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D 기술구현에서의 포토리얼리즘 효과 = 겨울왕국의 이미지 재현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2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은 전 세계적으로 최고의 흥행을 기록하며 3D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이러한 흥행 원인 가운데에 이른바 최첨단 디지털 기술의 적합한 도입 및 사실적인 재현에 의한 영상 콘텐츠 효과는 사진매체의 리얼리티 구현을 통해 가상현실과 이미지 재현이라는 영상미학의 의미 전달 및 경계를 재해석해 내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과학기술에 의한 디지털 콘텐츠 기술의 발달은 사진의 특수성을 부각한 3D 리얼리티 이미지에 의한 가상현실을 구현함으로써 실재와 가상현실의 경계를 허물고 관객들을 몰입시키는 효과를 자아낸다. 기존의 리얼리티의 개념을 초월한 또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콘텐츠 기술 및 영상미학적 측면은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벤야민의 아우라 이론에서 살필 수 있다. 여기에서 포토리얼리티에 의한 3D 이미지는 가상현실의 존재적 가치 및 리얼리티의 의미 생성 과정 그리고 공간 표현의 실재성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2014년 전 세계를 강타한 ‘겨울왕국’은 이러한 영상기술 및 미학적 의미를 바탕으로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재현성을 극대화하여 상업성, 예술성, 창조성의 발전을 도래하게 하였다. 여기에서의 허구적 리얼리티 기술 구현 및 의미 전달은 예술과 상업, 그리고 미학과 논리 사이의 관계 변화를 통해 3D 애니메이션 콘텐츠문화 영역 및 네트워크 형성 작용에 커다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문화와 사회, 재현과 현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차원의 대립과 경험의 긴장감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은 전 세계적으로 최고의 흥행을 기록하며 3D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이러한 흥행 원인 가운데에 이른바 최첨단 디지털 기술의 적합한 도입 및 사실...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은 전 세계적으로 최고의 흥행을 기록하며 3D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이러한 흥행 원인 가운데에 이른바 최첨단 디지털 기술의 적합한 도입 및 사실적인 재현에 의한 영상 콘텐츠 효과는 사진매체의 리얼리티 구현을 통해 가상현실과 이미지 재현이라는 영상미학의 의미 전달 및 경계를 재해석해 내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과학기술에 의한 디지털 콘텐츠 기술의 발달은 사진의 특수성을 부각한 3D 리얼리티 이미지에 의한 가상현실을 구현함으로써 실재와 가상현실의 경계를 허물고 관객들을 몰입시키는 효과를 자아낸다. 기존의 리얼리티의 개념을 초월한 또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콘텐츠 기술 및 영상미학적 측면은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벤야민의 아우라 이론에서 살필 수 있다. 여기에서 포토리얼리티에 의한 3D 이미지는 가상현실의 존재적 가치 및 리얼리티의 의미 생성 과정 그리고 공간 표현의 실재성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2014년 전 세계를 강타한 ‘겨울왕국’은 이러한 영상기술 및 미학적 의미를 바탕으로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재현성을 극대화하여 상업성, 예술성, 창조성의 발전을 도래하게 하였다. 여기에서의 허구적 리얼리티 기술 구현 및 의미 전달은 예술과 상업, 그리고 미학과 논리 사이의 관계 변화를 통해 3D 애니메이션 콘텐츠문화 영역 및 네트워크 형성 작용에 커다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문화와 사회, 재현과 현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차원의 대립과 경험의 긴장감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imation 〈Frozen〉 is showing the highest record in entertainment around the world and writing the history of 3D animation again. The image contents effect thanks to the proper introduction of the state-of-art digital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the outstanding entertainment and the factual reproduction of the imag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transmit the meaning of image aesthetics, which is a virtual reality and image reproduction through the reality realization of photo medium, and to reinterpret the boundary of virtual reality.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technology due to scientific technologies demolishes the boundary of virtual reality and reality and creates the effect of making viewers be absorbed by realizing the virtual reality by means of 3D reality images which highlight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photos. The aspect of the contents technology and image aesthetics which can be interpreted in a view point beyond the existing concept of reality is found in the aura theory of Benjamin and in the Simulacres of Baudrillard. The 3D image by photo-reality herein presents various suggestions in the aspect of real existence of spatial expression,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of reality, the existence value of virtual images.
      번역하기

      Animation 〈Frozen〉 is showing the highest record in entertainment around the world and writing the history of 3D animation again. The image contents effect thanks to the proper introduction of the state-of-art digital technology, which is one of t...

