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관상동맥 자기공명 혈관조영술(coronary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이하coro-nary MRA로 약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83590
최상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 ; 이용철 (--) ; 임태환 (--) ; Choe, Sang-Il ; Lee, Yong-Cheol ; Im, Tae-Hwan
2002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321-327(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관상동맥 자기공명 혈관조영술(coronary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이하coro-nary MRA로 약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
목적: 관상동맥 자기공명 혈관조영술(coronary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이하coro-nary MRA로 약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11명의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oronary MRA는 1.5 T 심전도 동기 T1 강조 2차원 다중 호흡정지 나선 급속경사에코법 (EKG-gated T1-weighted, 2D multiphase breath-hold spiral fast gradient echo sequence) 을 이용한 훼손경사에코(spoiled gradient echo)를 사용하였다. 관상동맥의 직경을 기시부에서 1 cm 떨어진 부위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으며, 모든 영상화된 관상동맥의 영상화 구현정도와 영상화의 질을 분석하였다. 결과: 관상 동맥 근위부의 영상화 구현 정도는 82%에서 100%의 분포를 보였으며, 중간과 원 위부의 영상화 구현 정도는 36%에서 55%의 분포를 보였다. 관상동맥 근위부의 직경은 대부 분의 경우 고식적 혈관조영술의 참고치와 이전 coronary MRA의 결과와 좋은 연관을 보였다. 좌측 회선 관상동맥의 영상화 정도와 영상의 질은 제한점을 보였다. 결론: 2D Coronary MRA는 대부분의 관상동맥 근위부 분절을 적절하게 영상화 할 수 있다.
선천성 외이도 폐쇄증 및 협착증: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악성 십이지장 협착: 피복형 팽창성 나이티놀 스텐트 설치술을 이용한 고식적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