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서 해석에 있어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 ― 위르겐 몰트만과 리차드 버캠의 대화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in Biblical Interpretation : Focused on the Dialogue between Jürgen Moltmann and Richard Bauckh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Modern Age, historical-critical approaches to the Bible made traditional views on Scripture collapsed, and th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started to be considered to be two independent fields. However, the actual division of the two fields could restrict doing the fundamental task of theology, which is to develop the correlation between Christian tradition and changing contemporary situ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ialogue about biblical interpretation between Jürgen Moltmann and Richard Bauckham who are respectively contemporary representative systematic theologian and biblical theologian, and then reconstructs Moltmann’s position as a theological sugges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developing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in biblical interpretation. Firstly, it explores and evaluates Bauckham’s criticisms of Moltmann’s biblical interpretations and Moltmann’s response to the criticisms, to identify their different positions and controversial issues. Secondly, it reconstructs Moltmann’s position based on contemporary related studies and his actual interpretations of biblical texts.
      번역하기

      Since the Modern Age, historical-critical approaches to the Bible made traditional views on Scripture collapsed, and th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started to be considered to be two independent fields. However, the actual division of ...

      Since the Modern Age, historical-critical approaches to the Bible made traditional views on Scripture collapsed, and th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started to be considered to be two independent fields. However, the actual division of the two fields could restrict doing the fundamental task of theology, which is to develop the correlation between Christian tradition and changing contemporary situ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ialogue about biblical interpretation between Jürgen Moltmann and Richard Bauckham who are respectively contemporary representative systematic theologian and biblical theologian, and then reconstructs Moltmann’s position as a theological sugges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developing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in biblical interpretation. Firstly, it explores and evaluates Bauckham’s criticisms of Moltmann’s biblical interpretations and Moltmann’s response to the criticisms, to identify their different positions and controversial issues. Secondly, it reconstructs Moltmann’s position based on contemporary related studies and his actual interpretations of biblical tex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이후로 성서에 대한 역사비평적 연구로 인해 전통적인 성서관이 무너지고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이 서로 독립된 영역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두 학문의 실질적인 분리는 성서 텍스트에 대한 신학적 해석에 근거하여 기독교 전통과 변화하는 현대 상황의 상호 관계를 발전시키는 신학의 근본 과제의 실행에 근본적인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성서 해석에 있어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현대의 대표적인 조직신학자와 성서신학자인 위르겐 몰트만과 리차드 버캠이 성서 해석에 관하여 나눈 대화를 살펴보고 몰트만의 입장을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는 먼저 몰트만의 성서 해석에 대한 버캠의 비판과 이에 대한 몰트만의 대답을 탐구하고 평가하여 그들의 서로 다른 입장과 논쟁점들을 확인하고, 현대의 관련 논의들과 몰트만의 실제 성서 해석에 근거하여 그의 입장을 재구성한다.
      번역하기

      근대 이후로 성서에 대한 역사비평적 연구로 인해 전통적인 성서관이 무너지고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이 서로 독립된 영역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두 학문의 실질적인 분리는 성서 텍...

      근대 이후로 성서에 대한 역사비평적 연구로 인해 전통적인 성서관이 무너지고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이 서로 독립된 영역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두 학문의 실질적인 분리는 성서 텍스트에 대한 신학적 해석에 근거하여 기독교 전통과 변화하는 현대 상황의 상호 관계를 발전시키는 신학의 근본 과제의 실행에 근본적인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성서 해석에 있어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현대의 대표적인 조직신학자와 성서신학자인 위르겐 몰트만과 리차드 버캠이 성서 해석에 관하여 나눈 대화를 살펴보고 몰트만의 입장을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는 먼저 몰트만의 성서 해석에 대한 버캠의 비판과 이에 대한 몰트만의 대답을 탐구하고 평가하여 그들의 서로 다른 입장과 논쟁점들을 확인하고, 현대의 관련 논의들과 몰트만의 실제 성서 해석에 근거하여 그의 입장을 재구성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몰트만, 위르겐, "희망의 윤리" 대한기독교서회 2012

