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작권 담보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Vital Utilization of the Legal System Governing Security Interests in Copyri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99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을 통한 저작권침해의 대부분은 포털, P2P, 웹하드, UCC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 동안은 인터넷의 특성으로 인해 온라인상 불법 저작물을 복제 전송하여 유통시킨 직접 침해자인 개인을 특정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정이 가능하더라도 손해배상 능력이 없는 경우가 많아 OSP에게 책임 추궁이 집중되었다. 하지만 OSP의 책임을 너무 지나치게 인정하고 규제를 강화할 경우 오늘날 지식 및 정보의 유통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OSP의 사업이 심각하게 위축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작권보호와 정보 및 지식의 자유로운 유통을 합리적으로 조율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규제방안 마련이 중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온라인상 저작권보호를 위해 OSP를 중심으로 한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상생을 위한 협력과 자율규제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우리나라의 자율규제 현황분석을 토대로 우리 현실에 맞는 바람직한 자율규제 활성화 방안으로 OSP
      의 자율규제 분위기 조성을 위한 입법적 정비, OSP의 자율규제 기구 참여 확대, 필터링 관련 OSP와 저작권자의 적극적인 협력 모색, OSP의 불법저작물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 마련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 저작권보호, 필터링,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 정부규제, 자율규제, 저작권법, 디지털밀레니엄저작권법(DMCA)
      번역하기

      온라인을 통한 저작권침해의 대부분은 포털, P2P, 웹하드, UCC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 동안은 인터넷의 특...

      온라인을 통한 저작권침해의 대부분은 포털, P2P, 웹하드, UCC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 동안은 인터넷의 특성으로 인해 온라인상 불법 저작물을 복제 전송하여 유통시킨 직접 침해자인 개인을 특정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정이 가능하더라도 손해배상 능력이 없는 경우가 많아 OSP에게 책임 추궁이 집중되었다. 하지만 OSP의 책임을 너무 지나치게 인정하고 규제를 강화할 경우 오늘날 지식 및 정보의 유통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OSP의 사업이 심각하게 위축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작권보호와 정보 및 지식의 자유로운 유통을 합리적으로 조율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규제방안 마련이 중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온라인상 저작권보호를 위해 OSP를 중심으로 한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상생을 위한 협력과 자율규제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우리나라의 자율규제 현황분석을 토대로 우리 현실에 맞는 바람직한 자율규제 활성화 방안으로 OSP
      의 자율규제 분위기 조성을 위한 입법적 정비, OSP의 자율규제 기구 참여 확대, 필터링 관련 OSP와 저작권자의 적극적인 협력 모색, OSP의 불법저작물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 마련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 저작권보호, 필터링,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 정부규제, 자율규제, 저작권법, 디지털밀레니엄저작권법(DMCA)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global economy has increasingly placed a grate deal of weight on IT industry, the copyright-related industries in each country have become very important. As far as the copyright industries are concerned, the assets of a company mostly consist of rights on movables or on a work of copyright than real estates. Accordingly, the copyright industries, which own few collaterals such as tangible properties including real estate, have less opportunities to securitize loan through commercial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the copyright industries have engaged in financing from banks by providing copyrights as the collaterals for the banks. In cases where the collateral given as the security for loan consists of copyright, the collateral is limited the transferable property rights of an author except for his/her moral rights. There are several methods that the copyright is securitized. They are divided into bulk, package and private securities. We believe that the ideal form among them is the bulk security. The evaluation of the collateral is absolutely necessary before the copyright is securitized. The evaluation methods consists of cost approach, market approach and income approach. The ideal method among these approaches might be the market
      approach. Because the market approach assesses the collateral copyright at its fair market value. However, unfortunately, there are no well-established standards or data for evaluating collateral copyright on basis of the market approach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income approach can appraise the value of copyright given as the collateral. However, this method is problematic in that it should take into account different variables, depending on
      how the factors considered by the approach are contemplated. In addition, the Article explores whether the licensee of a copyright licensing agreement can continue to exploit the license in cases where its licensor becomes insolvent. Currently, there is no explicit statutory provisions governing it. Accordingly, the Article compares “Act on Security of
      Movable and Claim, etc” with the provisions governing IP security interests under the current IP laws and the Directive of UNCITRAL and makes some proposals.
      번역하기

      As the global economy has increasingly placed a grate deal of weight on IT industry, the copyright-related industries in each country have become very important. As far as the copyright industries are concerned, the assets of a company mostly consist ...

      As the global economy has increasingly placed a grate deal of weight on IT industry, the copyright-related industries in each country have become very important. As far as the copyright industries are concerned, the assets of a company mostly consist of rights on movables or on a work of copyright than real estates. Accordingly, the copyright industries, which own few collaterals such as tangible properties including real estate, have less opportunities to securitize loan through commercial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the copyright industries have engaged in financing from banks by providing copyrights as the collaterals for the banks. In cases where the collateral given as the security for loan consists of copyright, the collateral is limited the transferable property rights of an author except for his/her moral rights. There are several methods that the copyright is securitized. They are divided into bulk, package and private securities. We believe that the ideal form among them is the bulk security. The evaluation of the collateral is absolutely necessary before the copyright is securitized. The evaluation methods consists of cost approach, market approach and income approach. The ideal method among these approaches might be the market
      approach. Because the market approach assesses the collateral copyright at its fair market value. However, unfortunately, there are no well-established standards or data for evaluating collateral copyright on basis of the market approach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income approach can appraise the value of copyright given as the collateral. However, this method is problematic in that it should take into account different variables, depending on
      how the factors considered by the approach are contemplated. In addition, the Article explores whether the licensee of a copyright licensing agreement can continue to exploit the license in cases where its licensor becomes insolvent. Currently, there is no explicit statutory provisions governing it. Accordingly, the Article compares “Act on Security of
      Movable and Claim, etc” with the provisions governing IP security interests under the current IP laws and the Directive of UNCITRAL and makes some propos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저작권 담보
      • 1. 의의
      • 2. 담보의 형태
      • 3. 저작권 담보의 적격성
      • Ⅰ. 서론
      • Ⅱ. 저작권 담보
      • 1. 의의
      • 2. 담보의 형태
      • 3. 저작권 담보의 적격성
      • 4. 저작권 담보 활성화의 필요성
      • 5. 저작권 담보과 저작권의 구분
      • Ⅲ. UNCITRAL의 지적재산권 담보부 거래의 입법지침
      • 1. 논의 배경
      • 2. 입법지침과 지적재산법과의 관계
      • 3. 적용범위
      • 4. 준거법
      • Ⅳ. 저작권 담보의 현황
      • 1. 미국
      • 2. 중국
      • 3. 일본
      • 4. 우리나라
      • Ⅴ. 저작재산권의 가치평가
      • 1. 저작재산권의 가치평가방법
      • 2. 저작재산권의 가치평가 문제
      • Ⅵ. 저작권 담보와 도산
      • 1. 라이선서(Licensor)의 도산
      • 2. 라이선시(Licensee)의 파산
      • 3. 준거법
      • 4. 외국 입법례
      • Ⅶ.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