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7학년도 수능 필수 한국사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1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문항을 어떻게 해결해나가는지를 확인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09800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9-201(33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7학년도 수능 필수 한국사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1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문항을 어떻게 해결해나가는지를 확인하고 ...
이 글은 2017학년도 수능 필수 한국사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1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문항을 어떻게 해결해나가는지를 확인하고 학생들이 말하는 수능 필수 한국사 문항의 조건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반응을 살핀 이후, 학생들이 선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기준으로 하여 연대기적 흐름, 언어적 · 역사적 추론, 특정 단서에 의한 해결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많은 학생들은 특정 단서에 의해 문항을 해결하였지만 연대기적 사고와 언어적 · 역사적 추론에 의한 문항 풀이도 적지 않게 사용하였다. 또 문항마다 한 가지 방식의 문항풀이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성향이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문항을 해결해 나가고 있었다.
연대기적 흐름에 의한 문항 풀이를 한 학생은 역사적 사건의 단순한 선후관계에 따라 문항을 해결한 경우가 많았고 특정 연도를 외워 단서처럼 해결하기도 하였지만, 인과관계를 고려하여 문항을 해결한 경우는 찾기 어려웠다. 언어적으로 추론한 학생들이 역사적 지식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시문의 앞뒤 문맥을 통해 추론을 하려고 하였다면, 역사적 추론을 한 학생들은 학생 자신의 기존지식을 바탕으로 제시문에 생략되어 있거나 드러나지 않은 내용을 찾아내었다. 학생들은 언어적 직관이나 특정 단서에 의해 쉽게 해결되는 문항을 무조건적으로 선호하지 않았다. 이들 문항과 같이 사고를 자극하지 않는 문항은 경계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reasonable question direction for compulsory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order to monitor the bas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Korean history. We intervi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reasonable question direction for compulsory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order to monitor the bas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Korean history. We interviewed 10 students about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SAT and had questions about the direction for good exam. We divided students’ responses into 3 types to know high school students’s historical understanding about Korean history which were implemented on a national scale in 2016. Three types are Chronological understandings, linguistic inferences · historical inferences, the uses of specific clues.
We obtained the following implication through analyzing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s about Korean history items which were implemented on a national scale in 2016. The first, most of students solve the problems using the specific clues. But they solved the problems using the various ways such as chronological understanding, linguistic inferences · historical inferences, the uses of specific clues in order to solve the same item according to students’ private characters and study styles. Seconds, students thought chronological understanding important to study history. But they tried to solve items which were estimated chronological understanding using their memorized knowledge. Third, when they had no prior knowledge, students solved the items using linguistic inference or historical inferences. They did not like the item which solved easily using the specific clues. They would like to be presented the items which provoke the their thought and judg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일보, "초등생도 풀 수 있는 수능 한국사 문제…… 이렇게 쉬워도 되나"
2 박영목, "전략적 과정 중심 읽기 지도 방안" 한국독서학회 (16) : 265-292, 2006
3 장현숙, "읽기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이야기 글 이해능력"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59-176, 2016
4 김경주, "읽기 과정에서의 인지 전략과 상위 인지 전략" 우리말글학회 32 : 29-50, 2004
5 이해영, "역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연구" 역사교육연구회 (127) : 65-99, 2013
6 양호환, "역사교육의 이론" 책과 함께 [서울] 2009
7 박은주, "사고 구술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의추론적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129-162, 2008
8 김한종,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인식과 학습방법" 호서사학회 (80) : 401-437, 2016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항 유형으로 알아보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 능력시험 한국사 학습 안내" 2014
10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 방안"
1 조선일보, "초등생도 풀 수 있는 수능 한국사 문제…… 이렇게 쉬워도 되나"
2 박영목, "전략적 과정 중심 읽기 지도 방안" 한국독서학회 (16) : 265-292, 2006
3 장현숙, "읽기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이야기 글 이해능력"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59-176, 2016
4 김경주, "읽기 과정에서의 인지 전략과 상위 인지 전략" 우리말글학회 32 : 29-50, 2004
5 이해영, "역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연구" 역사교육연구회 (127) : 65-99, 2013
6 양호환, "역사교육의 이론" 책과 함께 [서울] 2009
7 박은주, "사고 구술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의추론적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129-162, 2008
8 김한종,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인식과 학습방법" 호서사학회 (80) : 401-437, 2016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항 유형으로 알아보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 능력시험 한국사 학습 안내" 2014
10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 방안"
11 "교육과정 정보센터"
12 박진동, "고등학생의 선다형 문항 풀이 과정과 시험전략 고찰" 역사교육연구회 (117) : 195-225, 2011
13 김수미, "고등학교 역사학습 부진학생의 문항 풀이 과정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36) : 41-83, 2015
14 김진구, "2017학년도 한국사 수능 필수화에 따른 출제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5 교육부, "2017학년도 수능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에 따른 한국사 출제방향 및 예시문항 등 공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