      2 트라이어, 대니얼 J., "현대신학 지형도: 조직신학 각 주제에 대한 현대적 개관" 새물결플러스 124-172, 2016

      3 트레이시, 데이비드, "현대 기독교 조직신학" 한국장로교출판사 69-103, 1999

      4 몰트만, 위르겐,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 생태학적 창조론" 한국신학연구소 1991

      5 몰트만, 위르겐, "예수 그리스도의 길: 메시야적 차원의 그리스도론" 대한기독교서회 1990

      6 김창선, "역사적 성서해석과 신학적 성서해석: 양자택일의 문제인가?" 22 : 69-69, 2004

      7 몰트만, 위르겐, "신학의 방법과 형식: 나의 신학 여정" 대한기독교서회 2001

      8 김동수, "성서 신학, 더 이상 조직 신학의 토대가 아닌가? -볼프의 성서의 신학적 해석-" 한국신학정보연구원 7 (7): 37-62, 2013

      9 이승구,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SFC 2018

      10 몰트만, 위르겐,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역사: 삼위일체 신학을 위한 기여" 대한기독교서회 1998

      1 몰트만, 위르겐, "희망의 윤리" 대한기독교서회 2012

      2 트라이어, 대니얼 J., "현대신학 지형도: 조직신학 각 주제에 대한 현대적 개관" 새물결플러스 124-172, 2016

      3 트레이시, 데이비드, "현대 기독교 조직신학" 한국장로교출판사 69-103, 1999

      4 몰트만, 위르겐,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 생태학적 창조론" 한국신학연구소 1991

      5 몰트만, 위르겐, "예수 그리스도의 길: 메시야적 차원의 그리스도론" 대한기독교서회 1990

      6 김창선, "역사적 성서해석과 신학적 성서해석: 양자택일의 문제인가?" 22 : 69-69, 2004

      7 몰트만, 위르겐, "신학의 방법과 형식: 나의 신학 여정" 대한기독교서회 2001

      8 김동수, "성서 신학, 더 이상 조직 신학의 토대가 아닌가? -볼프의 성서의 신학적 해석-" 한국신학정보연구원 7 (7): 37-62, 2013

      9 이승구,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SFC 2018

      10 몰트만, 위르겐,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역사: 삼위일체 신학을 위한 기여" 대한기독교서회 1998

      11 버캠, 리처드, "몰트만의 신학" 크리스천헤럴드 2008

      12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 선집 10" 대한기독교서회 2017

      13 김균진, "기독교 신학 1: 하나님 나라의 메시아적 신학을 향해" 새물결플러스 2014

      14 Green, Joel B., "What You See Depends on What You Are Looking for: Jesus’s Ascension as a Test Case for Thinking about Biblical Theology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70 (70): 445-457, 2016

      15 Sharbaugh, Patricia A., "Uncovering the Roots of the Crucified God: How Walter Brueggemann’s Old Testament Theology Challenges and Contributes to Jürgen Moltmann’s and Jon Sobrino’s Interpretations of the Cross" Duquesne University 2009

      16 Bauckham, Richard, "Theodicy from Ivan Karamazov to Moltmann" 4 (4): 83-97, 1987

      17 Jürgen Moltmann, "The Way of Jesus Christ: Christology in Messianic Dimensions" Harper Collins 1990

      18 Gruenler, R. G., "The Trinity in the Gospel of John : A Thematic Commentary on the Fourth Gospel" Baker 1986

      19 Bauckham, Richard, "The Theology of Jürgen Moltmann" T&T Clark Ltd 2006

      20 Hasel, Gehard,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5 (5): 113-127, 1984

      21 Bauckham, Richard, "The Power and Weakness of God: Impassibility and Orthodoxy" Rutherford House Books 93-118, 1990

      22 Skilton, John H., "The New Testament Student and Theology" Presbyterian and Reformed 1976

      23 Stendahl, Kister,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vol. 1" Abingdon 418-432, 1962

      24 Beck, T. David, "The Holy Spirit and the Renewal of All Things : Pneumatology in Paul and Moltmann Jürgen" Pickwick Publications 2007