      Animation 〈Frozen〉 is showing the highest record in entertainment around the world and writing the history of 3D animation again. The image contents effect thanks to the proper introduction of the state-of-art digital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the outstanding entertainment and the factual reproduction of the imag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transmit the meaning of image aesthetics, which is a virtual reality and image reproduction through the reality realization of photo medium, and to reinterpret the boundary of virtual reality.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technology due to scientific technologies demolishes the boundary of virtual reality and reality and creates the effect of making viewers be absorbed by realizing the virtual reality by means of 3D reality images which highlight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photos. The aspect of the contents technology and image aesthetics which can be interpreted in a view point beyond the existing concept of reality is found in the aura theory of Benjamin and in the Simulacres of Baudrillard. The 3D image by photo-reality herein presents various suggestions in the aspect of real existence of spatial expression,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of reality, the existence value of virtual im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포토리얼리즘 이론 고찰
      • III. 3D 애니메이션 리얼리티 효과
      • IV. 겨울왕국의 포토리얼리즘
      • 초록
      • Ⅰ. 서론
      • Ⅱ. 포토리얼리즘 이론 고찰
      • III. 3D 애니메이션 리얼리티 효과
      • IV. 겨울왕국의 포토리얼리즘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석원,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과 미국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공정의 차이"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0 (10): 129-144, 2014

      2 노인식, "포토리얼리즘과 3D이미지의 추상적 개념 고찰 - 극사실회화와 3D이미지의 추상표현을 중심으로" 영상예술학회 (9) : 337-362, 2006

      3 서유석, "영화리뷰<겨울왕국(Frozen)>: 아름다운 영상과 음악 겨울 매력에 빠지다" (363) : 72-73, 2014

      4 한지운,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적용된 색채의 이미지와 상징에 대한 연구 -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195-206, 2014

      5 Jean Baudrillard, "시뮬라시옹" 민음사 2013

      6 김석진, "사진, 매체, 그리고 아우라의 변형: 디지털사진과 디지털아우라" 민족미학회 10 (10): 155-186, 2011

      7 이혜진, "보드리야르와 시뮬라크르, 그리고 이미지" 11 : 132-150, 2006

      8 이윤종, "마녀와 왕녀사이:<겨울왕국>의 흥행으로 보는 한국의 오늘" (78) : 153-171, 2014

      9 문재철,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모더니즘 회화스타일: 색, 형태,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33) : 31-53, 2013

      10 Walter Benjamin,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외" 길 2014

      1 박석원,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과 미국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공정의 차이"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0 (10): 129-144, 2014

      2 노인식, "포토리얼리즘과 3D이미지의 추상적 개념 고찰 - 극사실회화와 3D이미지의 추상표현을 중심으로" 영상예술학회 (9) : 337-362, 2006

      3 서유석, "영화리뷰<겨울왕국(Frozen)>: 아름다운 영상과 음악 겨울 매력에 빠지다" (363) : 72-73, 2014

      4 한지운,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적용된 색채의 이미지와 상징에 대한 연구 -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195-206, 2014

      5 Jean Baudrillard, "시뮬라시옹" 민음사 2013

      6 김석진, "사진, 매체, 그리고 아우라의 변형: 디지털사진과 디지털아우라" 민족미학회 10 (10): 155-186, 2011

      7 이혜진, "보드리야르와 시뮬라크르, 그리고 이미지" 11 : 132-150, 2006

      8 이윤종, "마녀와 왕녀사이:<겨울왕국>의 흥행으로 보는 한국의 오늘" (78) : 153-171, 2014

      9 문재철,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모더니즘 회화스타일: 색, 형태,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33) : 31-53, 2013

      10 Walter Benjamin,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외" 길 2014

      11 디즈니 한국 공식 웹사이트, "검색어: 디즈니 제작기 영상"

      12 유니온프레스 뉴스, "검색어: [인터뷰] 피터 델 베초, 제작자가 밝힌 ‘겨울왕국’ 탄생기"

      13 김애령, "‘알파걸’시대의 공주이야기,<겨울왕국>" (30) : 213-222, 2014

      14 Peim, Nick, "Walter Benjamin in the Age of Digital Reproduction: Aura in Education: A Rereading of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41 (41): 363-380, 2007

      15 Pogell, Sarah, "The Verisimilitude Inspector: George Saunders as the New Baudrillard?" 52 (52): 460-478, 2011

      16 Luke, Timothy W, "Power and politics in hyperreality: The critical project of Jean Baudrillard" 28 (28): 347-368, 1991

      17 "Moviefone"

      18 Duttlinger, Carolin, "Imaginary Encounters: Walter Benjamin and the Aura of Photography" 29 (29): 79-101, 2008

      19 Hegarty, Paul, "Constructing (in) the 'Real' World Simulation and Architecture in Baudrillard" 19 (19): 317-331, 2008

      20 공현희, "<겨울왕국>의 서술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5 (15): 77-86, 2014

      21 이혜원, "<겨울왕국>을 통해 본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환상성"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35) : 107-128, 2014

      22 전경란,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 : 31-45, 2010

      23 이선진, "3D 입체 애니메이션 영화의 카메라를 통한 깊이감 표현 연구 - <크리스마스 캐롤>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7 (7): 39-55, 2011

      24 임현지, "3D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사실성에 관한 비교연구: 해피피트를 중심으로" 5 (5): 5-9, 2007

      25 전형도, "2D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사실적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36-37, 2006

      26 Petr Tausk, "20세기 사진사" 눈빛 1995

      27 심혜련, "20세기 매체철학" 그린비 2013

      28 백지홍, "(Essay)전통과 변화 그리고_<겨울왕국>" 172-17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단법인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6 0.98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