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회과에서는 개인선 추구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와 공동선 추구를 강조하는 공동체주의를 제시한 다음,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모색하고 있다. 그런데 로마형 공화주의는 그 자체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96595
2019
Korean
개인선 ; 공동선 ; 자유주의 ; 공동체주의 ; 아테네형 공화주의 ; 로마형 공화주의 ; personal good ; common good ; liberalism ; communitarianism ; Athenian republicanism ; Roman republicanism
KCI등재
학술저널
1-17(1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사회과에서는 개인선 추구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와 공동선 추구를 강조하는 공동체주의를 제시한 다음,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모색하고 있다. 그런데 로마형 공화주의는 그 자체로...
현재 사회과에서는 개인선 추구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와 공동선 추구를 강조하는 공동체주의를 제시한 다음,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모색하고 있다. 그런데 로마형 공화주의는 그 자체로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다. 즉 비지배의 자유를 공동선의 원리로 삼고 각자 알아서 개인선을 추구하면 된다는 방식이다. 여기서 비지배의 자유는 자의적 지배의 부재를 말한다. 따라서 이제 사회과에서도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위해 로마형 공화주의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사회과학의 연구 성과를 이제 사회과에 반영해야 할 때가 되었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그리고 아테네형 공화주의는 모두 그 자체만으로는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자유주의는 개인선을 추구하고, 공동체주의와 아테네형 공화주의는 공동선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course presents both liberalism that emphasizes pursuit of personal good and communitarianism that emphasizes pursuit of common good and then searches for harmony between them. Roman republicanism itself pursu...
Currently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course presents both liberalism that emphasizes pursuit of personal good and communitarianism that emphasizes pursuit of common good and then searches for harmony between them. Roman republicanism itself pursues their harmony. It suggests that making “freedom as non-domination” the principle of common good, each person could pursue his personal good. Here, “freedom as non-domination” represents the “absence of arbitrary domination.”
It is necessary for social studies course to present Roman republicanism in order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personal good and common good. It is time for existing social sciences scholarship to be reflected in social studies course. It is hard for liberalism, communitarianism, and Athenian republicanism by themselves to pursue harmony between both goods. While liberalism pursues only personal good, communitarianism and Athenian republicanism pursue only common go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2 Kymlicka, W.,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8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9
5 김동훈, "한국 헌법과 공화주의" 경인문화사 2011
6 곽준혁, "키케로의 공화주의" 한국정치사상학회 13 (13): 132-154, 2007
7 조승래, "지금 왜 공화주의인가?" 한국미국사학회 34 : 1-28, 2011
8 곽준혁, "정치학이해의 길잡이: 정치사상" 법문사 171-205, 2008
9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2014
10 홍성우,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윤리학" 선학사 2005
1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2 Kymlicka, W.,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8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9
5 김동훈, "한국 헌법과 공화주의" 경인문화사 2011
6 곽준혁, "키케로의 공화주의" 한국정치사상학회 13 (13): 132-154, 2007
7 조승래, "지금 왜 공화주의인가?" 한국미국사학회 34 : 1-28, 2011
8 곽준혁, "정치학이해의 길잡이: 정치사상" 법문사 171-205, 2008
9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2014