      25 Bauckham, Richard, "The Gospel of John and Christian Theology" Eerdmans 2008

      26 Schweitzer, Don, "The Consistency of Jürgen Moltmann’s Theology" 22 : 197-208, 1993

      27 Schweitzer, Don, "The Consistency of Jürgen Moltmann’s Theology"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3

      28 Bauckham, Richard,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Modern Christian Thought" Blackwell 385-388, 1993

      29 Bauckham, Richard, "The Bible in the Contemporary World : Hermeneutical Venture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5

      30 Bauckham, Richard, "The Bible in Politics : How to Read the Bible Politically" J. Knox Press 1989

      31 Gaffin, Richard B., "Systematic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38 (38): 281-299, 1976

      32 Green, Joel B., "Scripture and Theology: Failed Experiments, Fresh Perspective" 56 (56): 5-20, 2002

      33 Reynolds, Benjamin E.,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cal and Systematic Theology in the New Testament : Essays by Theologians and New Testament Scholars" Mohr Siebeck 2014

      34 Coombe, Cameron, "Reading Scripture with Moltmann: The Cry of Dereliction and the Trinity" 48 (48): 130-145, 2016

      35 Bauckham, Richard, "Only the Suffering God Can Help: Divine Passibility in Modern Theology" 9 (9): 6-12, 1984

      36 Bauckham, Richard, "One God in Trinity" Bagster 11-32, 1980

      37 Bauckham, Richard, "Moltmann’s Theology of Hope Revisited" 42 : 199-214, 1989

      38 Bauckham, Richard, "Moltmann’s Messianic Christology" 44 (44): 519-532, 1991

      39 Bauckham, Richard, "Moltmann’s Eschatology of the Cross" 30 (30): 301-311, 1977

      40 Bauckham, Richard, "Moltmann : Messianic Theology in the Making" Marshall Pickering 1987

      41 Guttesen, Poul F., "Leaning into the Future : The Kingdom of God in the Theology of Jürgen Moltmann and the Book of Revelation" James Clarke & Co 2009

      42 Wiebe, Ben, "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Criticism: Jürgen Moltmann" 24 (24): 155-166, 1981

      43 Jürgen Moltmann, "God will Be All in All: The Eschatology of Jürgen Moltmann" Fortress Press 227-232, 2001

      44 Gilbertson, Michael, "God and History in the Book of Revelation : New Testament Studies in Dialogue with Pannenberg and Moltman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5 Bauckham, Richard, "God Will Be All in All : The Eschatology of Jürgen Moltmann" Fortress Press 2001

      46 Vanhoozer, Kevin J., "From Canon to Concept: ‘Same’ and ‘Other’ in the Relation between Biblical and Systematic Theology" 12 (12): 96-124, 1994

      47 Bauckham, Richard, "Evolution and Creation: In Moltmann’s Doctrine of Creation" 15 : 74-81, 1988

      48 Bauckham, Richard, "Ecology in Jürgen Moltmann’s Theology" Wipf and Stock ix-, 2016

      49 Haight, Roger, "Dynamics of Theology" Orbis Books 2001

      50 Jürgen Moltmann, "Do You Understand What You are Reading?: New Testament Scholarship and the Hermeneutical Question of Theology" 113 : 83-95, 2010

      51 Bartholomew, Craig G., "Dictionary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aker Academic 85-86, 2005

      52 Bauckham, Richard, "Bibliography: Jürgen Moltmann" 28 : 55-60, 1986

      53 Treier, D. J., "Biblical Theology and/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61 (61): 16-31, 2008

      54 Plantinga, C., "Biblical Hermeneutics in Historical Perspective" Eerdmans 303-321, 1991

      55 Green, Joel B., "Between Two Horizons : Spanning New Testament Studies and Systematic Theology" WB Eerdmans 2000

      56 Bauckham, Richard, "A Response to Professor Moltmann" 113 : 95-96, 2010

      57 Marshall, I. H., "A Pathway into the Holy Scripture" Edrdmans 199-219, 1994

      58 Bauckham, Richard, "A Broad Place: An Autobiography – By Jürgen Moltmann" 13 (13): 358-36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9 0.64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