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의 주된 정서의 하나인 상실감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상실감 척도(K-SSLE)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08154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7-416(20쪽)
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의 주된 정서의 하나인 상실감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상실감 척도(K-SSLE)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의 주된 정서의 하나인 상실감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상실감 척도(K-SSLE)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건강, 관계, 역할, 경제영역이 노년기 상실의 주요 영역임을 확인하고, 이들 영역에 속하는 101개 상실감 관련 1차 예비문항을 수집하였다. 다음, 전문가들의 평정을 통해 81개 2차 예비문항을 선정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56개 3차 예비문항을 선정한 후 다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 관계, 역할, 경제의 4요인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고 최종 31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끝으로, 최종 문항에 대한 수렴타당도와 변별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 졌다. K-SSLE의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우울, 스트레스 척도와는 정적상관을, 낙천주의 척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고,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라 상실감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이 확인 되었다. 이로써 K-SSLE는 한국 노인들이 겪는 다양한 상실의 문제들과 관련된 감정 상태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만족할 만한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nse of Loss Scale for Korean Elderly (K-SSLE). The 101 items were cre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We selected the 81 items through the professional group and the 56 items from a surve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nse of Loss Scale for Korean Elderly (K-SSLE). The 101 items were cre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We selected the 81 items through the professional group and the 56 items from a survey. As a result, 31 items were determined in four constructs(physical, relationship, role, economic)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plit-half reliability were acceptabl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cale, stress scale and life orientation scale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K-SSLE. Based on this scale, the four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demographic variable. Overall, the results provide K-SSLE has adequat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has potential utility for researchers of the elderl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만두, "현대사회복지개론" 학지사 1993
2 기백석,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의 표준화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3 이성해, "한국의 노인문제 실태와 그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12 : 85-104, 1997
4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5 이철우, "한국노인의 생활불안" 18 : 38-67, 2003
6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7 최순남, "한국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 출판부 1997
8 공수자, "한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모형 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743-770, 2004
9 김미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35-52, 2005
10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양서원 1996
1 김만두, "현대사회복지개론" 학지사 1993
2 기백석,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의 표준화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3 이성해, "한국의 노인문제 실태와 그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12 : 85-104, 1997
4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5 이철우, "한국노인의 생활불안" 18 : 38-67, 2003
6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7 최순남, "한국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 출판부 1997
8 공수자, "한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모형 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743-770, 2004
9 김미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35-52, 2005
10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양서원 1996
11 한소영,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개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817-836, 2006
12 정선녀, "정서지능,낙관주의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3 홍성경, "정보적 지지가 항암요법을 받는 환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4
14 서형숙, "절단환자가 느끼는 상실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15 한미숙, "자궁적출술을 받은 자궁암 환자의 상실감,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5
16 엄한주, "요인분석 모형의 이해와 적용:주성분모형과 공통요인모형의 방법론적 비교" 3 (3): 101-130, 2001
17 김숙남, "여성의 자궁절제술 후 삶의 질 구조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18 김기분, "여성노인의 슬픔" 31 : 1021-1033, 2001
19 이미라, "애도개념개발:배우자 사별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20 성태제,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07
21 신정원, "성향적 낙관주의와 기분상태가 만성 동통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2
22 김애순,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시그마프레스 2006
23 윤진, "성인 노인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93
24 네이버국어사전, "상실, 상실감"
25 정 은, "상배여성의 사회적응을 위한 심리사회적 접근"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4
26 김승연, "배우자 사별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27 손의성, "배우자 사별노인의 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8 전길양,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143 : 155-170, 2000
29 성태제,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2
30 홍세희, "문항반응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 임상심리학학회 1999
31 박선아, "노인정신질환자의 상실감회복을 위한 무용요법" 20 : 71-89, 1997
32 홍상욱, "노인이 인지하는 노년기 역할과 만족도.노인학 연구 in : 창간호" 영남대 노인학 연구소 1997
33 이신숙,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20, 2002
34 허준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3 (13): 7-35, 2002
35 김정엽, "노인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37 (37): 111-130, 2007
36 김명자, "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20 (20): 45-54, 1982
37 정미경, "노인을 위한 동년배 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38 서현미, "노인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연구" 31 (31): 94-106, 2001
39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40 이혜원,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4
41 김태현, "노년학" 교문사 1994
42 전길양,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20 (20): 69-91, 2000
43 김태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19 : 61-81, 1999
44 이춘희, "남자노인의 역할활동과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45 이춘희, "남자노인의 역할활동과 생활만족도" 6 : 69-101, 1994
46 윤현희, "남녀노인의 스트레스,대처행동,심리적 적응감" 숙명여자대학교 1994
47 김현정, "긍정적 사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767-784, 2006
48 김태현, "고령화 사회의 노인과 생활환경" 6 (6): 131-141, 2002
49 윤훈, "고령자의 상실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1-15, 2007
50 김후경, "고령자의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17-32, 2007
51 통계청, "고령자 통계"
52 임인숙, "경제위기가 남편의 권위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34 (34): 1105-1127, 2000
53 박미정, "간호정보 제공이 자궁절제술 환자의 지식,상실감,우울에 미치는 효과"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 2007
54 서상철, "高齡化 社會에 있어서 專門的인 老人社會事業家의 役割"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 (1): 251-270, 1998
55 Schuchter,S.R., "The course of normal grief In Handbook of bereavement:Theory,research,and interv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56 Ada,C.M., "Stress,Coping,and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3 (3): 281-299, 2001
57 Bankoff,E.A.,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widowhood" 11 : 827-839, 1993
58 Nunnally,J.C, "Psychometric Theory" McGrow-Hill 1978
59 Gruendemann,B.J, "Problem of Physical Self Loss In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 129-209, 1981
60 Susan,D.K.,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Grief in widows" 31 : 23-30, 2008
61 Wong,Paul T.P,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30 (30): 516-525, 1989
62 Pett,M.A.,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03
63 Reitzes,D.C., "Location and Well-being Among Retireed Men" 46 : 195-203, 1991
64 Ryff,C.D., "Interpersonal flourising:A positive health agenda for the new millennium" 4 (4): 30-40, 2000
65 Laditka,J.N., "Increased hospitalization risk for recently windowed older women and protective effects of social contacts" 15 : 7-28, 2003
66 Fedderly,M.D, "How executives handle the loss of power at retirement" University of St. Thomas 1993
67 Worden,J.W,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A handbook for mental health practitioner(2nd ed.)"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1
68 Scheier,M.F.,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16 (16): 210-228, 1992
69 Scheier,M.F.,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trait anxiety,self-mastery and self-esteem):A r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 test" 67 : 1063-1078, 1994
70 MeeryoungKim, "Different Perspectives of Stress Theory and Its Application for Studying Role Changes in Older Adults" 한국노년학회 22 (22): 41-60, 2002
71 Lenon,B.W.,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Activity types 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community" 27 (27): 511-523, 1972
72 Bulter,R.N., "Aging and mental health(3rd.)" C. V. Mosby 1982
73 Morgan,D.L, "Adjusting to widowhood:Do social networks really make it easier?" 29 (29): 101-107, 1989
병적 도박에 대한 이중초점 도식치료 적용 가능성의 탐색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또래애착의 차이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6-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2 | 2.32 | 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9 | 2.58 | 3.685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