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 이론으로서의 理一分殊論은 이 세계의 ‘普遍性과 特殊性’, ‘근원적 純善과 현상적 有善惡’의 문제를 해명하는 논리였다. 그러나 理一分殊論은 심오한 형이상학 이론이기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84198
2007
Korean
910.04
KCI등재
학술저널
111-14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형이상학 이론으로서의 理一分殊論은 이 세계의 ‘普遍性과 特殊性’, ‘근원적 純善과 현상적 有善惡’의 문제를 해명하는 논리였다. 그러나 理一分殊論은 심오한 형이상학 이론이기에 ...
형이상학 이론으로서의 理一分殊論은 이 세계의 ‘普遍性과 特殊性’, ‘근원적 純善과 현상적 有善惡’의 문제를 해명하는 논리였다. 그러나 理一分殊論은 심오한 형이상학 이론이기에 앞서 卑近한 日常에서 정립된 실천적 명제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자의 理一分殊論이 제시하는 실천적 지침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의 실천에 있어서는 差別愛(分殊)에서 출발하여 博愛(理一)를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둘째, 사회적 직분에 있어서는 각자의 名分(分殊)에 충실하는 것이 사회적 협동(理一)에 기여하는 길이라고 설명하였다. 셋째, 개인의 주체성과 사회적 질서의 문제에 있어서는, 分殊는 개인의 주체성(자유)을 옹호하는 논거가 되며, 理一은 ‘자유의 제한선’ 또는 ‘관용의 한계’를 설정하는 논거가 된다. 理一의 한계 안에서의 자유나 관용은 오늘날 자유주의에서 문제되는 ‘추잡한 삶(obscene life)’이나 ‘相對主義’로의 전락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ne li and its many aspects`` theory as a metaphysical premise is about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r about the substantial original good and phenomenal goods and evils. It is also a practical premise out of everyday life experience. Its pra...
The ``one li and its many aspects`` theory as a metaphysical premise is about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r about the substantial original good and phenomenal goods and evils. It is also a practical premise out of everyday life experience. Its practical meanings could be put as follows. First, our love must start from discriminatory love (many-aspects premise) and end with philanthropy (one-li premise). Second, in our social life, everyone must stick to her own cause (many-aspects premise), which eventually promotes social cooperation (one-li premise). Third, the many-aspects premise is to support individual freedom and the one-li premise is to draw the boundary of individual freedom or the limitation of tolerance. Freedom and tolerance within the limit of one-li premise are today`s liberal foundations to immoralize obscene life, or to save liberalism from falling into relativism.
一般論文 : 고려 말 정몽주의 강상론(綱常論)과 정도전의권변론(權變論)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