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수광은 총 20권의 <지봉유설>을 남겼다. <지봉유설>은 182개의 범주에서 총 3,435개의 하위 조목을 일종의 백과사전적인 저서였다. 이 연구는 <지봉유설>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21302
2020
-
기후 ; 기상 ; 이수광 ; 지봉유설 ; weather ; climate ; Lee Su-Gwang ; Jibongyuseol
379
KCI등재
학술저널
207-224(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수광은 총 20권의 <지봉유설>을 남겼다. <지봉유설>은 182개의 범주에서 총 3,435개의 하위 조목을 일종의 백과사전적인 저서였다. 이 연구는 <지봉유설>에서...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수광은 총 20권의 <지봉유설>을 남겼다. <지봉유설>은 182개의 범주에서 총 3,435개의 하위 조목을 일종의 백과사전적인 저서였다. 이 연구는 <지봉유설>에서 이수광이 언급한 기후와 기상에 대한 기록을 확인하여 그의 생각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수광은 중국 고전이나 명의 저서로부터 기후나 기상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나름대로 해석을 덧붙였다. 특이한 기상 현상을 목격하고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외국의 기후는 우리나라와 다름을 지적했다. 이수광의 기후나 기상에 대해서 해석은 전통적인 유교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현상에 대해서는 근거를 제시하여 독특한 자신의 해석을 덧붙이기도 했다. 이수광은 기후와 기상에 대해 나름대로 기사를 수집하고 해석을 덧붙인 선구적인 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Su-Gwang, who was a scholar on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as written Jibongyuseol. These books (20 volumes) were a kind of encyclopedic book with a total of 3,435 items in 182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is thoughts ...
Lee Su-Gwang, who was a scholar on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as written Jibongyuseol. These books (20 volumes) were a kind of encyclopedic book with a total of 3,435 items in 182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is thoughts by checking records of climate and weather mentioned by Lee Su-Gwang in Jibongyuseol. He acquired knowledge about weather and climate from Chinese classics and books of currently Ming-China and added his own interpretations. He witnessed unusual weather events and had made a detail records. He pointed out the climate of foreign countries is different from that of Joseon. Lee Su-Gwang’s interpretation of weather and climate showed a tendency not to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However, for some phenomena of climate and weather, he added his own unique interpretation that provided evidence. Lee Su-Gwang could be evaluated as a pioneering scholar who collected articles and added interpretations on weather and climat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대회, "李睟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진단학회 (98) : 267-289, 2004
2 강민구, "類書에 나타난 조선 지식인의 花卉에 대한 인식" 동방한문학회 (56) : 39-72, 2013
3 "한국고전종합DB/ 고전원문/ <지봉유설> 권1-20"
4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서/ <지봉집> 부록 권1"
5 노명호, "토론" 98 : 301-318, 2004
6 이수광, "지봉유설(세계사상교양전집)" 을유문화사 1972
7 이수광, "지봉유설(상), (하)" 을유문화사 1994
8 이숭녕, "지봉유설" 경인문화사 1-8, 1970
9 이수광, "지봉유설" 경인문화사 1970
10 반윤홍, "지봉 이수광의 정치 경제사상" 25 : 55-82, 1975
1 안대회, "李睟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진단학회 (98) : 267-289, 2004
2 강민구, "類書에 나타난 조선 지식인의 花卉에 대한 인식" 동방한문학회 (56) : 39-72, 2013
3 "한국고전종합DB/ 고전원문/ <지봉유설> 권1-20"
4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서/ <지봉집> 부록 권1"
5 노명호, "토론" 98 : 301-318, 2004
6 이수광, "지봉유설(세계사상교양전집)" 을유문화사 1972
7 이수광, "지봉유설(상), (하)" 을유문화사 1994
8 이숭녕, "지봉유설" 경인문화사 1-8, 1970
9 이수광, "지봉유설" 경인문화사 1970
10 반윤홍, "지봉 이수광의 정치 경제사상" 25 : 55-82, 1975
11 이만열, "지봉 이수광 연구(2)-그의 사회사상을 중심으로" 15 : 23-59, 1975
12 한국지구과학회, "지구과학사전" 북스힐 2009
13 최주희, "조선후기 저술에 나타난 『지봉유설(芝峯類說)』의 인용 양상과 특징" 한국사상사학회 (59) : 133-165, 2018
14 오상학, "조선후기 세계 지리지에 대한 시론적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3) : 245-275, 2013
15 김문식, "이수광의 자아인식과 타자인식" 진단학회 (98) : 209-232, 2004
16 류홍렬, "이수광의 생애와 그 후손들의 천주교 신봉" 13 : 399-450, 1970
17 이현희, "이수광의 국어학적 인식에 대하여" 진단학회 (98) : 291-299, 2004
18 최병욱, "이수광(李睟光)의 베트남, 1597-1598" 한국동남아학회 19 (19): 31-55, 2009
19 최혜주, "식민지 시기 재조일본인의 출판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5) : 45-80, 2018
20 김연옥, "기후 변화-한국을 중심으로" 민음사 1998
21 정해왕, "董仲舒의 天人感應說과 그 政治性" 동양문화연구원 16 : 185-220, 2013
22 장보웅, "芝峯 李수光의 地理的 世界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225-235, 2004
23 박수천, "芝峯 李睟光 漢詩文學의 寫實과 閑雅 風格" 한국한시학회 (24) : 31-54, 2016
24 朝鮮硏究會, "原文 和譯 對照 芝峯類說(下)" 朝鮮硏究會 1917
25 朝鮮硏究會, "原文 和譯 對照 芝峯類說(上)" 朝鮮硏究會 1916
26 김용희, "『지봉유설』 에 나타난 이수광의 자연관"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7 정규식, "『조완벽전』을 통한 17세기 조선 지식인의 해외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동양고전연구소 (39) : 1-32, 2018
28 한명기, "『芝峰類說』에 나타난 李睟光의 對外認識 ― 대외인식 형성의 배경과 평가 문제를 중심으로 ―" 진단학회 (98) : 185-207, 2004
29 崔銀淑, "「芝峯類說」의 書誌學的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30 신상섭, "「芝峯類說」로 본 李睟光의 조경식물 인식 및 가치관" 한국전통조경학회 27 (27): 1-10, 2009
31 강민구, "「星湖僿說」의 「芝峯類說」, 「松南雜識」의 「芝峯類說」․「星湖僿說」 인용 양상에 대한 연구" 우리한문학회 24 : 495-533, 2011
32 송정화, "≪西域行程記≫와 明初의 西域" 중국학연구소 (64) : 57-98, 2019
33 최웅, "{지봉유설(芝峰類說)}의 한문학적 업적" 진단학회 (98) : 233-266, 2004
34 노정식, "<지봉유설>에 나타난 지리학적 내용에 관한 연구" 4 : 131-147, 1968
35 이경희, "<지봉유설>에 나타난 이수광의 세계 인식-제국부 외국조 기사를 중심으로-" 2 : 225-258, 2011
36 정수일, "<지봉유설> 속 외국명 고증문제" 2 : 187-224, 2011
과학관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논증구조 변화에 주는 영향 : 에너지와 기후변화 주제를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텍스트 네크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세계관 접목 통합과학교육 수업 설계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
2015 개정 초등 교과서에서 기후변화 및 에너지교육 내용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3 | 0.54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