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산업연관에 대한 연구 = 국제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20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남아공의 국제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양국의 산업부문별 생산기술의 동질성 여부와 양국의 무역이 양국의 국내 산업들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한국의 ...

      본 연구는 한국과 남아공의 국제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양국의 산업부문별 생산기술의 동질성 여부와 양국의 무역이 양국의 국내 산업들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한국의 남아공 수출은 15억 달러(2014년)로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이었고, 수입은 16억 달러로 총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약 0.3%이었다. 한국은 자동차ㆍ기계ㆍ컴퓨터ㆍ전기제품과 같은 제조업 제품을 주로 수출하였고, 광석ㆍ철강ㆍ귀금속ㆍ구리ㆍ알루미늄과 같은 1차 산업제품을 수입하였다.
      한국의 남아공에 대한 수출은 한국의 국내 산업연관관계로 25억 7,000만 달러의 생산을 유발시켰으며, 부가가치 유발액은 6억 7,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남아공의 한국에 대한 수출은 남아공 국내에 24억 8,000만 달러의 생산을 유발시켰으며, 부가가치 유발액은 10억 8,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한국의 남아공 수출품에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산업의 생산유발 효과와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남아공의 한국에 대한 수출품에서 광산 및 채석 산업이 생산유발 효과와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의 산업별 생산기술을 비교한 결과, 전체 34개 산업부문 가운데에서 25개 산업부문이 P값이 1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국가의 산업에서 이용하는 생산기술은 산업 전반으로 살펴보면 동질적인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첫째 양국의 사업별 생산기술이 대체로 동질적인 성향을 보여 주고, 둘째 무역상품들을 양국에 상호 보완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양국의 무역에서 양국의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 효과의 크기는 비슷하나,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남아공이 한국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양국의 무역 확대는 자국의 생산유발 효과 및 부가가치 효과가 크며, 상호 보완적인 경제관계로 이어지게 되며, 이는 양국의 자유무역협정 등 무역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상호이익(win-win)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quantitative measures of economic impacts of trade and comparing production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South Africa. We used international input output tables. In 2014, Korea exported 1.5 billion USD and imported 1.6 bil...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quantitative measures of economic impacts of trade and comparing production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South Africa. We used international input output tables. In 2014, Korea exported 1.5 billion USD and imported 1.6 billion USD both of which shared 0.3% of the total export and import. Korea exported manufactured goods such as automobiles, machinery, computers and electronics goods to South Africa, and imported industrial raw materials like iron ore, copper, aluminum etc.
      The Korean economy induced the value of 2.57 billion USD and value added was 670 million USD from export to South Africa. The South African economy induced the value of 2.48 billion USD and value added 1.08 billion USD from export to Korea. The automobile industry has the largest production and value added inducement in Korea, whereas in South Africa the mining industry was the largest contribution to the economy.
      From the research, we found that Korea and South Africa have similar level of production technologies and trading commodities where complement each other. Both economies had similar level of production inducement, but value added creation was greater in South Africa. We conclude that any effort for expansion of trade, such as FTA, between two countries would bring mutual benefi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제 및 한국과의 교역
      • Ⅲ. 한국과 남아공의 국제 산업연관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제 및 한국과의 교역
      • Ⅲ. 한국과 남아공의 국제 산업연관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성동, "한, 중, 일 국제산업 연관분석" 12 : 95-721, 1996

      2 이홍배, "한, 중, 일 3국의 산업간 상호의존관계 분석" 25 : 2002

      3 김경필, "지역산업연관표 추정을 위한 비조사기법의 유용성 비교 - 확률계수행렬 접근법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연구학회 33 (33): 79-106, 2015

      4 이민규, "우리나라 수상운송업의 국가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8 (28): 71-94, 2013

      5 이규인, "아시아 태평양 각국간 상호의존관계 분석"

      6 관세청, "무역통계DB"

      7 신승식, "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중일 3국간 수산업 상호의존관계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39 (39): 67-90, 2008

      8 박천익, "東アジアにおける中間財投入依存構造" 한일경상학회 38 : 185-210, 2007

      9 山田光男, "日米アジア經濟の相互依存と日系企業-アジア國際產業聯關表による 分析-" 國際東アジア硏究センタ, ぺ ンシルべニア大學協同硏究施設 1-28, 2001

      10 高川泉, "國際産業連關表からみたアジア太平洋經濟の相互依存關係- 投入係數の豫測に基づく分析-" 日本銀行 1-22, 2004

      1 오성동, "한, 중, 일 국제산업 연관분석" 12 : 95-721, 1996

      2 이홍배, "한, 중, 일 3국의 산업간 상호의존관계 분석" 25 : 2002

      3 김경필, "지역산업연관표 추정을 위한 비조사기법의 유용성 비교 - 확률계수행렬 접근법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연구학회 33 (33): 79-106, 2015

      4 이민규, "우리나라 수상운송업의 국가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8 (28): 71-94, 2013

      5 이규인, "아시아 태평양 각국간 상호의존관계 분석"

      6 관세청, "무역통계DB"

      7 신승식, "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중일 3국간 수산업 상호의존관계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39 (39): 67-90, 2008

      8 박천익, "東アジアにおける中間財投入依存構造" 한일경상학회 38 : 185-210, 2007

      9 山田光男, "日米アジア經濟の相互依存と日系企業-アジア國際產業聯關表による 分析-" 國際東アジア硏究センタ, ぺ ンシルべニア大學協同硏究施設 1-28, 2001

      10 高川泉, "國際産業連關表からみたアジア太平洋經濟の相互依存關係- 投入係數の豫測に基づく分析-" 日本銀行 1-22, 2004

      11 Chenery, H. B.,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the Structure of Production" 22 (22): 487-521, 1958

      12 Akita, T., "interdependence and Growth: an International Input-Output Analysis" 26 (26): 169-179, 1995

      13 Chenery, H. B., "The Structure and Growth of the Italian Economy" Mutual Security Agency 1953

      14 Moses, L. N., "The Stability of Interregional Trading Patterns and InpuUOutput Analysis" 45 (45): 803-826, 1955

      15 Song, Byung Nak, "The Production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International and Historical Comparisons," 45 (45): 147-162, 1977

      16 Isard, W., "Interregional and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A Model of a Space Economy" 33 (33): 318-328, 1951

      17 Miller, R. E., "Interregional Feedback Effects in InpuUOutput Models: Some Preliminary Results" 17 (17): 105-125, 1966

      18 Soludo, C. C., "Internatiopnal Development Centre" Africa World Press, Inc 2004

      19 Miyazawa, K., "Internal and External Matrix Multipliers in the Input-Output Model" 7 (7): 38-55, 1966

      20 Mori, T., "Interdependence of Production and Income in Asia-Pacific Economies: An International InpuUOutput Approac" Bank of Japan 1-29, 2007

      21 Oosterhaven, J., "Estimating International Interindustry Linkages: Non-survey Simulations of the Asia-Pacific Economy" 24 (24): 395-414, 2008

      22 Yamazawa, I., "Economic Interdependence in Pacific Asia! An International Input-output Analysis" 24 (24): 95-108, 1986

      23 Hasebe, Y.,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An International InpuUOutput Analysis" 1709-1735, 2006

      24 Round, J. I., "Decomposing Multipliers for Economic Systems Involving Regional and World Trade" 95 (95): 383-399, 1985

      25 Santhanam, K. V., "A Study of the Production Structure of the Indian Economy! An International Comparison" 40 (40): 159-176, 1972

      26 OECD, "2011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1.2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