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항기 한글 성경 번역어 ‘속’(贖)의 함의와 적합성 고찰 = A Study on Undertone and Suitability of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sok’(속, 贖)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the Bible was first translated into Korean, words related to λυτρόω was translated to ‘sok’(속, 贖). Its meaning includes ‘paying cost’ which was used widely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 of ‘sok’ is categorized as its role as a legal term, emphasize on change of social status and equivalency of the payment. The subject of ‘sok’ is guilt or specific social status which was ‘paid’ by offering property, returning one’s position, making a contribution, or presenting one’s replacement. These characteristics of ‘sok’ matches with principles of the bible, such as the salvation and childhood; the nature of God; the Holy Father. Since ‘sok’ was used widely in the Joseon Dynasty, the translations of redemption, ransom, atonement, the sin offering used with ‘sok’ was relatively easier for people at that time period. On the contrary, people today criticize it without any understanding of ‘sok.’
      번역하기

      When the Bible was first translated into Korean, words related to λυτρόω was translated to ‘sok’(속, 贖). Its meaning includes ‘paying cost’ which was used widely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 of ‘sok’ is categorized a...

      When the Bible was first translated into Korean, words related to λυτρόω was translated to ‘sok’(속, 贖). Its meaning includes ‘paying cost’ which was used widely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 of ‘sok’ is categorized as its role as a legal term, emphasize on change of social status and equivalency of the payment. The subject of ‘sok’ is guilt or specific social status which was ‘paid’ by offering property, returning one’s position, making a contribution, or presenting one’s replacement. These characteristics of ‘sok’ matches with principles of the bible, such as the salvation and childhood; the nature of God; the Holy Father. Since ‘sok’ was used widely in the Joseon Dynasty, the translations of redemption, ransom, atonement, the sin offering used with ‘sok’ was relatively easier for people at that time period. On the contrary, people today criticize it without any understanding of ‘so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개항기에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면서 λυτρόω(뤼트로오) 관련어류를 ‘속’ (贖)으로 번역하였다. ‘속’은 값을 지불하는 행위를 담고 있는 단어로, 조선시대에 널리 쓰인 법적 용어이다. ‘속’의 대상은 죄나 특정 신분(천인)이며, ‘속’의 지불은 재물 바치기, 직위 반납, 공(功) 세우기, 다른 사람으로 대신하기로 하였다. 속은 법정개념이라는 점, 신분상의 변화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 일방적 사면이 아닌 죄나 신분에 ‘상당’한 값을 치른다는 ‘등가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이런 특성이 구원과 자녀 됨, 하나님의 속성, 성육신 등의 성경 원리와 비슷하다. ‘속’은 조선시대 사람들이 매우 잘 알고 자주 사용하는 용어였으며, 성경이 번역되던 개항기 전후에도 정확한 뜻으로 통용되고 있었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에게 구속, 속죄, 속량, 대속 등의 용어를 쓴 성경 번역어와 교리 설명 등이 잘 이해될 수 있었다. 오히려 ‘속’의 개념을 잃어버린 현대인들이 이것을 알지 못하면서 성경 번역을 혹평하고 있다.
      번역하기

      개항기에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면서 λυτρόω(뤼트로오) 관련어류를 ‘속’ (贖)으로 번역하였다. ‘속’은 값을 지불하는 행위를 담고 있는 단어로, 조선시대에 널리 쓰인 법적 용어이다...

      개항기에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면서 λυτρόω(뤼트로오) 관련어류를 ‘속’ (贖)으로 번역하였다. ‘속’은 값을 지불하는 행위를 담고 있는 단어로, 조선시대에 널리 쓰인 법적 용어이다. ‘속’의 대상은 죄나 특정 신분(천인)이며, ‘속’의 지불은 재물 바치기, 직위 반납, 공(功) 세우기, 다른 사람으로 대신하기로 하였다. 속은 법정개념이라는 점, 신분상의 변화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 일방적 사면이 아닌 죄나 신분에 ‘상당’한 값을 치른다는 ‘등가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이런 특성이 구원과 자녀 됨, 하나님의 속성, 성육신 등의 성경 원리와 비슷하다. ‘속’은 조선시대 사람들이 매우 잘 알고 자주 사용하는 용어였으며, 성경이 번역되던 개항기 전후에도 정확한 뜻으로 통용되고 있었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에게 구속, 속죄, 속량, 대속 등의 용어를 쓴 성경 번역어와 교리 설명 등이 잘 이해될 수 있었다. 오히려 ‘속’의 개념을 잃어버린 현대인들이 이것을 알지 못하면서 성경 번역을 혹평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한성주보"

