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정지용의 시「유선애상」을 중심 텍스트로 하여 기존 연구에서 전개된 해석의 차원을 종합하고 다소 차치되었던 ‘애상’의 층위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이는 정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23216
이지상 (한양대학교)
2024
Korean
Jeong Ji-yong ; Yuseon-aesang ; Strealined shape ; Grief ; Modernity ; Speed ; Fantasy ; Car Rental Business ; Gyeong-Chun Road(the Road between Seoul and Chuncheon) ; Dialectic ; Failure ; Dromology ; Negativity ; Coincidence of Opposite ; Modern Melancholy. ; 정지용 ; 「유선애상」 ; 유선형 담론 ; 애상 ; 근대 ; 속도 ; 환상 ; 자동차 대여업 ; 경춘가도 ; 변증법 ; 실패 ; 질주학 ; 부정성 ; 대립물의 일치 ; 근대적 멜랑콜리
KCI등재
학술저널
211-258(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정지용의 시「유선애상」을 중심 텍스트로 하여 기존 연구에서 전개된 해석의 차원을 종합하고 다소 차치되었던 ‘애상’의 층위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이는 정지...
이 논문의 목적은 정지용의 시「유선애상」을 중심 텍스트로 하여 기존 연구에서 전개된 해석의 차원을 종합하고 다소 차치되었던 ‘애상’의 층위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이는 정지용 문학에서 ‘근대’가 출현하는 기제와 모체를 규명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정지용 문학에 대한 정교한 독법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동시에, 불명확한 ‘근대’가 어떤 변증법적 도정을 통해서 주체의 인식 지평에 근대라는 사물을 영사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검증이 가능하기를 기대한다.
「유선애상」은 소재의 상정과 해석에서 의론이 충돌하는 작품이다. 이 논문은 자동차를 소재로 상정한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시구 해석을 다수 수용하며, 맥락을 벗어나거나 앞뒤가 맞지 않은 해석의 경우에는 시적 맥락을 경유하는 독법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시가 지어진 1930년대 당시 조선을 강타한 유선형 담론과 경춘가도를 통해 이루어진 자동차 대여업의 실황을 살핌으로써 「유선애상」이 포착한 ‘근대’의 환상을 조망하고, ‘근대’에 관한 진리가 드러나는 실패의 도정에 천착해보도록 할 것이다.
정지용은 세련된 감각 인식으로 ‘근대’에 대한 고찰을 이어나간 시인으로 평가된다. 김기림은 정지용을 ‘최초의 모더니스트’라 명명하며 정지용이 포착하는 “문명의 뭇면”, 도회적 감각에 주목하였다. 정지용의 ‘근대’는 그것에 대한 환상을 통해 구성된다. 그의 시에서 그것은 시대적 모호성에 대한 시적 주체의 대응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시도는 근대라는 사물의 속성을 구현하는 것의 실패로 이어진다.
「유선애상」은 대체로 1930년대 조선의 유선형 담론의 자장 내에서 해석된다. 유선형은 본래 물체에 속도를 더하는 곡선형의 디자인으로, 기술적 효용에 그치지 않고 문화 기호적 성격을 획득하여 “근대의 정신”의 상징으로 자리 잡는다. 유선형 자동차는 정지용이 「소묘 3」을 통해서도 밝히듯, 속도에 대한 대중의 열망을 담지한 사물이다. ‘유선’이 선사하는 속도감은 ‘근대적 신화’를 지탱한다. 이로써 ‘유선’은 사회적 제약을 극복하는 희망적 미래에 대한 기표로 발돋움한다. 대중의 열망이 팽배함에 따라 자동차 대여업도 성장세를 보인다.
이러한 배경에서, 시는 대여한 유선형 자동차를 타고 춘천여행을 감으로써 ‘근대’를 체험하려는 시적 주체의 일화를 다룬다. 그런데, 자동차를 처음 만나는 시점에서부터, 출발과 여정의 심화에 이르는 동안 화자는 기대했던 고양된 ‘근대’와의 대면에 실패하고 ‘슬픔’에 빠지기만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만남의 시점에는 겉보기 “뛰어”나고 “산뜻”한 외양의 자동차는 그 속을 들여다보는 순간 “허술”하고 “철로판에서 밴 소리”만 나는 추한 대상임이 판명된다. 여정을 시작한 상황에서 화자는 “궂인날”이라는 제약에도 “회회 떨어 다듬고 나”설 수 있는 기술 발전의 역동성에 놀라지만, 곧이어 도회의 교통상황이 야기하는 교착상태가 엄습하며 다시금 실망을 느낀다. 여정의 심화에서 화자는 결국 “춘천삼백리 벼루ㅅ길”을 내달리며 속도의 감각을 쟁취한다. 그러나 이 역시 공간의 확장성을 통해 ‘근대’에 대한 만족과 향락을 선사하기는커녕 시간의 찰나성으로 이어지며 화자는 ‘근대’를 체험에 다시 한 번 실패하고 만다.
