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실험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업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 수업을 실험의 목적, 상호작용, 탐구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5026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실험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업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 수업을 실험의 목적, 상호작용, 탐구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실험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업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 수업을 실험의 목적, 상호작용, 탐구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제시되는 목적은 선언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습득이었다. 상호작용에서 교사는 발산적 발문을 통해 활발한 상호작용을 일으키기 보다는 단지 순회하며 단답형의 질문과 지시를 하며 실험의 수행에 집중하고 있었다. 탐구과정 측면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제시로 나타났으며, 가설 설정의 단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탐구과정 중 유일하게 결과 기록의 과정만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체 탐구과정은 교사 주도로 일방적으로 제시되어 학생들은 실험수행의 조작적인 활동만을 하고 있었다.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나타난 특징을 바탕으로 좀 더 효과적인 실험수업 전략들이 마련되어야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aboratory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 order to grasp actual condition. In the this study, laboratory instructions was analyzed on the three aspects of the aim of laboratory activity,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aboratory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 order to grasp actual condition. In the this study, laboratory instructions was analyzed on the three aspects of the aim of laboratory activity, interaction and inquiry process. From the result, much presented aims were to acquire the declarative knowledge and the attitude that is interested about the science. In the aspect of interaction, teachers had direction and questions that required short and simple answer and directed and attached weight on experiment performance. The process of result recording was received high point uniquely among inquiry processes. Whole inquiry process was presented unilaterally by teacher-leading and the student just executed operative activity of experiment performance. More effective experiment instruction strategies that is based characteristic that appear at laboratory instruct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will should be readied.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의제출일 미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임
논문의제출일 미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임
국문 초록 (Abstract)
표목차 그림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문제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실험의 목적 ...
표목차
그림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문제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실험의 목적
2. 상호작용
3. 탐구과정
4.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연구 대상
3. 도구 개발
4. 자료 수집
5. 자료 분석
Ⅳ. 결과 및 논의
1. 실험의 목적
2. 상호작용
3. 탐구과정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