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국불교 관련 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 대흥사 호국대전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의는 호국불교 관련 콘텐츠와 호국삼화상인 휴정, 유정, 처영의 콘 텐츠화에 대해 고민하였다. 나아가 해남 대흥사의 호국대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동안 불교사회연구소의 호국불교 학술연구활동 성과의 토대가 탄탄히 구축되었기에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원천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다음으 로 구비설화는 개발에서 활용의 범주 및 콘셉트에 맞도록 재정리하고 이 야기 소재를 발굴하여 활용한다. 신문기사 등의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생생 한 이야기 소재를 추출해야 한다. 다음으로 호국불교, 호국의승장 관련 문 화유산의 디지털화를 통한 원천자료의 확보가 핵심적인 요소이다. 호국불교가 지닌 가치와 의의는 역사와 전통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공 간성이 투영되는데 바로 표충사에 응축되어 나타난다. 호국대전은 의승군 의 호국 얼을 기리고 지역사회에서 교육과 문화의 공간으로서 가치가 있 다. 논자는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현대 복합 문화정보기 관인 라키비움을 제안하였다. 이에 실감미디어아트를 구현하고, 실감콘텐 츠를 통해 의승장이 내방객들이 등장할 때마다 반응하고 응대하며 관객과 감응하는 콘텐츠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실감콘텐츠를 활용하여 호국 성지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호국대전의 불사를 원만하게 회향하여 다양한 쓰임새로 확산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본 논의는 호국불교 관련 콘텐츠와 호국삼화상인 휴정, 유정, 처영의 콘 텐츠화에 대해 고민하였다. 나아가 해남 대흥사의 호국대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동안 불...

      본 논의는 호국불교 관련 콘텐츠와 호국삼화상인 휴정, 유정, 처영의 콘 텐츠화에 대해 고민하였다. 나아가 해남 대흥사의 호국대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동안 불교사회연구소의 호국불교 학술연구활동 성과의 토대가 탄탄히 구축되었기에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원천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다음으 로 구비설화는 개발에서 활용의 범주 및 콘셉트에 맞도록 재정리하고 이 야기 소재를 발굴하여 활용한다. 신문기사 등의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생생 한 이야기 소재를 추출해야 한다. 다음으로 호국불교, 호국의승장 관련 문 화유산의 디지털화를 통한 원천자료의 확보가 핵심적인 요소이다. 호국불교가 지닌 가치와 의의는 역사와 전통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공 간성이 투영되는데 바로 표충사에 응축되어 나타난다. 호국대전은 의승군 의 호국 얼을 기리고 지역사회에서 교육과 문화의 공간으로서 가치가 있 다. 논자는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현대 복합 문화정보기 관인 라키비움을 제안하였다. 이에 실감미디어아트를 구현하고, 실감콘텐 츠를 통해 의승장이 내방객들이 등장할 때마다 반응하고 응대하며 관객과 감응하는 콘텐츠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실감콘텐츠를 활용하여 호국 성지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호국대전의 불사를 원만하게 회향하여 다양한 쓰임새로 확산하여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discussion, content related to patriotic Buddhism and contentization of the three monks of patriotism, Hujeong, Yujeong, and Cheoyeong, were discussed. Furthermore, we proposed a plan that can be used in the battle of national defense at Daeheungsa Temple in Haenam. Since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Society Research Institute's academic research on patriotic Buddhism has been solidly buil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research results and secure the source data. Next, oral narratives are rearranged to fit the category and concept of use in development, and story material is discovered and utilized. It is necessary to digitize data such as newspaper articles to extract vivid story material. Next, securing source data through digi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related to Buddhism and Victory of Patriotism is a key factor.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patriotic Buddhism is reflected in its spatiality in terms of succession of history and tradition, and it is condensed in Pyochungsa. The Hall Of National Protection (Hogukdaejeon) commemorates the Righteous Buddhist Army (Uiseunggun)'s patriotic spirit and is valuable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local community. The author proposed Larchiveum, a modern complex cultural information institution that converges the functions of a library, archives, and museum.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implement realistic media art and develop content that responds to and responds to the audience whenever the Leader of Righteous Buddhist Army appears and responds to the audience through realistic contents. It is necessary to breathe life into the holy land of patriotic content by using realistic content, and to spread the immortality of a Hall Of National Protection(Hogukdaejeon) smoothly to various uses.
      번역하기

      In this discussion, content related to patriotic Buddhism and contentization of the three monks of patriotism, Hujeong, Yujeong, and Cheoyeong, were discussed. Furthermore, we proposed a plan that can be used in the battle of national defense at Daehe...

      In this discussion, content related to patriotic Buddhism and contentization of the three monks of patriotism, Hujeong, Yujeong, and Cheoyeong, were discussed. Furthermore, we proposed a plan that can be used in the battle of national defense at Daeheungsa Temple in Haenam. Since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Society Research Institute's academic research on patriotic Buddhism has been solidly buil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research results and secure the source data. Next, oral narratives are rearranged to fit the category and concept of use in development, and story material is discovered and utilized. It is necessary to digitize data such as newspaper articles to extract vivid story material. Next, securing source data through digi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related to Buddhism and Victory of Patriotism is a key factor.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patriotic Buddhism is reflected in its spatiality in terms of succession of history and tradition, and it is condensed in Pyochungsa. The Hall Of National Protection (Hogukdaejeon) commemorates the Righteous Buddhist Army (Uiseunggun)'s patriotic spirit and is valuable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local community. The author proposed Larchiveum, a modern complex cultural information institution that converges the functions of a library, archives, and museum.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implement realistic media art and develop content that responds to and responds to the audience whenever the Leader of Righteous Buddhist Army appears and responds to the audience through realistic contents. It is necessary to breathe life into the holy land of patriotic content by using realistic content, and to spread the immortality of a Hall Of National Protection(Hogukdaejeon) smoothly to various u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호국불교 역사문화콘텐츠 개발 기획
      • 1. 호국불교 관련 원천자료의 디지털화
      • 2. 호국불교 문화콘텐츠 기획과 개발의 방향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호국불교 역사문화콘텐츠 개발 기획
      • 1. 호국불교 관련 원천자료의 디지털화
      • 2. 호국불교 문화콘텐츠 기획과 개발의 방향
      • Ⅲ. 호국불교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방향
      • 1. 호국불교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전망
      • 2. 호국불교와 대흥사 브랜딩
      • 3. 의승군 기념사업의 핵심 동력 조성
      • Ⅳ. 호국대전 활용 방향
      • 1. 라키비움으로서의 호국대전의 위상 정립
      • 2. 호국대전의 공간 구성과 호국불교 실감콘텐츠 활용
      • Ⅴ.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