춘천에 도착하자 자동차의 시동은 꺼진다. 속도감이 소멸하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the dimensions of interpretation developed in existing studies and closely examining the previously neglected level of ‘grief’,using Jeong Ji-yong’s poem Yuseon-aesang(which means “The Grief of the 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the dimensions of interpretation developed in existing studies and closely examining the previously neglected level of ‘grief’,using Jeong Ji-yong’s poem Yuseon-aesang(which means “The Grief of the Streamline”) as a central text. This is essential for identifying the mechanism and the matrix of the emergence of ‘moderity’ in Jeong Ji-yong’s literature. In doing so, it is hoped that a a sophisticated reading method for Jeong Ji-yong’s literature will be presented. At the same times, it is hoped to provide a a detailed examination of how the ambiguous concept of ‘modernity’ is perceived and projected through a dialectical process.
His poem Yuseon-aesang is a work that presents conflicting interpretations and assumptions about its subject material. This paper aims to adopt many of the interpretations of the poem that have been proposed in existing studies that assume automobiles as the subject matter. If interpretations are found to be out-of-context or inconsistent, this paper proposes a new reading based on the poetic context.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discourse of the streamlined shape that swept through Joseon in the 1930s, when the poem was written,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ar rental business established through Gyeong-Chun Road, we will examine the fantasy of ‘modernity’ captured by Yuseon-aesang and explore the path of failure through which the truth about ‘modernity’ is revealed.
Jeong Ji-yong is a poet who continued to consider ‘modernity’ with sophisticated sensory perception. Kim Ki-rim called him the “first modernist” and noted the “facets of civilization” as well as the urban sensibility captured by Jeong Ji-yong. His “modernity” is constructed through fantasy about it. In his poems, the facets of civilization and urban sensibility appear as the poetic subject’s response to the ambiguity of the times, and this attempt leads to the failure to embody the nature of modernity itself.
Yuseon-aesang is generally interpreted within the realm of a discourse of streamlined shape in Joseon in the 1930s. Originally, streamline meant a curvilinear design that adds speed to an object, and not only has technical utility, but also acquires a cultural symbolic character, and becomes a symbol of the “spirit of modernity.” As Jeong Ji-yong reveals in Somyo 3(Drawing 3), the streamlined automobile is an object that embodies the public’s desire for speed. The sense of speed provided by the ‘streamline’ supports the ‘modern myth.’ Through this, ‘streamline’ becomes a signifier for a hopeful future that overcomes social constraints. As public aspiration prevails, the car rental industry is also showing growth.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oem deals with the anecdote of a poetic subject trying to experience ‘modernity’ by traveling to Chuncheon in a rented streamlined automobile. However, from the first meeting with the automobile to the departure and as the journey progresses, the poetic narrator repeatedly fails to encounter the uplifting ‘modernity’, falling into ‘sadness.’ The automobile, which appears to be “remarkable” and “fresh,” turns out to be an ugly object that is “rickety” and makes only “the sound ingrained by railroad.” At the beginning of the journey, the narrator is amazed by the dynamism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which allows him to “Thrust out” despite the constraint of a “bad day.” However, soon after, he feels disappointed again, caused by the deadlock of the urban traffic situation. In the deepening of the journey, the narrator eventually achieves a sense of speed by running along the “Chuncheon Three Hundred-li Cliff Road.” However, this also leads to the fleetingness of time, failing to provide satisfaction and enjoyment of ‘modernity’ through the expandability of space, and the narrator once again fails to experience it.
Upon arriving in...
계급과 로맨스 - 1970년대 대중 서사에 나타난 로맨스의 계층적 이질성 고찰 -
분산분석을 이용한 체언류 어절구조 사용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어 준구어 말뭉치를 중심으로-
김삼불(金三不) 교주본(校註本) 『해동가요(海東歌謠)』의 편찬 맥락과 그 특성
‘킹받다’와 ‘갓생’의 단어 형성 방식 연구 - ‘킹’과 ‘갓’ 형태소의 결합 특징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