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화 박 현 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환경산업공학과 지도교수 연익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수요증가와 에너지 고갈 및 이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47149
충주 :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 환경산업공학과 , 2024. 2
2023
한국어
563.7 판사항(6)
충청북도
viii, 79 p. ; 26cm
지도교수:연익준
I804:43010-20000073350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화 박 현 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환경산업공학과 지도교수 연익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수요증가와 에너지 고갈 및 이상...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화 박 현 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환경산업공학과 지도교수 연익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수요증가와 에너지 고갈 및 이상고온 현상 등 으로 인한 기후변화 위기를 통하여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경험하고 있다. 인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제 가장 합리적인 신재생에 너지 산업 활성화와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 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인구통계학적 분석, 빈도분석, 회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T-검정으로 살펴보았다. 설문은 2회로 나누어 진행 하였고, 사회기반 시스템, 환경, 도시교통공 학을 전공으로 하는 학부 21년과 23년 신입생 그룹으로 분류하여 수행하 였다. 연구 분석 결과 인구 통계학적 분석과 빈도 분석을 통해 가장 합리적 에너지로 원자력 에너지를 신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가장 선호도가 낮은 에너지원으로 LNG로 분석 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주민 수용 가능성의 표준화 개수는 -.237이고 유의확 률값은 0.022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나 주민 수용 가능성이 높다고 인 식할수록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짐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었 다.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관심도에 따른 원자력 안정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국제 사회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짐이 통계학적으로 입증 되었다. 가장 합리적인 에너지 선택 시 고려인자의 전공별 차이로 일원배치 분 산 분석 결과는 도시교통공학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주민요구 수용 가 능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1년 대학생 그룹 / 23년 대학생 그룹의 학과별 선호도에 대한가장 합리적이고 유용한 에너지 인식 선호도를 학과별로 T-검정분석 결과는 23년 대학생 그룹이 21년 대학생 그룹보다 신재생에너지보다 원자력에너 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상관계수가 나타났다 환경공학 / 사회기반 시스템공학•도시교통공학 전공별 가장 합리적이 고 유용한 에너지를 T-검정 분석 결과를 통한 분석 결과 환경공학 전공 을 선택한 학생들이 원자력 발전이 다른 에너지원과 비교하여 높은 것으 로 분석되었고, 사회기반 시스템공학과 도시교통공학과를 선택한 학생들 은 원자력 발전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논문의 분석 결과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이 원자력에너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이 시대의 변화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에 따른 에너지 사용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한 시대 상황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