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 조사 제4~17차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직업훈련의 임금효과가 시행주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t-1, t) 기간 중의 직업훈련이 t 시점의 임금에 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20491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1-151(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 조사 제4~17차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직업훈련의 임금효과가 시행주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t-1, t) 기간 중의 직업훈련이 t 시점의 임금에 미...
이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 조사 제4~17차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직업훈련의 임금효과가 시행주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t-1, t) 기간 중의 직업훈련이 t 시점의 임금에 미친 영향을 OLS 추정방식과 분위회귀분석의 두 방식을 적용하여 추정한 결과 기업주도 훈련의 임금효과가 가장 높았고, 개인주도 훈련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정부주도 훈련과 임금과의 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을 상실하여 정부주도 훈련의 임금효과가 없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분석기간을 확대하여(t-1, t) 시점 사이의 직업훈련이 t+1 시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정부주도 훈련도 임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정부주도 훈련의 임금효과는 시간에 따라 개선되는 양상을 보인다. 기업주도 훈련의 임금효과가 여전히 가장 크지만 기업주도와 정부주도, 기업주도와 개인주도 훈련 사이의 임금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impact on wage of vocational training by the training supplier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When we consider the wage effect at time t of the vocational training at time (t, t-l), the estimation result...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impact on wage of vocational training by the training supplier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When we consider the wage effect at time t of the vocational training at time (t, t-l),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wage effect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itiated by the firm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vocational training initiated by the individual. The vocational training initiated by the government fails to gene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wage.
However, as we extend the observation period to t+1 from t, the vocational training initiated by the government has also a positive impact on the wage leve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still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nitiated by the firm is the highest value among the three ways of train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조사"
2 유경준,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분석: 경제활동 인구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32 (32): 27-53, 2010
3 김창환, "직업훈련의 임금불평등 효과 분석" 한국사회학회 41 (41): 32-64, 2007
4 이종성, "직업훈련 투자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방향" 한국기술교육대학 교 1994
5 심우일, "중소기업 재직자 직업능력개발 훈련 제도, 실태 및 개선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2008
6 오영훈, "저소득층의 직업훈련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1-28, 2006
7 이상준, "실업자 직업훈련 유형간 다중비교를 통한 훈련정책 연구" 5 (5): 1-21, 2011
8 유경준, "사업주직업능력개발지원사업" 한국개발연구원 2009
9 전병칠, "기 업규모와 이직여부에 따른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6
10 김안국, "교육훈련의 경제적 성과 -임금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131-160, 2002
1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조사"
2 유경준,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분석: 경제활동 인구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32 (32): 27-53, 2010
3 김창환, "직업훈련의 임금불평등 효과 분석" 한국사회학회 41 (41): 32-64, 2007
4 이종성, "직업훈련 투자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방향" 한국기술교육대학 교 1994
5 심우일, "중소기업 재직자 직업능력개발 훈련 제도, 실태 및 개선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2008
6 오영훈, "저소득층의 직업훈련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1-28, 2006
7 이상준, "실업자 직업훈련 유형간 다중비교를 통한 훈련정책 연구" 5 (5): 1-21, 2011
8 유경준, "사업주직업능력개발지원사업" 한국개발연구원 2009
9 전병칠, "기 업규모와 이직여부에 따른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6
10 김안국, "교육훈련의 경제적 성과 -임금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131-160, 2002
11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백서"
12 Becker, Gary S.,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국내 휘발유ㆍ경유 소비의 비대칭적 가격탄력성 구조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1.2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