not only national security issues of both ROC & ROK but also internal affairs mainly focusing on economic stabilization and economic growth. However, the tim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from national security state to developmental state in ROC & ROK showed hugh difference. Apart from different socio-historical variables like Japanese colonial legacy, war damages, and social structure,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reactions taken by Chiang Kai-shek of ROC and Syngman Rhee of ROK. This is because the perception and vision of the national leader could affect the n ational path o f each a nd every nation-states. Chiang accepted American proposal for "Great Leap Outward" and pursued the transformation of state identity from National Security State to Developmental State. ROC graduated American economic aid in 1965. To the contrary, Rhee insisted on "March North" and national unification first policy. Therefore, it is only after the fall of Rhee r egime that S outh K orea c ould initiate the turn to Developmental State.
한국전쟁기 유엔민간원조사령부(UNCACK)의 보건,위생 정책
폴라니의 《대전환》에서 사회적인 것의 개념적 제약 -이론과 역사분석의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