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는 독창적인 개성 이미지들이 합쳐진 ‘총체적인 아이덴티티’로 구성되며, 대중이 접하는 매체를 통하여 그것이 상품이나 서비스, 영업에 수반하여 고객흡인력 또는 광고효과라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29820
2007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55-283(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캐릭터는 독창적인 개성 이미지들이 합쳐진 ‘총체적인 아이덴티티’로 구성되며, 대중이 접하는 매체를 통하여 그것이 상품이나 서비스, 영업에 수반하여 고객흡인력 또는 광고효과라는 ...
캐릭터는 독창적인 개성 이미지들이 합쳐진 ‘총체적인 아이덴티티’로 구성되며, 대중이 접하는 매체를 통하여 그것이 상품이나 서비스, 영업에 수반하여 고객흡인력 또는 광고효과라는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의 사용은 스포츠 산업분야와 스포츠이벤트, 스포츠마케팅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포츠가 프로화되고 상업화되면서 선수 캐릭터를 상품화하는 것은, 스포츠캐릭터의 고객 흡입력이나 광고적 가치를 이용하여 국민적 동질감이나 경제적 이익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품의 판매 및 서비스 제공 등에 이용되는 캐릭터를 소유하는 권리 내지는 그 캐릭터를 상품이나 서비스에 이용하려는 자에게 이용을 허락할 수 있는 권리를 상품화권이라고 한다. 캐릭터의 상품화권은 저작권법뿐만 아니라 여러 영역에 속하는 권리로서, 운동선수와 같이 널리 알려진 실제인물의 모습이나 성명을 이용하여 상품을 제조하거나 판매에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퍼블리시티권이라고 한다. 문화사업의 전면에 등장하는 것 중의 하나가 캐릭터산업이며, 그것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성공한 캐릭터는 다양한 장르로 재창조되면서 끊임없이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해 낸다. 최근 한국에서 다양한 스포츠 캐릭터를 사용하는 기업이나 기관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나, 스포츠 캐릭터에 대한 법적 보호나 상품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며 업계의 인식도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현행법에 의하면 캐릭터의 보호는 저자권법, 상표법, 의장법 그리고 부정경쟁방지법 등에 의존하지만 아직도 법 보호의 범위와 세분된 항목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 캐릭터가 옷, 스포츠 장비, 출판물, 포스터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표법에 위배되는지가 분명치가 않다. 따라서 향후 스포츠 캐릭터의 활성화나 상품화와 그 법적 보호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며 깊이 있는 논의와 연구가 절실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egal Protection of Sports Character
The Legal Protection of Sports Character
참고문헌 (Reference)
1 "현행 저작권법의 해석상 ‘판권’의 개념" 서울지방변호사회 22 : 1992
2 "특정캐릭터가 부정경쟁방지법상 타인의 상품임을 표시한 표지가 되기 위한 요건" 서울지방변호사회 10 : 1997
3 "케릭터의 보호에 관한 고찰" 법조협회 4 (4): 1999.04
4 "캐릭터의 이용과 부정경쟁행위"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13 : 1991
5 "캐릭터의 상품화권" 5 (5): 2000
6 "캐릭터의 사용과 부정경쟁법상의 상품주체혼동행위" 법원도서관 (27) : 1997
7 "캐릭터의 법적보호"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20 : 1992
8 "캐릭터의 법적 보호에 관한 고찰 상 하" 한국사법행정학회 (461-462) : 1999
9 "캐릭터 보호에 관한 연구"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13 : 1991
10 "지적재산권법" 한빛지적소유권센터 1996
1 "현행 저작권법의 해석상 ‘판권’의 개념" 서울지방변호사회 22 : 1992
2 "특정캐릭터가 부정경쟁방지법상 타인의 상품임을 표시한 표지가 되기 위한 요건" 서울지방변호사회 10 : 1997
3 "케릭터의 보호에 관한 고찰" 법조협회 4 (4): 1999.04
4 "캐릭터의 이용과 부정경쟁행위"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13 : 1991
5 "캐릭터의 상품화권" 5 (5): 2000
6 "캐릭터의 사용과 부정경쟁법상의 상품주체혼동행위" 법원도서관 (27) : 1997
7 "캐릭터의 법적보호"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20 : 1992
8 "캐릭터의 법적 보호에 관한 고찰 상 하" 한국사법행정학회 (461-462) : 1999
9 "캐릭터 보호에 관한 연구"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13 : 1991
10 "지적재산권법" 한빛지적소유권센터 1996
11 "주문에 의해 응용미술작품 캐릭터 을 제작한 경우 저작권자" 법조협회 42 (42): 1993
12 "정보사회에서의 유럽저작권법의 변화" 한국지적소유권학회 4 : 2000
13 "전자출판물의 발전과 저작권법의 대응"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27) : 1994
14 "저작권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1989
15 "저작권법상의 연예인의 법적 보호" 동성출판사 (19) : 2000.11
16 "자작권법상의 자유이용" 법원도서관 57 : 1992
17 "외국저작물의 국내법상 지위와 개정 저작권법의 문제점 과학기술법연구" 과학기술법연구소 2 : 1996
18 "외국만화 캐릭터의 국내법적 보호에 관한 소고" 서울지방변호사회 21 : 1991
19 "영상저작물 이용을 둘러싼 계약과 저작권법"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46) : 1999
20 "스포츠와 법" 보경문화사 2004
21 "스포츠 브랜드의 캐릭터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행동" 복식문화학회 10 (10): 2002
22 "사용권 없는 제3자의 캐릭터 상품화와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가 목의 부정경쟁행위" 박영사 5 : 1997
23 "부정경쟁방지법론" 삼지원 1993
24 "미키마우스저작권의 보호기간" (2618) : 1997.07.28
25 "문화상품으로서 Sports Character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1 (11): 2000
26 "모델영화’(실존인물 영화)와 표현의 자유"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9 : 2006
27 "독일저작권개요(1)"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26) : 1994
28 "Trust System과 저작권법의 미래" 한국정보법학회 4 (4): 2000
29 "Sports Character의 법적 보호제도에 관한 소고" 2 : 1999
문화콘텐츠산업에서의 불법유통 방지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6-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9-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 ![]() |
2007-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8 | 0.741 | 0.27 |