      3 "한성순보"

      4 이후천, "한글성경번역 이론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한국기독교학회 (77) : 215-236, 2011

      5 한천설, "한글번역성경들의 원문충실도 비교 연구(1)" 81 (81): 37-67, 2014

      6 장해경, "한글 개역성경의 번역에 관한 두 가지 수정 제안" 31 : 188-196, 2012

      7 "한국성경대전집 전 60권"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2002

      8 이만열, "한국기독교문화운동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9 전경목, "조선후기 노비의 속량과 생존전략" 남도민속학회 (26) : 353-382, 2013

      10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 "황성신문"

      2 "한성주보"

      3 "한성순보"

      4 이후천, "한글성경번역 이론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한국기독교학회 (77) : 215-236, 2011

      5 한천설, "한글번역성경들의 원문충실도 비교 연구(1)" 81 (81): 37-67, 2014

      6 장해경, "한글 개역성경의 번역에 관한 두 가지 수정 제안" 31 : 188-196, 2012

      7 "한국성경대전집 전 60권"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2002

      8 이만열, "한국기독교문화운동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9 전경목, "조선후기 노비의 속량과 생존전략" 남도민속학회 (26) : 353-382, 2013

      10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1 유경민, "제임스 게일의 국한혼용문 번역 성경(1925)의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73) : 5-47, 2015

      12 이학재, "요나서를 통한 원문 표준 번역에 대한 제언" 83 : 19-42, 2015

      13 "속대전(續大典)"

      14 "셩경직히" 한국교회사연구소 1984

      15 이상훈, "성서 번역을 위한 해석학적 긴장 문제" 2 : 7-18, 1998

      16 고세진, "성경 번역의 문화적 관계 — 이빨 같은 절벽과 사라진 여관" 1 : 156-177, 1997

      17 박재익, "두 성경 번역본을 통해 본 지난 40년간의 한국어 형태 변화의 경향" 한국중원언어학회 (28) : 97-124, 2013

      18 김동수, "두 가지 번역 원칙 — 문화의 옷 벗겨내기와 저자의 신학 살려내기" 3 (3): 169-177, 2012

      19 "독립신문"

      20 옥성득, "대한성서공회사 I ‧ II" 대한성서공회 1994

      21 "대한민국신문아카이브"

      22 "대한매일신보"

      23 "대전통편(大典通編)"

      24 권평, "내한 선교사 연구" 대한기독교서회 61-81, 2011

      25 김성은, "근대 국한문체 형성과 번역문체 -이수정의 성서 번역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22) : 165-181, 2012

      26 전무용, "그리스도교 용어와 한자어에서 빌려온 용어" 5 (5): 48-71, 2013

      27 "고문서집성"

      28 "경국대전(經國大典)"

      29 하동호, "개화기소설의 서지적 정리 및 조사" 7 : 169-218, 1977

      30 김희자, "개화기소설에 나타난 노비 연구" 5 : 219-240, 1986

      31 박경, "重父 관념을 통해 본 조선 전기의 從良 정책" 조선시대사학회 (70) : 99-132, 2014

      32 성봉현, "朝鮮初期 婢嫁良夫所生의 從良과 贖身法" 82 : 35-62, 1993

      33 이덕주, "‘제1세대 성서’를 통해 이루어진 복음의 토착화 -한글 성서 최초 완역 100주년의 역사신학적 의미-" 한국신학정보연구원 4 (4): 75-12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9 0.64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