10 홍성우,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윤리학" 선학사 2005
11 김영기,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 국가의 중립성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95 : 21-50, 2005
12 Mulhall, S.,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한울 2001
13 김비환, "이것이 민주주의다" 개마고원 2013
14 Pettit, P., "왜 다시 자유인가" 한길사 2019
15 곽준혁, "왜 그리고 어떤 공화주의인가" 아세아문제연구소 51 (51): 133-163, 2008
16 곽준혁, "열망의 정치: 마키아벨리와 고전적 공화주의" 대한정치학회 17 (17): 187-211, 2009
17 곽준혁, "심의 민주주의와 비지배적 상호성" 세종연구소 11 (11): 141-168, 2005
18 임채원, "시민적 공화주의" 한울아카데미 2017
19 김경희, "서구 민주공화주의의 기원과 전개: 아테네에서 르네상스에 이르는 민주와 공화의 변증법"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113-139, 2007
20 장은주, "사회권과 민주공화국의 이념" 5 : 1-26, 2009
21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
22 이충한, "본래적 공화주의와 도구적 공화주의- 자유와 자치의 관계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28 : 211-239, 2013
23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3
24 Sandel, M. J., "민주주의의 불만" 동녘 2012
25 Held, D., "민주주의의 모델들" 후마니타스 2010
26 곽준혁,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헌정체제의 두 가지 원칙" 한국정치학회 39 (39): 33-57, 2005
27 신용인, "민주공화주의에 대한 헌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28 (28): 339-372, 2016
28 Pocock, J. G. A., "마키아벨리언 모멘트1, 2" 나남 2011
29 MacIntyre, A., "덕의 상실" 문예출판사 1997
30 조승래, "누가 자유주의를 두려워하랴? - 공화주의, 공동체주의, 공화주의 -" 호서사학회 (54) : 273-298, 2009
31 이상형, "공화주의의 현실성: 법과 삶의 길항" 대한철학회 134 : 75-109, 2015
32 이명순, "공화주의의 유형과 그 비판: 강한 유형과 약한 유형" 철학사상연구소 (26) : 269-296, 2007
33 Laborde, C., "공화주의와 정치이론" 까치 2009
34 김경희, "공화주의" 책세상 2009
35 김종철, "공화적 공존의 전제로서의 평등" 한국헌법학회 19 (19): 1-38, 2013
36 조승래, "공화국을 위하여 : 공화주의의 형성과정과 핵심사상" 도서출판 길 2010
37 김선택, "공화국원리와 한국헌법의 해석" 한국헌법학회 15 (15): 213-250, 2009
38 조승래, "공화국과 공화주의" 역사학회 (198) : 227-254, 2008
39 이계일, "공화국 원리의 함의에 대한 이념사적 고찰* -고전적 공화주의 이론의 유형화와 그 법적 구체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1 (21): 67-112, 2011
40 이종수,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전개와 자유주의와의 논쟁 고찰 -자치공동체의 이론적 토대 확장을 위한 재해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5-22, 2010
41 박종훈, "공동체적 자유주의와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 40 : 213-241, 1998
42 박호성, "공동체론" 효령출판 2009
43 조승래, "공공성 담론의 지적 계보-자유주의를 넘어서" 서강대 출판부 2016
44 구정화, "고등학교통합사회" 천재교육 2018
45 이진석, "고등학교 통합사회" 지학사 2018
46 육근록, "고등학교 통합사회" 동아출판 2018
47 정창우, "고등학교 통합사회" 미래엔 2018
48 박병기, "고등학교 통합사회" 비상교육 2018
49 김왕근, "고등학교 정치와 법" 천재교과서 2019
50 모경환, "고등학교 정치와 법" 금성출판사 2019
51 이경호, "고등학교 정치와 법" 미래엔 2019
52 정필운, "고등학교 정치와 법" 비상교육 2019
53 서범석, "고등학교 정치와 법" 지학사 2019
54 유지한, "고등학교 윤리와사상" 비상교육 2019
55 변순용,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천재교과서 2019
56 정창우,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미래엔 2019
57 박찬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씨마스 2019
58 Pettit, P., "Republicanism : A Theory of Freedom and Gover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59 Viroli, M., "Republicanism" Hill and Wang 2002
60 Skinner, Q., "Liberty before Liber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61 Honohan, I., "Civic Republicanism" Routledge 2002
62 Arendt, H., "Between Past and Future" Penguin Classics 1993
깊은 배움을 실현하기 위한 일본의 사회과 시점·사고방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1 | 1.269 | 0.24 |
(방송)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수어)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MOOC)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더빙)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세계평화와 지역협력론
대구가톨릭대학교 변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