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페미니스트 그룹 ‘30캐럿’의 전시(1993-2000) 연구 = Exhibitions (1993-2000) of the Feminist Artist Group 30 Car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8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페미니스트 그룹 30캐럿의 활동 전반을 전시 중심으로 살펴보며,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페미니즘 미술로서 이들을 재위치시키려는 시도이다. 당시 역동적인 활동과 미술계의 주목에도 불구하고, 이후 30캐럿은 1990년대 미술과 페미니즘을 논할 때 거의 지워진 이름이 되었다. 이 사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논문은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총 일곱 번에 걸쳐 진행된 30캐럿의 주제전 《30캐럿》을 상세하게 연구한다. 30캐럿의 참여자들은 ‘자기 체험으로서의 여성성’, ‘남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메타 비평’, ‘여성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 전통’, ‘사회적 병리 현상’, ‘환경과 생태’, ‘결혼 제도’ 등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한 여러 의제를 전시에 담았다. 따라서 ‘페미니즘즈(feminisms)’, 즉, 페미니즘의 복수성에 기반해 이들의 전시에 관한 페미니스트적 분석과 의의를 도출하고, 30캐럿이 그간 미술사에서 누락된 원인을 다각도로 규명한다. 본 논고를 통해 30캐럿이 1990년대 페미니즘 미술로서 정당한 자리를 차지해야함을 밝히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페미니스트 그룹 30캐럿의 활동 전반을 전시 중심으로 살펴보며,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페미니즘 미술로서 이들을 재위치시키려는 시도이다. 당시 역동적인 활동과 미술계의 주목...

      본 논문은 페미니스트 그룹 30캐럿의 활동 전반을 전시 중심으로 살펴보며,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페미니즘 미술로서 이들을 재위치시키려는 시도이다. 당시 역동적인 활동과 미술계의 주목에도 불구하고, 이후 30캐럿은 1990년대 미술과 페미니즘을 논할 때 거의 지워진 이름이 되었다. 이 사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논문은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총 일곱 번에 걸쳐 진행된 30캐럿의 주제전 《30캐럿》을 상세하게 연구한다. 30캐럿의 참여자들은 ‘자기 체험으로서의 여성성’, ‘남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메타 비평’, ‘여성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 전통’, ‘사회적 병리 현상’, ‘환경과 생태’, ‘결혼 제도’ 등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한 여러 의제를 전시에 담았다. 따라서 ‘페미니즘즈(feminisms)’, 즉, 페미니즘의 복수성에 기반해 이들의 전시에 관한 페미니스트적 분석과 의의를 도출하고, 30캐럿이 그간 미술사에서 누락된 원인을 다각도로 규명한다. 본 논고를 통해 30캐럿이 1990년대 페미니즘 미술로서 정당한 자리를 차지해야함을 밝히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activities of the feminist group 30 Carat with a focus on their exhibitions, while seeking to reposition them as feminist art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in South Korea. Despite their dynamic activities and the attention they received from the contemporary art world, 30 Carat has since been largely erased from discussions of art and feminism in the 1990s.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ven thematic exhibitions of 30 Carat held between 1993 and 2000. The participants put forward a variety of agendas centered on feminism, such as “femininity as self-experience,” “meta-criticism of male ideology,” “Korean tradition through the eyes of women,” “social pathology,” “environment and ecology,” and “the institution of marriage.” Based on the plurality of feminism, or “feminisms,” this study conducts feministic analyses and draws out the implications of these exhibitions, reveal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why 30 Carat has been omitted from art history. This study finally argues that 30 Carat should be accorded its rightful place as feminist art of the 1990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activities of the feminist group 30 Carat with a focus on their exhibitions, while seeking to reposition them as feminist art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in South Korea. Despite their dynamic activities and the a...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activities of the feminist group 30 Carat with a focus on their exhibitions, while seeking to reposition them as feminist art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in South Korea. Despite their dynamic activities and the attention they received from the contemporary art world, 30 Carat has since been largely erased from discussions of art and feminism in the 1990s.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ven thematic exhibitions of 30 Carat held between 1993 and 2000. The participants put forward a variety of agendas centered on feminism, such as “femininity as self-experience,” “meta-criticism of male ideology,” “Korean tradition through the eyes of women,” “social pathology,” “environment and ecology,” and “the institution of marriage.” Based on the plurality of feminism, or “feminisms,” this study conducts feministic analyses and draws out the implications of these exhibitions, reveal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why 30 Carat has been omitted from art history. This study finally argues that 30 Carat should be accorded its rightful place as feminist art of the 1990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